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7 Download: 0

동성 연인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관계만족도 간 관계에서 드러내기의 매개효과

Title
동성 연인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관계만족도 간 관계에서 드러내기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on Effect of Outness between Internalized Homophobia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Same-Sex Couples : Actor and Partner Effects
Authors
김예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성 연인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드러내기,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 및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연인관계 만족도 간 관계에서 드러내기의 매개효과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동성애자, 양성애자, 범성애자로 정체화한 한국 국적의 성인 동성 연인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총 184명, 92쌍의 연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6.0 과 Mplus 7.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파트너1과 2 모두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자신의 연인관계 만족도,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자신의 드러내기 간에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자신의 드러내기와 연인관계 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대방 변인과의 상관도 확인하였는데,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는 상대의 드러내기 정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그 외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상대의 연인관계 만족도, 자신의 드러내기와 상대의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동성 연인 각각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드러내기,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드러내기,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적인 자기효과가 드러내기와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부적인 상대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드러내기 수준과 연인관계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고, 자신의 드러내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상대방의 연인관계 만족도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드러내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신의 드러내기는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상대방의 연인 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즉,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수준이 낮아질 경우 본인의 드러내기 수준이 높아져 이로 인해 상대방의 관계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본인의 연인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상대방의 드러내기의 매개효과가 부트스트래핑 실시 결과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비일관적 매개모형 해석에 따르면 총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여 거짓효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종합하면 자신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는 자신의 드러내기와 연인관계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의 영향력은 자신의 드러내기를 통해 상대방의 연인관계 만족도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동성애혐오와 드러내기가 비단 혼자만의 영역이 아니라 연인에게도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공동의 영역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소수자 대상 상담에서 내담자의 내면화된 동성애혐오 수준을 필수적으로 점검하고 동성 연인 간 관계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성적지향 수용이나 드러내기 문제를 잘 인지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들이는 노력을 줄이고, 해당 문제를 연인과 함께 적절히 해소해나갈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This research looked into same-sex couples in their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ized homophobia, out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o test the actor-partner effect of outness as a mediator between internalized homophobia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APIM. 92 pairs of Korean couples who identify themselves as homosexual, bisexual, or pansexual were surveyed onlin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plus 7.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homophobia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utnes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ut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for their correlation with the partners’, one’s internalized homophobi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tner’s outnes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one’s internalized homophobia, or one’s outness. Second, the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ized homophobia, out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tested. There was a negative actor effect between internalized homophobia and outness, and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 was also a negative partner effect between out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one internalizes homophobia, one is less likely to come-out and be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Also the more one comes-out, the less likely the partner will be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outness between internalized homophobia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tested. The result showed that out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internalized homophobia and th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fore when one has less internalized homophobia, one is more likely to come-out, leading to less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ne’s partner. In addition the partner’s outness showe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one’s internalized homophobia and one’s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bootstrapped. However as both total effect and direct effect were significant, on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for spuriousnes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in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s. In conclusion, one’s internalized homophobia can negatively affect one’s out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can also affect the partn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one’s outness. This shows how one’s internalized homophobia and outness can have influence over the partner as well. Therefore when providing counseling for sexual minorities, counselors must evaluate the clients’ internalized homophobia, have recognition of issues regarding identity acceptance and outness in same-sex couples in order to resolve said issues with the part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