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21세기 한국음악축제의 글로컬 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21세기 한국음악축제의 글로컬 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local strategies of 21th Century Korean Music Festival : An aspect of 2020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uthors
남지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정소희
Abstract
본 논문은 탈지역화 트렌드에 맞춰 변화되는 환경 속에서 21세기 한국음악축제가 구사하는 성공적인 글로컬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2020년에 발발한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사회, 경제, 문화 그리고 일상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전 지구적인 위기 속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되면서 탈세계화의 심화, 언택트(Untact) 문화의 확산, 홈코노미(Home+Economy) 시장의 부상,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등으로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모습과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는 사회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환경에도 나타나고 있다. 수많은 공연과 축제들이 다수 연기와 취소되는 위기 속에서 미디어, 온라인, VR 디지털 기술 등 비대면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로 진화되면서 언택트(Untact)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2020전주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특히 음악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21세기 한국음악축제의 글로컬 전략을 3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2001년부터 개최된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역대 현황부터 2020전주세계소리축제의 주요 프로그램구성 현황분석을 통해 전 세계에서도 한국의 판소리를 경험할 수 있도록 쌍방향으로 소통을 하고자 글로컬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한국의 월드뮤직 축제로 인정받고자 하였음을 공통적으로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2020전주세계소리축제의 주요한 글로컬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중파 TV 채널, 유명한 아티스트와의 크로스오버 등 대중화를 매개로 한 한국음악전통의 확장이다. 지역의 문화자원인‘판소리’를 활용한 전주세계소리축제는 대중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창작 전통음악, 즉흥 전통음악, 전통음악의 재창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장르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현시대에 맞게 콘텐츠를 개발하여 더 많은 대중에게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자 하였고, 대중화를 매개로 하여 선보인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며 전통에 대한 고유성과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이질적인 다른 두 장르와의 문화 혼종과 전통음악의 경계 확장이다. 전주세계소리축제가 이전의 판소리를 대중화하고자 하여 서구의 대중문화요소와 결합한 퓨전 국악이나 크로스오버 같은 장르와 달리, 판소리의 장르가 더욱 확장되고 진화되어 다양한 형태와 문화가 만나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문화혼종화를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문화적 소통과 모든 문화와 장르가 뒤섞이고 변화되는 탈경계화의 욕구를 ‘혼종화’하며 소리축제만의 새로운 글로컬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월드뮤직 축제로 자리매김을 하고자 한다. 셋째, 현대화된 테크놀로지 연출방식을 통한 전통적인 공연의 온라인 콘텐츠 강화이다. 특히, 이번 2020전주세계소리축제는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팬데믹으로 인해 기존 공연형식에서 탈피하여 시·공간의 제한 없이 미디어 및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를 강화하였다. SNS, Youtube, Facebook, 공식 홈페이지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하여 공연자와 관객들 간의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이끌면서 효과적인 소통을 촉발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전통문화공연에 테크놀로지한 VR 디지털 기술 융합과 온라인으로 해외 각 지역의 연주자들을 실시간으로 잇는 연출방식을 도입하여 글로컬 콘텐츠에 강화됨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전주세계소리축제는 현시대의 다양한 방식을 시도하여 한국음악축제로서 진화되고 확장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더해 축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문화와 음악을 선보이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소통하며 폭넓은 관객층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앞서 살펴본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전주세계소리축제의 발전 방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라며, 본 연구를 발판으로 향후 21세기 다변화되는 한국음악축제에 관한 연구 및 전주세계소리축제의 발전 방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유의미한 전통음악 기반의 콘텐츠 자료로서 다방면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is thesis explored the successful glocalization strategy used by Korean music festivals in the 21st century in an environment that changes in line with the trend of deterritorializ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at broke out in 2020, we have seen many changes in society, economy, culture, and daily life around the world. Amid the global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outbreak which has ushered in a new era of post-COVID-19, the deepening economic globalization, the spread of ‘untact’ culture, the rise of ‘homeconomy’ (home + economy) market and the acceler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changed the world into a variety of shapes and forms that are incomparably different from before. As such,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COVID-19 are appearing not only in society but also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s well. With numerous performances and festivals being postponed and canceled, they have evolved into various contact-free content such as media, online, and VR digital technology, marking a new era of ‘unt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2020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reflects those changes. In particular, after intensively analyzing the music program, three glocalization strategies of the 21st century Korean music festival are presented.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held since 2001 and the major program composition of the 2020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t was found that they developed ‘glocal’ content designed to communicate interactively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so that they can experience Korean Pansori, wanting to be recognized as a world music festival in Korea. The main glocalization strategies of the 2020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studi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trategy is an extens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y popularizing it through a medium such as public broadcasting TV channels and crossovers with famous artists.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which utilizes the local cultural resource ‘Pansori’, is attempting new changes in various ways such as creative traditional music, improvised traditional music,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music by utilizing popular programs. In addition, the festival aimed to promote Korean culture to more public by developing content that is not limited to the genre, but suitable for the present era. Also, it gave the public a sense of pride i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various programs presented through popularization, obtaining the effect of enhancing the uniqueness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 Second strategy is a cultural hybrid with two different genres and an extension of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music. In the Jeonju World Sori Festival, the genre of Pansori has been expanded and evolved, and various forms and cultures have met and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present a cultural hybridization. The festival was unlike previous genre of fusion Korean folk music or crossover which combined elements of Western popular culture to popularize Pansori. This form hybridizes the cultural communication that encompasses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desire for breaking down the territory that is to mix and change all cultures and genres, and creates a new ‘glocal’ program unique to the Jeonju Sori Festival to establish itself as a world music festival. Third strategy is strengthening the online content of traditional performances through a modernized produc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this 2020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has been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performance forma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nd has strengthened online media content which has no time and space restrictions. Various online platforms such as SNS, Youtube, Facebook, and official websites were used to actively lead interactions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s, thereby triggering effective communication. In addition, ‘glocal’ contents were strengthened by adopting VR digital convergence technology and by introducing a directing method where performers from overseas were connected in real time online. As such,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s changing into an evolved and expanded form of a Korean music festival by trying various methods of the new era. On top of that, by presenting Korean culture and music through various programs of the festival, it is securing a wide audienc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I desire that the various case studies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I also desire that this study will be of use to further research on the diversified Korean music festival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and be used in various fields as a meaningful traditional music-based content mater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공연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