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5 Download: 0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활동가의 실천경험

Title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활동가의 실천경험
Other Titles
Practical Experience of Activists’ Supporting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Authors
김현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공존하는 이주민 중에서도 체류자격을 부여받지 못하거나 출생등록을 하지 못해 ‘제도가 보호하지 않는’ 미등록 이주아동을 지원하는 활동가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미등록 이주아동에 대한 대응실태를 파악하고 활동가들의 경험에 대한 맥락과 의미를 발견하여 향후 미등록 이주아동 복지지원 환경마련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현재 미등록 이주아동의 복지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경력 3년 이상의 활동가로 설정하였으며, 세평적 사례선택과 눈덩이 표집방법을 통해 총 12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함과 더불어 실천현장에 대한 참여관찰, 그리고 관련 문서기록열람을 통해 이들의 실천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 내 분석을 통해서는 12개의 사례에 대한 개별 주제가 제시되었고, 사례 간 분석을 통해서는 4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3 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사례 분석 결과 전체를 가로지르는 미등록 이주아동을 지원하는 활동가들의 경험에 대한 핵심주제는 ‘제도의 주변에서 각자도생하며 사각지대 아동 권리옹호를 위해 고군분투’로 도출되었다. 세세부 분석 결과를 살펴보자면 먼저, 실천을 통해 만나는 미등록 이주아동들의 실태에 대해서는 ‘국가와 가족이 지키지 못한 사각지대 아동 지원’라는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국가의 부재를 메우는 실천’이라는 하위범주에서는 ‘공적 지원이 전무하여 기본권이 박탈된 아동 지원’, ‘기존 서비스 이용자격에서 배제된 아동 지원’, ‘진로에 대한 계획수립이 불가능한 아동 지원’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또 다른 하위범주인 ‘트라우마와 가족해체를 경험한 아동 지원’에서는 ‘강제이주와 부모체포로 인한 아동의 트라우마 지원’, ‘가족해체로 혼란에 처한 아동 지원’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재정지원 관련 외부적 어려움에 대해서는 ‘재정지원체계 주변인으로서의 고뇌’라는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민간 재정지원처로부터의 제약’이라는 하위범주에서는 ‘단기적 성과만을 요구하는 지원처’, ‘아동을 대상화시키는 지원과정’, ‘인건비 지원 없는 추가적인 행정업무의 부담’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또 다른 하위범주인 ‘정부보조로 인한 공공화 경계’에서는 ‘보조금 지원 없는 미실적 아동 배척 목격’, ‘보조금을 주는 지자체와의 관계를 위한 연대탈퇴 경계’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세 번째, 실천의 내부적 어려움과 딜레마에 대해서는 ‘연민피로와 각자도생의 길’이라는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역량 이상의 과도한 업무 지속’이라는 하위범주 에서는 ‘쏟아지는 요구와 기대로 인한 무력감’, ‘맨 땅에 헤딩하는 것과 같은 막막함’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또 다른 하위범주인 ‘윤리적, 종교적 딜레마로 인한 자괴감’에서는 ‘후원자, 수혜자 간 종교적 차이로 인한 갈등’,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에 처한 아동 지원의 한계’,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외부체험활동’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마지막 하위범주인 ‘혼자 감당해야하는 심리적, 재정적 부담’에서는 ‘혼자 일 하는 것 같은 외로움’, ‘사비까지 털어내는 재정불안’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네 번째,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활동가 간 혼종적 연대를 통한 옹호 추구’이라는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활동가의 다양한 스펙트럼’이라는 하위범주에서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정체성’, ‘사례관리 실천에 대한 입장차이’, ‘차별금지법 제정운동에서의 상이한 참여수위’이라는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또 다른 하위범주인 ‘연대와 옹호의 노력과 한계’에서는 ‘연대를 통한 자원 조직화 및 연계’, ‘옹호를 위한 정책입안과정에서의 배제’, ‘상호이해가 요구되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연대활동’이라는 개념이 도출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함의로는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활동가의 소진관리 및 상호이해를 지원해야하며,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활동가의 역량강화를 지원해야 하며, 미등록 이주아동의 복지지원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지역사회 ‘주민’으로서의 미등록 이주아동 복지정책을 설계해야 하며, 미등록 이주아동 맞춤형 재정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하며, 미등록 이주아동 권리옹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에서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국내의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하는 활동가들의 실천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미등록 이주아동에 대한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실천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in-depth the experiences of activists who support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who are not “protected by the system” because they are not granted residence status or cannot register their birth among migrants coexisting as they enter a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ponses to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and discover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ctivists to deriv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welfare support environment for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t as activist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directly supporting the welfare of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and a total of 12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reputational case selection and snowball sampling. In addition to conduct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data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practice field and reading of related documents. Collecting data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21 to June 2022. For data analysis, intra-case and inter-case analysis were conducted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dividual topics for 12 cases were presented through in-case analysis, and concepts of 4 upper categories, 9 subcategories, and 23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inter-case analysis. As a result of across the case analysis through this, the core theme of the experiences of activists supporting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was derived as 'struggling to defend children's rights in blind spots while living independently in the periphery of the system'. Looking at the detailed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met through practice, a higher category was derived, 'Support for children in blind spots that the state and families did not protect'. In the subcategory of "Practice to Fill the Absence of the State", the concepts of 'Support for children who have been deprived of their basic rights due to the lack of public support', 'Support for children who are excluded from the existing service eligibility', 'Support for children who are unable to establish a career plan' were derived. In another subcategory, 'Support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nd family dissolution', the concepts of 'Support for trauma of children due to forced migration and parental arrest' and 'Support for children in confusion due to family dissolution' were derived. Second, for the external difficultie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 a higher category was derived, 'anxiety as a person in the vicinity of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In the subcategory of ‘restrictions from civil financial support agencies’, the concepts of ‘support agencies requiring only short-term results’, ‘support process objectifying children’, and ‘burden of additional administrative work without support for labor costs’ were derived. In another subcategory, 'reluctance to publicize by government subsidy', the concepts of 'witness the exclusion of under-achieved children without subsidy support' and 'opposition to withdraw from solidarity for the relationship with subsidized local governments' were derived. Third, for the internal difficulties and dilemmas of practice, a higher category of 'compassion fatigue and the path to living independently' was derived. In the subcategory of 'excessive work continuation beyond competency', the concepts of 'a sense of helplessness due to pouring demands and expectations' and 'a sense of emptiness like hitting-against-the-wall' were derived. In another subcategory, 'Sorrow due to ethical and religious dilemma', the concepts of ‘Conflict due to religious differences between sponsor and beneficiary’, 'Limits of support for children facing abuse and neglect from their parents', and 'Experience activities that do not guarantee safety' were derived. In the last subcategory,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 to bear alone', the concepts of 'loneliness as if working alone' and 'financial instability to shake off personal expenses' were derived. Fourth, for the method of overcoming difficulties, a higher category was derived, 'seeking advocacy through hybrid solidarity between activists'. In the subcategory of 'various spectrum of activists', concepts such as 'various identities for their roles',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 on case management practice', and 'different levels of participation in the anti-discrimination activism movement' were derived. In another subcategory, 'Efforts and Limitations of Solidarity and Advocacy', the concepts of ‘Organization and linkage of resources through solidarity’, ‘Exclusion from the policymaking process for advocacy’and ‘Various and extensive solidarity activities that require mutual understanding’ were derived.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practical imp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burnout management and mutual understanding of the undocumented immigrant child support activists should be supported, the capacity building of the undocumented immigrant child support activist should be supported, an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the welfare support of the undocumented immigrant child support activist. As policy imp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welfare policies for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as 'residents' in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designed, a financial support system tailored to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should be prepared,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protect the rights of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practice environment for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by exploring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activists who support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