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김성국 작곡 국악 관현악을 위한 <춤추는 바다> 분석 연구

Title
김성국 작곡 국악 관현악을 위한 <춤추는 바다>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tical Study on “ for Korean Traditional Orchestra”Composed by Kim Seong-guk
Authors
박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traditional Orchestra, demand for Korea traditional orchestral works has also increased. A variety of repertoires have become necessary,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is not missing is tradition. Each band develop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radition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commissions composers to suit their own characteristics. Among them, I looked into how the traditional material called 'gut' was expressed through " for Korea traditional orchestra" composed by Seong-guk, which is based on Donghaean Byeolsingu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the music of "The Dancing Sea for Korea traditional Orchestra" consisted of a total of 432 bars of single movement. Based on the change about rehearsal mark, speed, beat, and Jangdan designated by the composer, it was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and 40 parts from a to b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musical structure, the development of the melody is developed with the theme melody borrowed from the shamanic melody of Donghaean Byeolsingut and its variations, It appears throughout the song. As the composition, c key note(?) menarizo, f key note menarizo, c minor and f minor were used, a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c key note menarizo and c minor was high. it was found that harmony was mainly used in connections with the use of V based on c minor. The jangdan was used in Dongsalpuri, Cheongbo 2, 3, 4, and Gutgeori used in Byeolsingut on the east coast, and was used in various forms that could be modified during the performance along with the basic jangdan presented by the composer through improvisation of Janggu. The form of rhythm was mixed and used based on the basic jangdan, focusing on two and three beat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udy of orchestral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it was expressed in two main ways. First, it is a music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musical instruments. It can be divided into solo instruments and string instrumnet, string instrument and percussion instrument, and tutti, In addition to the various tone contrasts according to this combination, the foreground was mainly expressed as wind instruments, the middle ground was mainly expressed as string instruments, and the background was mainly percussion. The jangdan,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leading this song, is not only played in the percussion instrument, but also in the wind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 and I could feel the jangdan styl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instruments even though the percussion instrument did not come out. Composer Kim Seong-guk's "Dancing Sea for Korea traditional Orchestra" did not simply borrow the traditional material of gut, but inherent in it as the composer's music view.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Korea traditional orchestral works based on traditional materials will be created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국악관현악단이 창단된 이후로 국악관현악 작품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른 다양한 레퍼토리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 중 빠지지 않은 중요한 주제 중 하나는 전통이다. 각 악단마다 자신들만의 특색에 맞춰 과거부터 현재까지 전통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을 펼치며 작곡가들에게 위촉을 하고 있다. 그 중 동해안별신굿을 소재로 한 김성국 작곡의 “국악관현악을 위한 <춤추는 바다>를 통하여 ‘굿’이라는 전통 소재를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는지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관현악을 위한 <춤추는 바다>“의 악곡 구조는 총 432마디의 단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작곡가가 지정해놓은 리허설 마크, 속도와 박, 장단에 대한 변화 등을 기준으로 [A]~[C]까지 3개의 단락과 40개의 부분으로 나눠졌다. 둘째, 악곡 구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선율의 전개는 동해안별신굿의 무가 선율을 차용한 주제선율과 그의 변형들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곡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등장한다. 조성의 사용으로는 c 본청 메나리조와 f 본청 메나리조, c minor와 f minor를 사용하였는데 c 본청 메나리조와 c minor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화성은 c minor를 기반으로 한 ⅰ와 Ⅴ의 쓰임새가 주로 연결구에서 많이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장단은 동해안별신굿에서 쓰이는 동살풀이, 청보2,3,4장, 굿거리를 사용하였는데 장단의 원형 그대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작곡가에 의해 변형하여 사용되었다. 리듬의 형태는 기본 장단을 기반으로 하여 2박과 3박을 중심으로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셋째, 관현악 기법 연구를 살펴본 결과 크게 2가지의 방식으로 표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악기편성에 따른 음악적 특징이다. 솔로 악기와 현악기군, 현악기군과 타악기군, 합주(tutti)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편성에 따른 다양한 음색적 대비와 더불어 전경은 주로 관악기로, 중경은 주로 현악기로, 배경은 주로 타악기로 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장단의 활용 및 변화다. 이 곡을 이끌어가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장단을 타악기군에서만 연주하는 것이 아닌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도 연주하며, 타악기가 나오지 않음에도 악기들의 움직임을 통해 장단감을 느낄 수 있었다. 김성국 작곡가의 “국악관현악을 위한 <춤추는 바다>”는 굿이라는 전통적 소재를 단순히 차용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내재 되어있는 음악적 에너지를 작곡가의 음악관으로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의 소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국악관현악 작품들이 생겨나길 바라며 창작 음악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