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7 Download: 0

성인진입기 이성 관계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대한 결혼 태도의 조절효과

Title
성인진입기 이성 관계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대한 결혼 태도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investmen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attitudes
Authors
백상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이성교제 중인 성인진입기 미혼 남녀의 관계 헌신에 미치는 관계 만족, 대안의 질, 내적 투자, 외적 투자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변인 간 관련성을 조절하는 결혼 태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관계 유지의 어려움을 겪는 연인을 실질적으로 조력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Rusbult의 투자 모형은 관계 헌신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적 모형이다(Rusbult, 1980; 1983). 투자 모형은 헌신을 설명하는 세 가지 선행변인으로 관계 만족, 대안의 질, 투자를 제안한다. 즉, 개인이 이성 관계에서 만족을 경험하고 대안적 관계가 열악하며 현재 관계에 많은 투자를 했을 때 헌신이 높아지는 것이다. 세 가지 선행변인 중 투자와 관련하여, Le와 Agnew(2003)는 투자를 다양한 차원으로 구분하여 헌신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유형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투자는 내적 투자와 외적 투자로 구분할 수 있으나(Rusbult, 1980; 1983; Rusbult & Martz, 1995), 두 유형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부재로 인해 지금까지 내적 투자와 외적 투자를 구분하여 진행된 연구가 많이 없다. 또한, 투자 모형의 타당성과 유용성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모형의 선행변인과 헌신 사이 관련성을 다르게 만드는 조절변인에 관한 탐색이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Hadden, Knee, DiBello, & Rodriguez,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인으로 결혼 태도에 주목하였다. 결혼 태도는 결혼 상태와 상관없이, 결혼 이전에도 그리고 결혼 이후에도 가질 수 있는 결혼에 관한 일반적인 태도로(Willoughby, Hall, & Luczak, 2013) 상호배타적이고 장기적인 특성을 가진 결혼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 혹은 선호로 볼 수 있다. 결혼 태도는 관계 도식 중 하나로, 긍정적 결혼 태도를 가진 경우 현재 이성관계에 대해서도 상호배타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 이러한 관점에 기반하여 행동하도록 이끌 수 있다(Fletcher & Thomas, 1996). 또한, 최근 선행연구에서는 결혼 태도가 헌신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iggio & Weiser, 2008; Willoughby, 2015). 그러므로 긍정적 결혼 태도는 헌신에 대한 관계 만족, 대안의 질, 내적 투자와 외적 투자의 영향력을 더 강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결혼 태도는 깊은 수준의 연인 관계를 형성하며 자신에게 적합한 연인을 만나기 위해 다양한 관계 경험을 하지만, 결혼까지 이행되지 않은 성인진입기 남녀에게 특히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성관계에서 결혼 태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성교제 중인 248쌍의 성인진입기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1에서는 Rusbult의 투자 모형을 기반으로 남녀의 관계 만족, 대안의 질, 내적 투자, 외적 투자가 자신과 상대방의 헌신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설 2에서는 투자 모형의 변인 간 관련성을 결혼 태도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남녀의 관계 만족, 대안의 질, 내적 투자, 외적 투자가 자신과 상대방의 헌신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 남녀 결혼 태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의하게 나타난 결혼 태도의 조절효과를 해석하기 위해 남성과 여성의 결혼 태도의 관계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남녀의 결혼 태도에 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혼 태도를 예측하는 관계적 변인으로 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과 전통적 성역할태도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에서 남녀 모두 자신의 관계 만족과 내적 투자는 자신의 헌신을 높이고 자신의 대안의 질은 자신의 헌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경우 외적 투자의 자기효과가 미미한 정도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외적 투자는 여성의 헌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계 만족, 대안의 질, 내적 투자와 외적 투자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가설 2에서 남성 관계 만족이 여성 헌신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를 남성 결혼 태도와 여성 결혼 태도가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대안의 질이 여성헌신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와 여성 대안의 질이 여성 헌신에 미치는 자기효과를 남성 결혼 태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내적 투자가 여성 헌신에 미치는 자기효과를 남성 결혼 태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 외적 투자가 여성 헌신에 미치는 자기효과를 남성 결혼 태도와 여성 결혼 태도가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결혼 태도의 조절효과를 해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실시한 회귀분석에서 남성의 긍정적 결혼 태도는 남성의 낮은 회피애착이 예측하였으며, 여성의 긍정적 결혼 태도는 여성의 낮은 회피애착, 낮은 불안애착, 높은 전통적 성역할태도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를 통해 가설 1과 가설 2 결과에 관한 해석과 결과가 시사 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성관계의 헌신을 설명함에 있어 투자를 내적 투자와 외적 투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헌신을 설명하는 관계 만족, 대안의 질, 내적 투자, 외적 투자의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결혼 태도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이성교제 중인 남녀를 위한 상담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potential interventions that may aid heterosexual dating couples in their emerging adulthood who experience problems of relationship maintenance. To this end,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intrinsic investment, and extrinsic investment for relationship commitment,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s toward marriage in these associations. Rusbult's investment model is a seminal theoretical framework illustrating commitment in romantic relationships (Rusbult, 1980; 1983). In this model, an individual in a romantic relationship feels more committed to one’s relationship when he or she experiences satisfaction from it, has poor alternatives, and invests heavily in the current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investment among the three precursors of relationship commitment, Le and Agnew (2003) suggested that multiple facets of investment should be investigated to identify which facet predicts relationship commitment to a greater extent. Although conceptualized as intrinsic vs. extrinsic (Rusbult, 1980; 1983; Rusbult & Martz, 1995), scant empirical research has examined the roles of intrinsic vs. extrinsic investment in romantic relationships, as a measurement distinguishing the two types of investment is lacking. Moreover, despite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this theoretical model evident in the literature, there is a lack of evidence on the moderating factor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predictors postulated in the investment model and commitment (Hadden, Knee, DiBello, & Rodriguez, 2015). Therefor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attitudes toward marriage as a potential moderator. Marital attitudes are defined as general attitudes toward marriage that one can hold before or after marriage regardless of their marital status (Willoughby, Hall, & Luczak, 2013). It also refers to positive attitudes or a preference for marriage, which is mutually exclusive and a long-term relationship. Furthermore, as one of the relationship schema, positive attitudes toward marriage may motivate individuals to view the current relationships as mutually exclusive and long-term and act based on such a perspective (Fletcher & Thomas, 1996). Several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marital attitudes are predictive of commitment (Riggio & Weiser, 2008; Willoughby, 2015). As such, positive marital attitudes may strengthen the implication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intrinsic investment and extrinsic investment for commitm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for emerging adults, given that emerging adulthood is a period when many individuals are involved in a significant romantic relationship and seek a potential spouse by exploring various relationship experiences. Hence, research examining the role of marital attitudes in romantic relationships of unmarried couples is needed. In the current study, the following two studie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data from 248 dyads of heterosexual dating couples who are in their emerging adulthood. In Study 1, based on Rusbult's investment model,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intrinsic investment, and extrinsic investment on relationship commitment were examined i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In Study 2,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attitudes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predictors (i.e., relationship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intrinsic investment, and extrinsic investment) on commitment was investigated. Additio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marital attitudes and to interpret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attitudes. As potential predictors of marital attitudes, adult attachment styles (i.e., attachment avoidance and anxiety)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were included.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In Study 1, for both men and wom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intrinsic invest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commitment, and the quality of the alternative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own commitment. For women, a margin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of extrinsic investment on commitment was found, suggesting that women’s extrinsic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commitm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partner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intrinsic investment, and extrinsic investment on commitment. Results from Study 2 revealed that the partner effect of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women’s commitment was moderated by both genders’ marital attitudes. Men’s marital attitudes also moderated the partner effect of men’s quality of alternatives on women’s commitment, as well as the actor effect of women’s quality of alternatives on their own commitment. Lastly, the actor effect of women’s intrinsic investment on commitment was moderated by men’s marital attitudes, and the actor effect of women’s extrinsic investment on commitment was moderated by both genders’ marital attitudes. Additionally,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men, their positive attitudes toward marriage were predicted by their low attachment avoidance, and for women, their positive attitudes toward marriage were predicted by their low attachment avoidance, low attachment anxiety, and high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In the Discussion, the findings from Study 1 and 2 are interpret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discussed. Of note, the merit of distinguishing intrinsic and extrinsic investment in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investment on commitment in romantic relationships is highlighted. Findings also underscore the role of attitudes toward marriage in moderating the implication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and intrinsic and extrinsic investment for relationship commitment. Finally, in light of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research, a potential intervention for emerging adults in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