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 개발 연구

Title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Gifted in Science : Focusing on the Biological Field
Authors
이갑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동희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영재교육 프로그램(생물 분야)과 수업에 적용하여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주요 특성별 적합도와 수업 적용 사례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따라야 할 평가 기준의 주요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주요 특성별 적합도는 어떠한가? 셋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개선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적용 사례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먼저 영재교육 및 교육프로그램 평가 관련 참고 문헌 조사, 미국 국립영재학회(NAG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의 교육과정연구회(Curriculum Studies)가 개발한 교육과정 평가 루브릭(Rubric for Rating Outstanding Curriculum Material) 관련 이론적 탐색, 국내에서 개발된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미국 NAGC에서 개발한 영재교육과정 평가 루브릭을 국내 교육 여건에 적절하게 1, 2, 3차에 걸쳐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주요 특성을 가진 36문항의 체크리스트 형태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평가 기준을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 Gifted Education Database)에 탑재된 과학 영역(생물 분야)의 총 101개(중등 56개, 초등 45개)의 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수업 사례 적용을 위해 분석 프로그램 중 1개를 선택하고 주요 특성 5개를 중점적으로 개선하여 지역교육청 중등영재원의 과학영재 12명을 대상으로 2회 6차시 수업을 연구자가 직접 실행하였다. 각 연구 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에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과정을 거쳐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이 개발되었다. 첫째, 미국 NAGC에 의해 개발된 교육과정 평가 루브릭의 12개의 주요 특성이 도출된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3점 척도의 평가 루브릭을 평가자들의 논의와 교육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체크리스트 형태로 바꾸었다. 셋째, 예비 연구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공통 기준으로 10개의 주요 특성과 교과의 특성 1개를 추가하여 11개의 주요 특성을 가진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이 완성되었다. 넷째, 예비 연구에서 만들어진 평가 기준은 분석 연구에서 또다시 수정되어 최종적으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이 개발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이 평가 기준으로 GED에 탑재된 과학 영역(생물 분야)의 101개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프로그램 수준을 분석해 본 결과 초중등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수준 3(보통)과 4(높음)수준에 있었다. 둘째, 주요 특성별 적합도 수준은 몇몇 항목을 제외하고 초․중등 모두 같은 수준에 있었다. 셋째, 주요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차별화의 본질은 1개를 제외한 4개 항목이 수준 1(매우 낮음)이어서 초․중등 모두 프로그램 내 차별화 전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구 문제 3에서는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주요 특성 5개를 중점적으로 개선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선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 차별화되었고 둘째, 개별 활동, 모둠 활동, 정보수집 및 활용, 실험, 포스터 제작, 전체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재능을 발굴하는 기회를 제공받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개별 활동과 모둠 활동의 중요성과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의 반복 과정을 경험하였다. 넷째, 영재들은 정보 수집 활동과 정보 활용 능력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업 적용 과정에 대한 문서화는 교사의 수업 반성과 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사례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논의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공통 기준으로 10개의 주요 특성과 교과 특성(생물 분야) 1개로 이루어져 있는 이 평가 기준은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따라야 할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제공해준다. 둘째, 이 평가 기준은 제공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선택의 기준과 정당성을 제공해주고 나아가 선택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할 때 방향성을 제공해준다. 셋째, 이 평가 기준은 프로그램을 수업으로 실행할 때 교육 구성 요소의 일관성을 검토할 수 있고 수업 실행 반성 사례에 따른 문서화로 영재 교사들에게 수업 적용 사례 공유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제공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선택하고 개선하여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의 자기 성찰, 학생 성장 모니터링 그리고 교육을 차별화하는데 사용될 학생 활동 데이터의 축적이 필요하다. 넷째, 한 주제에 연계되어 소주제가 3개 이상의 수업(12~16차시)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영재교육원 환경을 정책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자원 및 자료의 학생 활용 수준을 높여 실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By applying this to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biology field) and classes, how suitable each key feature is as a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how it is applied in classes are to be examined.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evaluation criteria to be followed when developing a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Second, how suitable is each key feature as a gifted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Third, how are the cases of applying the improved gift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To examine these quiestions, the rubric for evaluating the gifted curriculum developed by the NAGC went through 3 series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o be appropriate for domestic educational conditions. Finally,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he form of a checklist of 36 questions with 11 key features were developed. This evaluation criterion was applied to a total of 101 science subjects programs in the science field (biology field), which were loaded on the GED. For the application of class cases, one of the analysis programs was selected and gave 6 periods of classes for twice to 12 science gifted students. Results for each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stages. First, the meaning of the 12 key features of the curriculum evaluation rubric developed by NAGC was analyzed. Second, the evaluation rubric on a three-point scale was changed to a checklist-form. Third, in a preliminary study, the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with 11 key features were completed by adding 10 key features and 1 subject component as a common criterion for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s. Fourth, the evaluation criteria devised in the preliminary study were revised again in the analysis study, and finally,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When it comes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101 programs in the scientific field (biology field) equipped with GED were evalua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evaluation criteria, resulting 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 level, most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programs were at levels 3 (normal) and 4 (hig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suitability for each key feature,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mostly at the same level except for a few items. Third, the nature of differentiation, which is the most key feature, but all except for one item were at level 1(very low), showing that few differentiation strategies were made in the program. The third research question, one of the programs was applied to the class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ifted students recognized that program was differentiated from school education. Second, gifted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wer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ir talents by experiencing various activities. Third, in problem solving, gifted children experienced the repetitive process of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Fourth, it was found that gifted people are suffering from lack of activities and abil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Fifth, teacher reflection on the lesson process was documente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is evaluation criterion clearly provides the evaluation criteria to follow when developing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Second, this evaluation criterion provides direction and justification when choosing and improving. Thir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as a class, the consistency of the educational components can be reviewed based on this evaluation criteria, and documentation of reviewing and relfecting the real-class cases. Based on the conclusions and results, this study propose as follows. First, when developing a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a high-quality program should be developed using evaluation criteria. Second, the provid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selected and enhanced using evaluation criteria to promote quality improvement. Thir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student activity data. Fourth, it is essential to come up with policie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for the gifted education center that enables three or more consecutive lessons associated with one topic. Fifth,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s need to be advanc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