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6 Download: 0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도와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도와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ASD and Mothers’Parenting Stress in Middle School Transition
Authors
홍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는 전환의 시기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들어서는 시기로, 학생들은 물리적인 환경 변화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사회적, 심리·정서적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는다. 특히,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경우, 동일성에 대한 집착, 예측 및 유연한 사고의 어려움 등의 특성으로 인해 초등학교에 비해 구조화되지 않은 새로운 중학교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실행기능의 결함, 낮은 중앙응집력 등의 신경심리학적 특성으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수행이 요구되는 중학교 상황에서 조직화하고 구조하는 것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또 이들은 주요 결함인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가 더 다양해지고 또래와의 관계가 중요해지는 청소년기에 또래와 관계를 맺고, 우정을 형성하는 것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중학교 전환 시기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들은 정서적으로 많은 불안을 느끼며, 이들의 부모 역시 자녀의 중학교 진학과 관련하여 높은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가진다. 이처럼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중학교로의 전환은 이들의 독특한 장애 특성으로 인해 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과정으로, 이들의 성공적인 중학교 전환을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중학교 전환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본 프로그램이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도,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반중학교로의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과 그들의 어머니 20쌍으로, 실험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10쌍과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 10쌍으로 구성하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전환 지원 프로그램은 중학교 전환과 관련하여 필요한 일반적인 지원과 더불어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으로 인해 필요한 지원을 함께 반영하여, 협력을 위한 준비, 중학교 전환 시기 관련 정보 제공, 중학교에서 필요한 기술 교수, 중학교 진학 사전 준비, 협력 회의, 중학교 진학 후 상담의 6개 주제로 구성된 15회기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은 주제에 따라 집단 활동과 개별 활동의 방법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및 어머니를 지원하도록 구성하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도,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 간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와 두 집단 간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별 두 집단의 사전-사후 차이 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 학교적응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적응도 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의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전환 지원 프로그램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의 학교적응도는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의 학교적응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적응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셋째, 자폐 범주성 장애 특성을 반영한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어머니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 사전-사후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어머니의 중등 전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중학교 전환 지원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 및 어머니를 대상으로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중학교로의 전환 지원 프로그램에 자폐 범주성 장애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하고, 학생을 둘러싼 전환의 주요 관련인들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기회를 함께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후속연구를 통해 더 다양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에서 실시된 것과 같은 중학교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중학교 전환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중학교 전환 지원과 관련하여 부모, 교사를 비롯한 관련인들이 협력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transition perio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volves various physical,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as well as environmental changes as students enter adolescence from childhood. Sinc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especially have insistence on sameness, and difficulties in prediction and inflexible adherence to routines, they face difficulties adjusting to a new middle school environment, which is less structured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students with ASD have difficulties in organizing and structuring, because of their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mpaired executive function and weak central coherence, in middle school circumstances that require autonomy and independence. Moreover, due to their major deficits in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y also struggle with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building friendships in adolescence when social relationships become more diverse,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become important. For these reasons, students with ASD have much anxiety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and their parents also have huge anxiety and stress of their ASD children’s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As such, the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is an arduous process due to their unique disability characteristics, requiring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middle school. However, research on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ASD is very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a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SD for students with ASD and their mothers. Then,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ASD,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pairs of mothers and students with ASD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were about to enter a general middle school. They were divided into 10 pairs of experimental groups and 10 pairs of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s. This transition support program contains the general support required for middle school transition and the specific suppor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SD. It is also a 15-session program consisting of the following topics: preparation for cooper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transition period to middle school, teaching necessary skills in middle school, prior preparation for entering middle school, cooperation meeting, and counseling after entering middle school. This program is structured to support students with ASD and their mothers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opic. This study measured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ASD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S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identify if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change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ASD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iddle school transition. The chang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i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school adjustment tes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changes of the students’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of this study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ASD. Second,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at this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overall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ASD.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changes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SD and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As a result,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is relevant that it developed and applied the first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with ASD and their mothers and verified its effects, while there are not many of them in Korea. In addition, this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is also meaningful in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SD in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and including opportunities for key personnel surrounding students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Future follow-up studies should carry out a middle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similar to the one in this program for a wider variety of students with ASD, and research to confirm the effect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ay to support middle school transition for students with ASD should be sought in this process. Moreover, future studies should also be continuously conducted on various ways for parents, teachers, and other related expert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support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of students with AS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