View : 719 Download: 0

인도네시아와 한국 여성농민의 대안농업운동을 통해 본 ‘생태시민되기’에 관한 연구

Title
인도네시아와 한국 여성농민의 대안농업운동을 통해 본 ‘생태시민되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ecoming Ecological Citizen’ reflected on Alternative Agricultural Movement by Women Peasants in Indonesia and South Korea
Authors
김효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여성농민 대상 역량강화 프로젝트와 사회변혁운동으로써 여성농민운동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성농민의 시민권 확보와 농촌 지역의 성평등은 왜 충분히 실현되지 못했는가 하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현재의 기후위기와 생태재앙이라는 현실에 대응하는 새로운 급진적 여성주의 시민성 논의를 제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농식품체계와 가부장적 불평등 구조에 대항하는 자급경제의 중요한 행위자로 위치되어온 여성소농이 현재의 기후위기와 생태적 재앙의 문제에 있어서 어떻게 생태적이고 시민적인 경험세계를 새롭게 구축해나가고 사회변화를 추동하는 존재로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태시민되기’의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도네시아 찌안쭈르 지역의 여성농민 역량강화 프로젝트인 ‘S’의 사례와 한국 상주의 여성농민운동인 ‘Y’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들이 어떻게 생태 행위자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고 어떠한 생태물질, 생태지식, 생태돌봄, 정동을 통해 새로운 주체되기로서 ‘생태시민되기’의 과정을 추동하는지 비교분석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농민의 힘 갖추기를 위한 새로운 조건을 밝히기 위해서 에코페미니즘에서 왜 자급생산에 기반하는 여성 소농을 사회변화의 중요한 행위자로 다루어왔는지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두 사례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에서는 어떻게 여성농민 역량강화 프로젝트가 이행되어왔고 한국에서는 어떻게 여성농민운동이 전개되어 왔는지 여성농민의 역량강화와 시민권 획득을 위한 투쟁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여성농민에 대한 기존 논의가 생태라는 행위자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가 지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에코페미니즘에서 여성과 생태와의 관계성이 어떻게 논의되어왔는지를 분석하고 인간과 생태와의 관계성에 기반한 기존의 생태시민성 개념을 어떻게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확장할 수 있는가를 ‘생태시민되기’의 개념으로 밝히고 있다. 둘째, 두 사례는 대안농업을 중심으로 여성농민을 조직하고 여성연대를 통해 대안농업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두 사례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생태와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가운데 대안농업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특히 두 사례는 지역의 가부장적 문화와 관습, 구조적 성차별의 문제 속에서 여성농민의 대안농업 실천과 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두 사례에서 여성농민들은 대안농업을 통해 흙, 땅, 종자, 작물, 유기물 및 무기물이라는 생태와의 물질적 관계성을 변화하는 가운데 개인과 공동체를 생태적 가치체계와 연결해나가고 있었다. 두 사례에서 여성농민들은 각기 다른 대안농업운동의 실천 전략 속에서 생태를 하나의 행위자로 재발견하고 이들과 새로운 관계성을 구축하는 가운데 새로운 농민 주체성을 발현하는 점에서 공통성을 드러내었다. 한편 두 사례에서 여성들은 대안농업을 통해 여성농민 공동체라는 하나의 연합으로 정동을 불러일으키는 가운데 이러한 여성농민의 연대를 만들어가는 중심에 생태라는 요소가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셋째, 두 사례에서 여성농민들의 대안농업 실천과 동기를 추동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생태와의 관계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생태와의 관계성이 생태물질, 생태지식, 생태돌봄, 정동적 관계의 과정이자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먼저 찌안쭈르 지역의 여성농민들은 대안농업의 실천과 운동을 통해서 생태라는 물질의 변화를 경험하고 생태감각을 체현하는 가운데 기존의 전통적, 문화적, 종교적 관습을 생태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생태지식을 구축해가고 있었다. 이와 달리 상주 지역의 여성농민들은 생태와의 관계성 변화가 돌봄의 물질적, 시간적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존의 물질적, 종교적, 과학적 지식을 생태적 지식으로 구축해나가고 있었다. 두 사례에서 여성농민들은 생태를 주체성을 가진 행위자로 위치시키면서 관계성을 재구성하는 가운데 특히 생태라는 물질을 자신의 생애 계보와 가치체계 속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스스로의 사회적, 정치적 정체성을 여성농민이자 생태농민으로 새롭게 추동해가고 있었다. 넷째, 두 사례의 여성농민들은 생태와의 관계성을 다층적인 시민적 실천을 통해서 대안농업운동의 외연을 확장해나가고 있었다. 찌안쭈르 지역 ‘S’의 여성농민들은 농지개혁, 숲 파괴와 물 부족의 문제, 전기와 수도 인프라 지원, 여성농민의 대표성 문제에 있어서 공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적극적 행위자로서 시민적 실천을 추동하고 있었다. ‘S’의 여성들은 일상 전반에서 생태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정치적 의식변화를 수행하기 위한 ‘생태시민되기’의 시민적 실천을 지향하며 지역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었다. 한편 ‘Y’의 여성농민들은 ‘Y’의 활동을 통해서 개인, 가족, 마을, 지역 내에서 생태적이고 순환적인 삶의 실천방식을 모색하고 있었는데, 이는 대안농업운동의 지속성을 위해서 생태 전반이 순환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Y’의 여성농민들은 제철꾸러미 사업을 비롯한 지역먹거리체계를 어떻게 더 생태적인 방식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을지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찾고 수행하는 가운데 지역과 국가의 제도적 변화와 같은 공적 영역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여성농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대안농업 프로젝트와 사회변혁을 위한 대안농업운동이라는 두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해 각기 다른 지역적 맥락에서 여성농민의 대안농업 실천과 운동이 어떻게 생태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외연을 확장해나가고 사회적 조건들을 변화시켜나가고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두 사례는 여성농민들이 생태와 인간, 규범과 제도와 같은 사회적 시스템에 이르는 다종 간의 얽힘과 엮임의 과정에서 어떻게 생태감각을 체현하고 생태지식을 구축하는지의 구체적인 과정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본 연구는 두 사례에서 여성들이 대안농업의 실천과 운동을 통해서 땅에서부터 시작하는 마을과 지역의 새로운 변혁자로 위치되어가는 주체 구성의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는 여성농민에 대한 기존 논의가 환경의 피해자이거나 수동적 주체, 모성적 돌봄자, 농업 생산자, 정치적 저항자라는 호명을 넘어서 여성들이 어떻게 생태를 중심으로 지역과 국가의 변혁자로서 위치성을 가질 수 있는지 ‘생태시민되기’의 과정을 통해 그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두 사례에서 여성농민들이 생태적이고 시민적인 경험세계를 재구축해나가고 사회변화를 이끄는 행위자로 새로운 주체되기의 과정을 발현하는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사례에서 여성농민들은 대안농업운동을 통해서 지역에 착근된 가부장적 불평등 구조와 여성 시민권의 부재에 대항하여 땅을 변화하는 가운데 다종 간 관계성, 비자본주의와 자본주의 경제의 재분배를 시도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여성농민들은 대안농업을 통해 땅이라는 생태 물질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생태라는 주체와 새로운 관계성을 구성해가고 있었지만, 이러한 관계성이 지역적, 국가적 의제나 정책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때로는 여성농민들의 요구가 지역이나 국가에 의해 무시되기도 했다. 이와 달리 초국적 맥락에서 대안농업네트워크나 농민운동연대는 농민과 생태의 관계성을 실천 전략으로 채택하고 정치화 과정을 통해 국제기구의 중요한 아젠다로 재구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초국적 연대의 측면에서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여성농민은 개인과 공동체의 실천경험을 새로운 여성농민의 연대 가능성으로 확장하고 연결함으로써 변화를 위해 서로의 참조체계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기후변화와 생태위기의 문제는 새로운 시민성의 출현을 요구하는 가운데 생태시민성은 하나의 주요한 대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두 여성농민운동 사례를 생태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여성농민 대안농업운동의 외연을 확장해나가고 지역의 성별 정치학과 성별권력관계의 변화를 추동하는 핵심적인 힘이 생태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힘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존의 여성 시민권 개념을 생태시민성을 통해서 분석하는 가운데 ‘생태시민되기’라는 개념을 통해 여성주의 생태시민성의 형성과 확장 가능성을 밝힘으로써 여성학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stems from the question why securing women peasants’ citizenship and gender equality in rural area have not been sufficiently realized in spite of the international projects for empowering women peasants and the efforts by women’s peasant movement as that for social change. The study presents a discussion about new radical feminist citizenship corresponding to the reality of the current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catastrophe. Therefore the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process of ‘Becoming Ecological Citizen’ about how women peasants, who have been situated as important agents of self-sufficient economy against the global agricultural food system and patriarchal unequality structure, become a being to establish a new ecological and citizenly experienced world and to drive social changes. For this, focusing on the cases of ‘S’ project for empowering women peasants in Cianjur, Indonesia and ‘Y’, a local women’s peasant movement in Sangju, Korea,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how women have new relationships with ecological agents and what kind of ecological matters, knowledge, care, and affective cause them to drive the process of ‘Becoming Ecological Citizen’ as being new subject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discussions about why the ecofeminism has dealt with women peasants who are based on self-sufficient production as important agents of social change were reviewed to figure out new conditions for empowering women peasants. In addition, both the cases were analyzed with the processes of struggles for empowering women peasants and acquiring their citizenship,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ontexts: how the projects empowering women peasants have been conducted in Indonesia and how the women’s peasant movements have been operated in Korea, respectivel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 agent of ecology has not been positively discuss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about women peasants. Accordingly, the study analyzes th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ecology have been discussed in ecofeminism and suggests how the existing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cology could be reinterpreted and expanded through the conception of ‘Becoming Ecological Citizen’. Second, both the cases are about organizing women peasants concentrating alternative agriculture and expanding alternative peasant movement through women’s solidarity. Both the cases refigured the relationships with the ecology in different ways and but they could operate alternative peasant movements. Especially, both the cases have conducted alternative practices and movements by women peasants in the issues of patriarchal culture, customs, and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The women peasants in both the cases have linked bot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o the ecological value system in the changes of physical relationships with the ecology such as soil, land, seed, crop, and organic and inorganic matters. In both the cases, women peasants rediscovered the ecology as an agent in their respective practicing strategies of different alternative agriculture movements, built new relationships with them, and realized the subjectivity of ecological peasants in common. And the women in both the cases have provoked affect as a union of women peasants’ community through alternative agriculture, and the ecolog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enter of their solidarity. Third, it was able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 with ecology appeared as the process and result of ecological matter, knowledge, and care, and affective rel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at how the relationship with ecology has been composed as a core element to drive women peasants’ practices and motives for alternative agriculture. Firstly, in Cianjur region, the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S’ experienced the changes of matter of ecology through their practices and movements of alternative agriculture, embodied their ecological senses, and reinterpreted the existing traditional, cultural, and religious customs ecologically, establishing new ecological knowledge. In the case of Sanju region,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peasants and ecology have been made in the physical and temporal process of care, and the previous physical, religious, and scientific knowledge have been re-established as ecological one. In these cases, women peasants situated the ecology as an agent with subjectivity and refigured their relationship, and linked especially the matter of ecology to their life genealogies and value systems and created their social and political identities as women peasants and ecological farmers. Forth, the women peasants in both the case have expanded the scope of alternative agriculture movements through muti-layered citizenly practices for the relationship with ecology. The women peasants of ‘S’ in Cianjur region have driven their citizenly practices as active agents for leading to public changes in the issues of land reform, destruction of forest and water shortage, supporting infrastructure including electricity and water supply, and representativeness of women peasants. The women of ‘S’ tried to drive the changes in the region, pursuing citizenly practices of ‘Becoming Ecological Citizen’ for conducting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political conscious change about the ecology in their daily lives. The women peasants of ‘Y’ have sought the methods to practice ecological and circulating life in person, family, community, and region, and it was because they had to go forwards to the society circulating the entire ecology for lasting alternative agricultural movement. Therefore, the women peasants of ‘Y’ have search for and conducted specific practical strategies how to make local food system including seasonal food package more ecological and sought the conversion to the public sector including institutional changes in regional and national level. The study figures out how women peasants’ practice and movement for alternative agriculture expand their scopes and change social conditions in different local contex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wo case studies of alternative agriculture projects for empowering women peasants and alternative peasant movement for social change. Both the cases reveal the specific process how women peasants embody ecological senses and build ecological knowledge in intertwining various kinds from ecology and human to social systems such as norms and institutions. At the same time, the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making subject that women have been situated as new reformers in communities and regions starting from lands through practice and movement of alternative agriculture. This is to seek the direction how women have their positionality as changers for their communities and countries focusing on knowledge, overcoming the previous discussions looking at women peasants as environmental victims, passive subjects, mothering carer, agricultural producers, and political resister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Ecological Citizen’. As a result, both the cases are in common that the women peasants realize to the process of becoming new subjects for reestablishing the ecological and citizenly experienced world and leading social changes. The women peasants in both the cases have changed the land, resisting to the patriarchal unequality structures in the regions and lack of women’s citizenship through alternative agriculture movements and tried the relationship among multispecies and retribution of non-capitalist and capitalist economies. In conclusion, the women peasants have made new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ecology, corresponding to the demands of the ecological matter of land through alternative agricultur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ationships are not treated as local or national agendas or policies. Even the women peasants’ demands have been ignored by their regions or the governments. However, in the transnational contexts, alternative agriculture networks or peasant movement associations show the process to choose the relationship between peasants and ecology as a practical strategy and rebuild it as an important agenda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politicalization. Accordingly, both Indonesian and Korean women peasants could drive changes, by expanding and linking their experiences in person and community to the possibility for new solidarity of women peasants in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solidarity. While the issues of climate changes and ecological crisis demand new citizenship, the ecological citizenship is suggested as one of the important alternatives. According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wo case studies of women’s peasant movements in Indonesia and Korea focusing o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ecology, and figured out that the core force, which expands the scope of women peasants’ alternative agriculture movements and drives changes of gender politics and gender power relations in the regions, starts from the ecolog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women’s studies by analyzing the existing concept of women’s citizenship through the ecological citizenship in order to explain the force and figuring out the possibilities for forming and expanding the feminist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the concept of ‘Becoming Ecological Citiz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