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2 Download: 0

성평등 교육을 위한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의 여성 이미지 비교 연구

Title
성평등 교육을 위한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의 여성 이미지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about Female Images of Modern Novels in National Language Textbooks between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Authors
HUI, SIRA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은 한·중 양국의 국어(어문, 語文)과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을 연구 중심으로 삼아 이 부분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교·분석할 것이다. 교과서 안의 현대소설 작품 수록 양상 및 본문에서의 여성 인물 이미지, 학습활동에 초점을 맞춰 살펴볼 것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더 바람직한 성평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Ⅰ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중 양국의 여성 이미지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연구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필요성을 주로 역사적 근원, 현실적 문제,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청소년으로서의 특징, 교육에 대한 요구 등 측면에서 밝혔다. 이에 따라 진정한 성평등 사회, 모든 구성원이 평등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미래 사회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세대에게 바람직한 성평등 의식,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선행연구 부분은 주로 한·중 국어과 비교 연구, 한국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여성 이미지 연구, 중국 고등학교 어문(語文)과 교과서의 여성 이미지 연구의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의 국어 교과서 12종과 문학 교과서 10종, 중국의 5가지 대표적인 출판사가 출판한 필수, 선수, 선택적 필수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앞서 선정한 교과서의 현대소설 작품의 수록 양상, 본문과 학습활동의 여성 이미지 형상화 양상에 관해 비교·분석하고 원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전제를 꼼꼼히 살펴보며 이론적 토대를 다졌다. 먼저 페미니즘의 기본적인 입장, 페미니즘 문학 비평 이론, 페미니즘 문학 비평의 의의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는 성평등과 관련한 이론을 제시하였고 주로 성평등의 개념과 의의, 성평등 교육의 개념과 목표, 현대소설을 통한 성평등의 교육의 의의 등과 관련한 풍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양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본격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한·중 고등학교 국어과의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나라의 표준적인 교육 목표, 성취기준과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성평등을 위한 현대소설 교육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교과서 자체의 현대소설 작품 수록 상황을 고찰하였고 작가와 주요 인물의 성비를 통계하였다. 이어서 본문 수록 현대소설 작품과 이에 관한 학습활동의 여성 이미지 형상화 과정을 분석하여 한·중 양국의 상황을 비교하였다. 비교의 결과, 현재 양국의 교육은 모두 성 중립적 교육에 가까우며 성에 더 민감한 교육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공통점을 얻을 수 있었다. 차이점의 경우, 교과서 작품의 수록 양상, 본문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학습활동을 통해 부각되는 여성 이미지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한·중 양국은 각각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앞선 한·중 양국의 교과서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교를 기반으로 하여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앞으로의 교육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미래 더 바람직한 성평등 교육 양상을 구축하기 위한 한·중 양국의 교과서를 개선하는 데 수록할 만한 작품을 선택하여 교육적 의의를 밝히며 학습활동의 개선을 위해 방향을 지적하여 대표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앞으로 한·중 양국의 국어과 현대소설 교육이 더욱더 성평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성에 민감한 교육으로 전환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후속 관련 연구에 대한 기대를 밝혔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ise a modern novel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emale images based on the modern novels in Korean and Chinese’s national languages textbooks. In recent years, both South Korea and China’s society have experienced varying degrees of gender antagonism.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patriarchy and the idea of sexual discrimination that permeated in education. Based on this kind of social reality, this study explored the female images of modern novels included in High school national languages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from three aspects, and found many sexual discrimination phenomenons hidden behind the education. The first aspect is the situation of modern novels selected in the textbooks, the second aspect is the novel text that is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the last aspect is the learning activit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learning achievement evaluate standards between China and Korea. Grasping the problems of female images figuration appearance and formulating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realization of a more ideal gender equality education. Therefore, the Chapter I clar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mages of women i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specific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were mainly identified in terms of historical sources, practical problems,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learners as adolescents, and demands for educ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create a truly gender-equal society, a future society in which all members can enjoy their own happiness equally and free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ducate new generations to form desirab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values. The previous research was mainly considered from three aspects: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language studies, the studies of female images in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and the studies of female images in Chinese high school textbooks. Then as for this paper’s study subjects, 12 Korean textbooks and 10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nd Chinese compulsory and optional textbooks, required-optional Chinese textbooks published by five major Chinese publishers were selected. As for research metho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modern novel works in the textbooks previously selected, and the aspect of figuration the image of women in the text of novel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uggested the possible causes. Furthermore,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premise of this study was thoroughly examined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laid. First, the basic position of feminism, the theory of feminist literary criticism, and the significance of feminist literary criticism were introduced. Next, theories related to gender equality were presented, and rich theories related to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gender equality, the concept and goal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modern novels were presented. Chapter III analyz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 and China.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ard educational goals or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modern novel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was confirmed. Next, the situation of Korea and China was compared by analyzing the process of shaping the image of women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modern novel works contained in the main text of th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urrent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both are more close to gender-neut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is two countries education to move toward a more gender-sensitiv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Korea and China’s education showed many differences. Then, in Chapter IV,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image of women in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this paper examined the limitations, and presented directions and plans to improve future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recommended some literature works that could be used in textbooks for Korea and China’s novel education in order to build a more desirable gender-equal society in the future.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pointed out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ctivities and designed some representative method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ransforming the education of modern novels in Korea and China to gender-sensitive education in the future. Lastly, in Chapter V,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by summarizing the foregoing. And also expressed the expectations for follow-up related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