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이하은-
dc.creator이하은-
dc.date.accessioned2022-08-04T16:32:11Z-
dc.date.available2022-08-04T16:32:11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91688-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9168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1949-
dc.description.abstractColor is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that evokes the connection of taste, and plays a role in influencing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of food products. Effective use of color in the field of design can give consumers reliability in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nduce purchases. In general, the color of the product does not exist as one, but forms various colors and exists in a complex manner, because when the color is used, the information transfer power is higher than that of a single color and it can greatly affect the association of the recipient. Previous studies on color and taste show that the ad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nochrome and color combination is established in the association of sweetness to two-color combinations. A typical existing study on the addition of monochrome and color scheme is a study on color emotion, and there is a case in which a quantitative model capable of predicting color emotion is developed using the addition relationship between monochrome and two-color combination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additivity is established in the sweetness association up to monochrome and three-color combinations, and whether quantitative prediction of sweetness is possible based on the existing color emotion prediction equation. In this study, 10 colors (R, YR, Y, G, B, PB, P, Pk, Wh, and Bk) in planar samples were composed of monochromatic, two-color, and three-color combinations,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sweetness association for each stimulus. According to the average response value of the experiment, the degree of sweetness association was analyzed by classifying it into sweetness association, neutral association, and non-association color combination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sweetness association according to monochrome and color combin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monochromatic and multi-color cases, the colors that predominantly act on sweetness association and non-association matched. Pink and yellow were the dominant influences in both monochrome and color combination in sweet taste association, and black and purple blue were the dominant influences in sweet taste non-association. Second, the sweetness association of two-color combinations was influenced by one color. The association degree changed when the sweet association color combined with and the association, non-association, and neutral color. Third, the sweetness association of three color combinations was influenced by one and two colors. The degree of association changed when two colors of sweetness association and sweetness non-association were combined with association, non-association, and neutral color.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association of the sweetness of multiple color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ssociation of fewer colors or monochromatic colors, and since the establishment of additivity was confirmed, the quantitative predictability of sweetness was analyzed. Fourth, when predicting the sweetness association with the color emotion prediction equation, prediction was established in both two-color and three-color colors. Among them, as a result of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colors separately, it was almost a combination including sweet neutral col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monochrome color and multi-color combination established an additional relationship in sweet taste association, and through this, the quantitative predictability of sweet taste association was confirmed. Using this, it was shown that the sweetness association can be predicted with a color emotion prediction equation. ;색채는 맛의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시각 정보이며, 식품의 기능적이고 미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효과적인 색채의 사용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색채는 하나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배색을 이루며 복합적으로 존재하는데, 배색을 사용했을 때 단색보다 정보 전달력을 높여주고 수용자의 연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배색과 맛에 관한 선행연구는 2색 배색에 대한 단맛의 연상에서 단색과 배색의 가산 관계가 성립한다는 결과가 존재한다. 단색과 배색의 가산성에 대한 기존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색채 감정에 관한 연구가 있는데, 단색과 2색 배색의 가산 관계를 활용하여 색채 감정을 예측할 수 있는 정량적 모델을 개발한 사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색과 3색 배색까지의 단맛 연상에서 가산성의 성립 여부와, 기존의 색채 감정 예측식을 토대로 단맛에 대한 정량적 예측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평면 샘플에 10가지 색채(R, YR, Y, G, B, PB, P, Pk, Wh, Bk)를 각각 단색, 2색 배색, 3색 배색으로 구성하여 대상자들에게 각 자극물에 대한 단맛 연상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응답 값의 평균에 따라 단맛 연상도를 단맛 연상 배색, 중립 연상 배색, 비(非)연상 배색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단색과 배색에 따른 단맛 연상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색과 다배색 시 모두 단맛 연상과 비연상에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색상이 일치했다. 단맛 연상에서는 단색과 배색 모두 Pink와 Yellow가, 단맛 비연상에서는 Black과 Purple Blue가 지배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2색 배색의 단맛 연상도는 1색의 영향을 받았다. 단맛 연상 색상에 연상, 비연상, 중립 색상을 조합했을 때에 연상도가 달라졌다. 셋째, 3색 배색의 단맛 연상도는 1색 및 2색의 영향을 받았다. 단맛 연상 2색 배색과 단맛 비연상 2색 배색에 연상, 비연상, 중립 색상을 조합했을 때에 연상도가 달라졌다. 이를 통해 다배색의 단맛 연상도는 그보다 적은 배색이나 단색의 연상도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산성(additivity)의 성립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단맛에 대한 정량적 예측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넷째, 색채 감정 예측식으로 단맛 연상을 예측했을 때, 2색 배색과 3색 배색에서 모두 예측이 성립했다. 그 중 특징적 배색들을 분류하여 따로 분석해 본 결과, 모두 단맛 중립 색상을 포함한 배색이었다. 본 연구는 단맛 연상에 있어서 단색과 배색이 가산 관계를 성립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단맛 연상의 정량적 예측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를 활용하여 색채 감정 예측 모델로 단맛 연상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색채 연상 및 공감각 4 1. 색채의 연상 4 2. 색채의 공감각 5 B. 색채와 미각 6 1. 색채와 미각의 관계 6 2. 색채와 단맛의 관계 7 C. 배색과 단맛 및 감정 예측 9 1. 배색과 단맛에 관한 연구 사례 9 2. 배색과 감정 예측에 관한 연구 사례 11 Ⅲ. 단색과 배색의 단맛 연상 실험 및 분석 13 A. 실험 목적 및 방법 13 B. 실험계획 14 1. 실험 자극물 14 2. 실험 대상 16 3. 실험 절차 17 4. 분석 방법 18 C. 실험 결과 및 분석 19 1. 단색의 단맛 연상 평가 19 2. 2색 배색의 단맛 연상 평가 20 가. 단맛 연상 배색 결과 20 나. 단맛 비연상 배색 결과 25 3. 3색 배색의 단맛 연상 평가 31 가. 단맛 연상 배색 결과 31 나. 단맛 비연상 배색 결과 37 Ⅲ. 배색의 증가에 따른 단맛 연상 예측 45 A. 각 배색의 단맛 연상 예측 결과 45 1. 2색 배색의 단맛 연상 예측 결과 45 2. 3색 배색의 단맛 연상 예측 결과 47 B. 각 배색의 특징적 배색 48 1. 2색 배색의 단맛 연상 관측값과 예측값 차이 48 2. 3색 배색의 단맛 연상 관측값과 예측값 차이 51 3. 2색 배색과 3색 배색의 특징적 배색 분석 54 Ⅴ.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59 부록1. 단색과 배색의 단맛 연상 평가 설문지 62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053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배색의 증가에 따른 단맛 연상 예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ediction of Sweetness Association with Increasing Colour Combinations-
dc.creator.othernameLee, Ha Eun-
dc.format.pagev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