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7 Download: 0

초등학생 부모의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Title
초등학생 부모의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 Child Care Community among Parents with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심임숙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 아동 대상 돌봄공동체의 부모 참여 경험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 부모의 돌봄서비스 이용 및 생산의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문제로 이들의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는 어떠한 의미인지, 참여 과정은 어떠하였는지, 또한 이용자이자 생산자로서의 경험은 어떠하였는지를 심도 있게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초등학생 자녀가 있으며,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 경험이 최소 1년에서 최대 8년 이상인 부모들이다. 총 14명이며, 남성 2명, 여성 12명으로 소규모 공동육아에서부터 사회적 협동조합 형태 돌봄공동체, 정부 돌봄공동체 지원사업 형태 및 민간 자발적 돌봄공동체 참여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특징적인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가 선정되었다. 2021년 1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총 6개월간 2회를 통해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이외 돌봄공동체 대표자 및 공공부서 담당자와 관계자를 추가 면접, 현장 노트를 활용하여 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접 녹취록을 중심으로 Creswell(2013)이 제시한 질적 연구 분석방법에 따라 사례를 개별 코딩하여 세부적으로 기술하고 주제를 제시하는 사례 내 분석을 시행하였다(Creswell, 2009; 김영숙 역, 2013). 그 다음으로 사례를 통합하여 공통 주제를 분석하는 사례 간 코딩을 하였다(Stake, 1995). 이를 통해 각 사례 사례들의 의미와 해석을 제시하였다. 즉, 사례 내 분석은 참여자별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독특한 경험이 드러나도록 비교 분석하였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공통적으로 발견된 참여 경험의 이슈를 분류하고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 26개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마지막으로 모든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이용자이자 생산자로서의 부모의 참여 경험을 관통하는 중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우선 연구 참여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반으로 사례 간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 26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상위범주는‘돌봄의 대안을 찾아 나섬’이다. 이는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에 참여 동기를 의미하며,‘돌봄서비스의 한계를 체감’,‘공동체 돌봄을 추구’,‘부모의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경로’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두 번째 상위범주는‘공동체를 통한 아동과 부모의 안정과 성장’이다. 이는 아동 돌봄공동체 활동을 통해 아동과 부모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경험으로‘부모의 돌봄공동체를 통한 위안과 안정 그리고 성장’,‘아동의 돌봄공동체를 통한 풍요로운 일상과 주도적 성장’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세 번째 상위범주는‘돌봄공동체의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힘겹게 채워감’이다. 이는 기존 영유아 중심의 전통적 돌봄공동체인 공동육아의 이상적 모습과 달리 최근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가 놓인 현실에 대한 어려움을 의미하며, ‘부모의 공동체 참여시 현실적 어려움’,‘아동의 공동체 참여시 한계’,‘그럼에도 참여를 이어가는 원동력’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네 번째 상위범주는 ‘지속가능성과 실효성 있는 공동체를 위해 다시 길을 나섬’이다. 이는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긍정적인 사회적 돌봄 기능을 유지 및 발전을 위해 필요한 향후 과제를 의미하며, ‘공동체 내부의 변화 도모’, ‘지원체계 강화’의 하위주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연구의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이 결과를 토대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관통하는 중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이용자이자 생산자로서의 부모의 참여 경험을 관통하는 중심주제로‘지역 내 안정적 돌봄을 만들기 위한 부모의 성장통과 끊임없는 여정’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돌봄은 부모로서 당연한 의무이자 행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맞벌이 부모에게 초등학생 아동의 돌봄은 생존의 문제이자 성장의 질적인 측면 및 부모의 일·가정양립 여부의 핵심적인 관건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은 나의 자녀 및 동네 돌봄을 위한 공동체에 참여하면서 아동과 자신의 일상이 안정되고 성장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돌봄공동체 운영과 유지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특히 공간마련, 인력보충, 활동계획, 회의 등의 다양한 일들에 관여해야 했다. 즉, 돌봄공동체의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통해 또 다른 돌봄의 성장통을 경험하였다. 맞벌이 부모로서 돌봄공동체에 참여 하는 것은 시간적, 심리적 측면에서 한계를 마주하였고, 아동은 시간적 한계 학업과의 갈등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부모들이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 참여를 지속하는 원동력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밝아지고 행복해하는 아이들의 모습, 함께 의지하는 부모, 가치 있는 공동체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자부심 때문이다. 이렇듯 연구 참여자들은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역할 및 사회적 가치에 공감하며, 사회적 돌봄의 간극을 부모의 돌봄 성장통으로 전환하며, 지역 내 안정적인 돌봄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공동체 내부의 변화와 지원체계 강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주요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참여동기를 살펴 면, 공동체적 돌봄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우는 일부이며, 다수의 경우 공적 돌봄의 양적, 질적 측면에 한계로 아동 돌봄 공동체에 참여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공동육아와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기존 전통적 아동 돌봄공동체와 차이가 나타났다. 공통점은 부모의 참여를 전제로 한다. 하지만 공동육아는 영유아 중심의 비공식 소규모 형태와 사회적 협동조합을 구성하여 공식적 공동육아 형태로 운영되며, 공동체 기반 돌봄의 문화와 시스템에 의해 체계적이며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특성이 있다. 반면 아동 돌봄공동체는 지역 내 마을공동체, 작은도서관 등을 거점으로 개방형 공동체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등과 같은 공공의 지원을 계기로 형성된 공동체의 경우 대표의 역량과 구성원의 참여 형태 및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아동 돌봄공동체가 공동육아의 전통적 공동체와 달리 형성배경, 구성원들의 참여 과정 등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실제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는 아동에 의한 주도적인 돌봄 활동이 가능한 특성이 있었다. 초등학생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성장에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돌봄 생산자에 의해 구성된 돌봄 프로그램을 수동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아동들이 직접 활동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것이 주도성을 성장시키는 기회로 볼 수 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유연한 돌봄공동체의 돌봄서비스로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감염병 발생 및 그 외 위기상황에 실효성 있는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중요성을 시사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부모의 참여 경로 및 참여 형태의 다양성이다. 참여 경로를 살펴보면, 이용자 및 생산자의 역할을 감당하는 참여자로 시작하는 경우와 이용자에서 생산자로 전환되거나, 생산자로 참여하여 이용자로 전환되는 특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부모 참여형태를 살펴보면, 전통적 공동체 중심 참여 특성, 지역 및 이웃 연계 참여 특성, 생산 및 기획 중심적 참여 특성, 생산 및 이용자 분리형 참여경험의 특성이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긍정적 참여요인을 강화하여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부정적 참여요인을 감소시켜 좀 더 실효성 있는 아동 돌봄의 지원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에 현실에 부합하는 실제적 지원체계 강화해야 한다. 아동 돌봄공동체 상담부서 및 기관을 통한 상시적인 논의 창구 마련을 제안한다. 신생 아동 돌봄공동체의 경우 실행 메뉴얼과 선배 돌봄공동체 구성원을 통한 컨설팅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 마련 및 인력 지원, 돌봄공동체 지원금 중단 시기의 문제, 공공의 돌봄공동체 선 이해 및 협력적 태도 필요, 법적 기반 마련의 문제가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 돌봄공동체 아동 중심적 활동과 자율성의 제고를 제안한다.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에서 아동 중심의 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편으로 관련 평가 항목 및 기준을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특성을 감안하여 저학년과 고학년 아동별 돌봄 활동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셋째, 부모의 소진 예방 및 통합돌봄 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돌봄의 대안을 찾아 나서고, 돌봄공동체 활동에 만족하고 있으나, 운영 및 돌봄 생산자로서 시간적 한계 및 과도한 심리적 부담감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여정을 통해 부모들이 소진될 수 있으므로, 공동체 내·외부의 적절한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아동 돌봄공동체에 필수 활동으로 부모들의 심리적 상담 및 힐링 프로그램 구성을 제언하였다. 정책적 함의로 첫째, 감염병 재난 대비 소규모 아동 돌봄공동체의 확대를 제안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시기에 공적 돌봄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돌봄공동체를 통해 일상적 돌봄을 유지했다. 이에 대한 실효성을 기반으로 추후 제2의 감염병 재난 대비 방법 및 인력, 부모참여에 대한 부분을 포함한 돌봄공동체 활동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공동생산자로서 부모라는 인적자원의 활용에 대한 제안이다. 본 연구결과 공동체 내 부모참여 역할이 기존 공동체 내 직접 참여에서부터 지역 내 돌봄서비스를 기획 및 실행하는 생산자의 입장으로 변화 및 확장되었다. 즉, 공공과 민간이 함께 지역 내 돌봄을 생산하는 공동생산의 개념을 활용하여 부모를 유용한 인적자원을 활용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depth the experie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caring communit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the voices of the parties and to presen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With the research question of "What is the experience of parents using and producing care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are community?" in depth, they explored and analyzed what their participation means, how the participation process was, and what their experience as users and producers w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parents with at least 1 year to a maximum of 8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child care community. There are a total of 14 people, 2 men and 12 women,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various and characteristic child care community participants, from small co-parenting to social cooperative type care community, government care community support project, and private voluntary care community particip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ice for a total of six months from November 2021 to June 2022.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collect sufficient data by using additional interviews and on-site notes for representatives of the caring community, public department managers, and related parti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case analysis in which cases were individually coded, described in detail, and topic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3), focusing on the in-depth interview transcript of the study participants (Creswell, 2009; Kim Young-sook, 2013). Next, case-to-case coding was performed to analyze common topics by integrating cases (Stake, 1995). Through this,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each case case were presented. In other words, the in-case analysis was compared and analyzed so that unique experiences were revealed centering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each participant in the child care community, and the issues of participation experiences commonly found in the analysis between case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As a result, 4 upper categories, 10 lower categories, and 26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rough this, a central topic was derived that penetrated the experience of parents' participation as users and producers of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 child care communities. First of all, the main results of inter-case analysis based 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4 upper categories, 10 lower categories, and 26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first upper category is 'searching for alternatives to care'. This mea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hild care commun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cludes sub-topics of 'feeling the limitations of care services', 'seeking community care', and 'parent's participation path in the child care community'. The second upper category is 'the stability and growth of children and parents through the community'. This is an experienc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parents through child care community activities, including subtopics of "comfort, stability and growth through parents' care community" and "rich daily life and leading growth through children's care community." The third upper category is 'struggling to fill the gap between the ideals and reality of the caring community'. This means difficulties in the reality of the recent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unlike the ideal appearance of joint childcare, which is centered on infants, and includes sub-topics of "real difficulties when par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limits when children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motor to continue participate." The fourth upper category is 'going on the road again for sustainability and effective communities'. This refers to future tasks necessary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positive social care func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and includes sub-topics of 'promoting changes within the community' and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of this study, a central topic penetrating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derived. As a central theme that penetrates the experience of parents' participation as users and producer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it was found to be 'parent's growth pain and constant journey to create stable care in the region'. The care of a child can be a natural duty as a parent and an opportunity for happiness. However, for dual-income parents, the car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can be seen as a matter of survival, a qualitative aspect of growth, and a key factor in the parents' work-family balance. They experienced stable and growing children and their daily li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for their children and neighborhood care. However, h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operating and maintaining the caring community. In particular, he had to be involved in various tasks such as space preparation, manpower supplementation, activity planning, and meetings. In other words, another growing pain of care was experienc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ideals and reality of the car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caring community as dual-income parents faced limitations in terms of time and psychology, and children experienced conflict with temporal limitation studies.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e driving force behind parents' continued particip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is the appearance of children who are bright and happ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parents who rely together, valuable communities, and social contributions. As such, participants in the study sympathize with the role and social valu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convert the social care gap into parental care growth pain, and constantly strive to strengthen the community's internal change and support system to create stable care services in the region. The main discus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motiv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it can be seen that some cases sought community care, and in many cases, they participated in the child care community due to limitations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public care. Secon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childcare and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child care community. The common ground is based on parental involvement. However, joint childcare is operated in the form of official joint childcare by forming an informal small form and social cooperative centered on infants, and is systematically and long-term operated by the culture and system of community-based care. On the other hand, the child care community is being conducted as an open community based on village communities and small libraries in the reg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munities recently formed through public support such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competencies of representatives and the types and levels of participation of members were diverse. This suggests that unlike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co-parenting, the child care community needs practical support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of members. Third,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had characteristics that allowed leading care activities by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mportant times fo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growth. Therefore, rather than passive participation in the care program organized by the care producer, planning and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directly by children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to grow initiative. Fourt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erience maintaining a stable life through the care service of a flexible care community in the COVID-19 crisi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an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that is effective in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and other crisis situations. Fifth, it is the diversity of parents' participation paths and participation forms. Looking at the participation path,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tarting with a participant who plays the role of a user and a producer and switching from a user to a producer or participating as a producer. Next, looking at the type of parent particip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mmunity-centered participation, regional and neighborhood-linked participation, production and planning-oriented participation, and production and user-separated participation experience were found. Six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positive participation factor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to increase sustainability and reduce negative participation factors to develop more effective support for child car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practical impli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actical support system consistent with rea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It is proposed to provide a regular discussion window through the counseling department and institution of the child care community. In the case of a new child car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link the execution manual with consulting through members of the senior care community.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space preparation and manpower support, suspension of support for the caring community, understanding the public caring community's preference and need for a cooperative attitude, and preparing a legal foundation should be improved. Second, it is proposed to enhance child-centered activities and autonomy in the child care community. Related evaluation items and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as a practical way to strengthen child-centered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child care community.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direction of care activities for each child in the lower and higher grades should be set. Third, we propose a program to prevent exhaustion of parents and support integrated care. Although he is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of the caring community, he is suffering from time limitations and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as an operation and care producer. Since parents can be exhausted through this journe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ropriate support system within and outside the community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is end, it was suggested to organiz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healing programs for parents as an essential activity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community. As a policy implication, first, it is proposed to expand the small child care community in preparation for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maintained daily care through the caring community despite the suspension of public care during the COVID-19 period.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thi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activities of the caring community, including how to prepare for a second infectious disease disaster, manpower, and parental participation. Second, it is a proposal for the use of human resources called parents as co-produc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ole of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has changed and expanded from direct participation in the existing community to the position of producers planning and implementing care services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it proposes the need to utilize human resources that are useful to parents by utilizing the concept of joint production in whic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roduce care in the region toge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