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3 Download: 0

20-30대 한국여성 ‘BDSMer’의 섹슈얼리티 탐구 욕망

Title
20-30대 한국여성 ‘BDSMer’의 섹슈얼리티 탐구 욕망
Authors
차지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혜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s korean women BDSMers in 20-30s and suggests that their sexual desire and sexuality research are subject to subjectivity norms of neo-liberalism and feminism. In the background of rise of feminism in recent South Korea and the way korean society interprets it, 20-30s korean women are spotlighted in every kind of aspects. Korean women are also aware of themselves becoming objects of this visualization and trying to be the subject by researching, interpreting, acccepting themselves. However, based on the thought that subjectivity is not transcendental, but indeed liquid, defined as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this study, by understanding 20-30s korean women are in the generation which is located in neo-liberalism and feminism, researcher would study the reason why korean women as both neo-liberal subject and feminist subject should pass through researching on their own sexualities to be the complete subject. For this purpose, research collects 19 women BDSMers and interviews them in-depth. Through the interviews with korean 20-30s women BDSMers, discourses or structures like neo-liberalism, feminism, BDSM, researching one’s own sexuality etc. can be interpreted as a power which affects the individuals based on the subject theory of Foucault and Butler. While researching sexuality is kind of looking for one’s own identity or subjectivity required by neoliberalism and feminsm, BDSM is out of major society’s sex norm. That is, these women are required subjectivity through rejecting korean sex norms and themselves who was subject to it. Especially the sexuality is recognized only by individual through one’s concerns and experiences while the other societal part of individual is defined by the outside. For example, in this study, many of interviewers said that they are in depression and going to clinics for stability. Depression is the conclusion made by diagnosed and pathologized in the hospital or even in society. On the other hand, sexuality is concluded by the inside of individuals. So to say, sexuality is almost only thing young woman can form a conclusion from subjecti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is research, not every women look for their sexuality in theie 10s, and especially in case of BDSM, it could be found in their 30s. Researching sexuality is not required in specific moment but the actual sexual practice is likely to be tried after the neo-liberal task such as entering universities, companies, mak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women try to subjectivate themselves through researching their own sexuality in the time when they can make conclusion about it, and this subjectivation means that even though women already have retained subjectivity which is subject to sex norms or neo-liberalism power, they try to the other power, BDSM, not meaning they haven’t had any subjectivity before. ;본고는 BDSM을 수행하는 ‘BDSMer’들 중 2-30대 한국여성들을 심층인터뷰한 것을 바탕으로 해당 연구참여자들이 BDSM을 수행하게 된 배경과 계기, 구체적인 수행 경험 등을 분석하여 이들이 섹슈얼리티 탐구를 통해 주체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위해 첫째, BDSM을 수행하는 여성들은 어떻게 BDSM을 접하고 실천하게 되었는지,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페미니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셋째, 한국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살아가는 것과 BDSM 성향자로 살아가는 것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는지, 넷째, BDSM을 수행하는 여성들에게 어떤 규범과 권력들이 작용하는지를 연구 질문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서론에서 연구참여자들을 가명과 나이, 직업과 BDSM 성향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이들이 연구에 참여하게 된 이유와 목적을 정리한다. 연구자의 위치성 부분에서 연구자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해 어떤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성찰하고 심층인터뷰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것인지를 설명한다. 본고에서 빈번하게 언급되는 BDSM의 용어 정리를 마지막으롤 서론을 마무리한다. 본론 첫 번째에서는 이제껏 학계에서 연구된 바 없는 국내 BDSM 판이 작동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어떤 플랫폼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이 BDSM을 수행하는지, 어떤 관계를 통해 어떤 정동을 느끼는지 분석한다. BDSM이 여전히 ‘음지’의 탈규범적 성적 실천으로 인식되고 있는 바,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는데 각 플랫폼의 서로 다른 성격과 규범에 초점을 맞추어 ‘아라곤 왕국’과 ‘트위터’, ‘틴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변태바닐라’라는 국내 BDSM 판의 특수한 존재양식을 기준으로 각 개인이 생각하는 ‘BDSM’의 범주가 다르게 규정되고 있으며 플랫폼의 접근성, 이용방식, 내부 규칙들이 해당 커뮤니티만의 ‘BDSM 규범성’을 만들고 있음을 포착한다. 이어서 각종 커뮤니티 내에서 BDSMer들이 맺는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자 연구참여자 BDSMer 여성들이 BDSM을 수행하면서 어떤 사람들과 어떤 경험을 가졌는지 구체적으로 인용해온다. 특히 BDSM의 다양한 ‘성향’이 BDSMer의 ‘젠더’와 결합하면서 생기는 수요와 공급의 논리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멜돔’에 대한 기피반응이나 상품화되는 ‘펨돔’의 서비스를 분석한다. 끝으로는 ‘성 탐구기’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여성들이 BDSM 판 안에서 특정한 성향으로 자신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소비되어지는 경향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정리하고 그 의미를 찾는다. 본문의 두 번째에서는 BDSM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이름’이 매우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의 이름에 해당하는 ‘성향’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발견되고 개인에게 부착되는지 해당 이름이 개인의 다른 이름들과는 어떤 방식으로 공존하는지 알아본다. 이 이름이 BDSM의 성향처럼 ‘정체성’과 유사한 결을 가질 때 이 성향은 어떤 내적 규범을 가지고 있고 개인은 어떻게 이를 수용하는지 온라인의 ‘BDSM 테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바를 바탕으로 젊은 한국여성 참여자들에게 ‘페미니스트’라는 정체성과 ‘BDSMer’라는 정체성은 어떻게 공존하거나 갈등하는지를 분석하고 상반되는 두 가지 규범이 한 사람에게 동시에 작용할 때 이들은 이를 어떻게 파악하고 받아들이는지, 그에 따라 어떤 ‘주체’가 되어가는지 알아본다. 이어서 이들의 섹슈얼리티 탐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몸’에 대해 연구참여자 여성들이 ‘몸 이미지’에 대해 구성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젊은’ ‘여성’의 몸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몸은 외부에 의해 규정되어지기 쉽다. 끊임없이 ‘셰이밍’(shaming)되어오면서 동시에 페미니즘의 규범 속에서 자신의 몸을 ‘긍정’하는 이들의 몸의 전략을 살핀다. 또한 BDSM 성적 실천이 ‘섹스’가 아닌 ‘플레이’로 불리는 점을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들 중 섹스와 플레이를 구분하여 배치하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담는다. 이들이 섹스와 플레이를 구분하는 방식에 있어 단순히 삽입섹스의 여부만이 중요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몸과 상대에 대한 정동이 연결되는 방식이 중요시되는 것을 중심으로 인터뷰를 분석한다. 본론의 마지막 장에는 여성이 섹슈얼리티 그 자체를 욕망하게 되었다고 보는 연구자의 입장에서 욕망의 반대로 읽혀지는 ‘우울’이 어떤 방식으로 섹슈얼리티 탐구를 부추기거나 단념시키는지를 여성 개인의 내밀한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이들의 우울이 신자유주의적 기획 하에 어떻게 병리화되며 또한 이들은 우울감과 우울증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어떤 생애적 시점에 우울이 찾아오는지를 사회학적 맥락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이 느끼는 질병으로서의 우울이 이들의 타고난 기질적 특성이라는 설명에서 벗어나 이들이 우울을 느끼고 그를 치료해야겠다고 결심한 시점이 당시 이들의 사회적 경험과 어떻게 맞닿아있는지를 중심으로 구조 안의 우울과 섹슈얼리티를 다시 바라본다. 이어서 각종 폭력에 대한 피해경험이 있는 여성참여자들이 해당 피해사실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자신의 ‘피해자성’을 어떻게 내면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며 가장 ‘주체성’을 잃었다고 생각하는 순간들이 연구 시점의 이들에게 어떻게 구축되고 있는지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추구하는 ‘진정한 자아’에의 욕망이 신자유주의와 페미니즘의 주체 기획에 포섭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짚고 해당 욕망이 섹슈얼리티 탐구를 경유하는 이유를 분석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