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8 Download: 0

마틴 셀리그만의 웰빙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Who am I」에 관한 연구

Title
마틴 셀리그만의 웰빙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Who am I」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Who am I」 based on Martin Seligman’s well-being theory
Authors
정민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웰빙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오늘날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과 달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개인주의, 물질만능주의와 같은 가치관은 인간의 긴장과 불안을 고조시키고 있다. 또한 자신의 힘으로는 통제 불가능한 상황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상실감, 무기력감 그리고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사회 전반의 문제와 현상으로 인해 최근 많은 학자가 긍정심리학자인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 1942-)의 웰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개념인 팔마(PERMA) 요소에 주목하고 있다.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서 시작된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은 인간이 개인적, 사회적 웰빙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을 찾고 덕목을 개발시켜 나아갈 때 그 삶은 번영하고 풍요롭게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문제로 인해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자아상실과 부정적 심리의 악순환을 해결하기 위해 셀리그만의 웰빙 요소인 팔마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Who am I」(2021)를 안무하였다. 작품은 총 3장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장면마다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움직임과 이동경로, 오브제와 의상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통해 작품에 나타난 표현적 특성을 기술하고 현대인들의 희망적인 미래와 변화로 인한 번성한 삶의 중요함을 일깨우고자 했다. 1장은 ‘불안’을 주제로 하여 현대사회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공허와 무기력한 부정적인 내면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대 상수 앞쪽에 협소한 사각 조명을 비춰 고립된 공간의 분위기를 느끼도록 연출하였으며 강약의 대조되는 낮은 레벨의 움직임으로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에 억압받으며 불안해하는 주체의 심리상태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때 오브제로 의자와 검정 가디건을 활용하여 사회적 단절과 소외된 상태, 황폐해진 정서적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정서적 공포와 두려움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종소리 효과음과 느리고 미세하게 들려오는 느린 박자의 음악을 중첩되게 사용하여 주체의 불안정한 내적 표현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2장은 ‘회복’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상태를 의식한 인간이 부정적 생각에서 벗어나 자아를 발견해 나아가는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파란색 조명과 사선 길 조명을 무대 상수 앞쪽 불안의 공간에서부터 하수 뒤쪽 회복의 공간으로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1장에서 강조된 종소리 효과음을 시작으로 이어지는 반복적인 피아노 선율은 주체의 내면에 강한 의지가 느껴지는 웅장한 분위기를 자아내었고, 무용수의 박진감 있는 에너지와 다양한 초점의 사용 그리고 신체 레벨의 변화에 따른 동적 움직임은 삶을 회복해나가는 주체의 적극적인 내적 욕구와 심리상태를 부각시켰다. 또한 무용수가 오브제인 의자와 검정 가디건을 무대 상수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불안의 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한 몰입과 긍정적 관계 형성을 갈망하는 주체의 내적 회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3장은 ‘희망’을 주제로 하여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여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삶의 의미와 성취하는 삶을 지향하는 주체의 용기있고 희망찬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명은 파란색에서 점차 따듯한 분위기의 노란색 조명으로 전환시키고 무대 전체에 물결무늬 고보 조명을 더하여 행복의 증진과 번성을 통해 주체의 자아실현적 웰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암시하고자 하였다. 이후 회복을 의미하는 파란색, 희망을 의미하는 노란색, 열정을 의미하는 빨간색의 기본 삼원색 조명을 추가하여 희망적인 미래를 위해 발전해 나가고자 하는 주체의 열의를 표현하였다. 또한 선율이 부드럽게 이어지고 청량한 느낌을 주는 밝은 음악을 사용하여 주체의 내면에서 생성되는 만족과 기쁨이 충만한 플로리시의 상태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Who am I」 를 통해서 웰빙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더불어 자신의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의 과정을 무용예술로 표현함으로써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와 정체성 회복을 지혜롭게 해결해나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In modern society, well-being is an important keyword that shows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Unlike today's growing interest in well-being, values ​​such a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intensify human tension and anxiety. In addition, as modern people repeatedly experience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beyond their control, negative emotions such as feelings of loss, helplessness, and depression are deepening. Due to these macroscopic social problems and phenomena, many researchers recently are paying attention to PERMA (Positive emotion,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nd Achievement), a concrete and practical concept, namely elements presented by the wellbeing theory of Martin Seligman (1942~), a positive psychologist. Seligman’s positive psychology, which started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appiness, emphasizes that life can be prosperous when humans find their strengths and develop their virtues to pursue personal and social well-being.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PERMA, a well-being element unique to Seligman, to solve the vicious cycle of loss of self and negative psychology that humans experience due to the problems inherent in modern society, and choreographed 「Who am I」(2021), a dance creation based on PERMA. This work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nd each scene analyzes the theme and content, space use and composition by scene, movement and movement path of the dancer, and the symbolic meaning of objects and costumes. In addition, the author tried to describ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nd awaken the importance of a hopeful future for modern people and a prosperous life due to change. Chapter 1, with the theme of 'anxiety,' shows the emptiness and helplessness of human beings who are fiercely living in order not to be eliminated from modern society. To this end, the author lit a narrow square light in front of the stage constant to create an atmosphere of an isolated space and emphasiz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who was suppressed by their negative emotions and was anxious by low-level movements that contrasted with strength and weakness. At this time, the author tried to effectively express the atmosphere of emotional horror and fear by emphasizing social isolation, alienation, and devastated emotional images using a chair and a black cardigan as objects. In addition, the director maximized the subject's unstable inner expression by overlapping the sound of the bell and the slow, subtle music. Chapter 2, with the theme of 'recovery,' shows a human being conscious of his condition, freeing himself from negative thoughts and discovering himself. To this end, the director extended the blue lighting and diagonal road lighting from anxiety in front of the stage constant to the space of recovery behind the sewage. The repetitive piano melody that starts with the bell sound effect emphasized in Chapter 1 created a magnificent atmosphere where the main character's inner will is felt. It highlights the active inner desire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recovering from his life. In addition, the director symbolically expressed the inner recovery of the subject, longing for immers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formation for the achievement of new goals, out of the space of anxiety by the dancer pushing the chair and black cardigan, which are objects, out of the stage constant. In this way, through the dance creation “Who am I,” the researcher aimed to claim that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modern people and recovery of their identity could be wisely solved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through dance art that makes them reflect on their own values ​​and meanings as well as accurate awareness of well-being. Chapter 3, under the theme of ‘hope,’ reveals the courageous and hopeful figure of the subject who discovers his strengths, overcomes negative emotions, and aims for the meaning of life and fulfilling life. To this end, the director gradually changed the lighting from blue to warm yellow and added wave-patterned LED lighting to the entire stage, implying that the subject's self-actualizing well-being is being achieved through the promotion and prosperity of happiness. Afterward, the director added the basic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ing: blue, meaning recovery, yellow, meaning hope, and red, meaning passion, to express the subject's enthusiasm to develop for a hopeful future. In addition, by using bright music with a soft melody and a refreshing feeling, the work intended to reveal the state of flourish, which is full of satisfaction and joy generated within the subject. In this way, through the dance creation “Who am I,” the researcher aimed to claim that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modern people and recovery of their identity could be wisely solved by express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through dance art that makes them reflect on their values ​​and meanings as well as accurate awareness of well-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