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MZ세대의 목회적 돌봄 연구

Title
MZ세대의 목회적 돌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storal care for the MZ generation : A church serving as an ‘Transitional Space’ to restore public identity
Authors
지상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희규
Abstract
본 논문은 절망적 자아상을 공유한 MZ세대 청년들에게 희망할 수 있는 종말론적 자아와 공적 주체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중간 공간(Transitional Space)을 교회가 제공할 수 있도록 목회적 돌봄 모델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오늘날 개신교 MZ세대 청년들은 신자유주의적 능력주의 사회와 교회의 성장 중심적 패러다임이라는 양면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이중고(二重苦)의 부담을 안고 있는 오늘날 청년들은 사회, 가정, 교회 어디서든 진정한 자아을 발휘할 안전한 공간을 찾을 수 없다. 그들은 모든 곳에서 그들의 능력을 발휘하느라 너무도 지쳐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선 현대 한국 사회에서 MZ세대가 겪는 정서적, 실존적 위기를 규명한다. 이에 MZ세대의 문화적 현상을 통하여 이들의 정서적 특징을 분석한 이후에, 이들의 이러한 정서적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도록 만든 요인을 사회 구조적 측면과 종교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오늘날 대다수의 MZ세대 청년들을 절망적 자아상을 공유한 세대로 묘사한다. 이어서 연구자는 절망적 자아상을 가진 오늘날의 청년들에게 기독교의 종말론적인 희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보며,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의 희망의 종말론과 로버트 다익스트라(Robert Dykstra)의 종말론적 자아 개념을 통하여 이 세대에 적합한 기독교 종말론적 자아상을 제시한다. 또한 종말론적 자아 형성을 돕는 방법론적인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의 중간 공간 개념을 통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또한 여기서 논의한 중간 공간의 교회 모델을 한국 교회 내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국 교회에 만연한 성장 중심의 목회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중간 공간이 추구하는 자율성과 주체성이 실현되기 어려운 오늘날의 성장·부흥 중심의 목회 패러다임을 단 브라우닝의 비판적 해석학이라는 방법론적 틀을 활용하여 비판하고 수정한다. 이 과정에서 오늘날 개신교 청년들에게 나타나는 경험적 사례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그 안에 역기능적으로 드러나는 이론을 수정하고 그 수정된 목회 패러다임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교회가 제공하는 중간 공간이 어떻게 그들에게 공적 주체성을 실현하도록 도울 수 있는지 전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pastoral care model that empowers the Protestant young adults of the MZ generation to assume a public Identity encouraged in the transitional space provided by the church. Today the MZ generation faces a double-sided crisis of neoliberal meritocracy of the society and growth-oriented paradigm of the church. Doubly burdened, today's young people cannot find a safe space to exercise their true selves anywhere, whether in society, at home, or in the church. They are too exhausted to exert their abilities everywhere. This thesis identifies the emotional and existential crisis the MZ generation experienc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ir problems in terms of structural and religious factor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MZ generation as the generation of the "hopeless self." The theological analysis attempts to offer the eschatological hope of Christianity, formulated here as the "eschatological self," as a remedy for the "hopeless self." Jürgen Moltmann's 'eschatology of hope' and Robert Dykstra's theory of the 'eschatological self' offers a fitting Christian eschatology for this generation. This theological understanding is brought into conversation with Winnicott's concept of "transitional space," where the eschatological self can be developed as the result of playing in this space, where we can expect the 'hope' to form. This understanding sheds light on the case studies of the MZ generation protestant young adults' experiences, which are analyzed through the critical hermeneutics of Don Browning's practical theological method. As a corrected theological ministry paradigm, this research provides a model of pastoral ministry that empowers young adults to form public agency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the transitional space offered by the chu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