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0 Download: 0

인공지능 발전으로 인한 번역노동의 변화와 프리랜서 여성 번역가들의 갈등과 협상

Title
인공지능 발전으로 인한 번역노동의 변화와 프리랜서 여성 번역가들의 갈등과 협상
Other Titles
Changes in Translators' Work Due to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flicts and Negotiations of Female Freelance Translators
Authors
김우인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혜
Abstract
2016년 이후 한국에서 소위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인공지능과 일자리의 미래를 둘러싼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프리랜서 번역가’는 고학력 여성들이 주로 종사하고 있다는 특성을 지닌 직업이며, 현재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한 노동의 변화와 이를 둘러싼 담론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직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여성 프리랜서 번역가들이 겪고 있는 노동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한국의 노동시장구조를 탐구하고, 번역가라는 직업의 젠더화된 특성이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취직적령기를 지난 연령대의 여성들 및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고용차별이 존재하는 한국 노동시장구조의 남성중심적인 측면을 파악하여 현실적으로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선택의 일환으로 번역가라는 직업을 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3,40대 여성이 선택할 수 있는 직업 중 지적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풍부한 문화자본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되며 외국어 및 글쓰기에 대한 흥미와 적성을 살려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는 부분은 번역노동을 선택하고 지속해오도록 한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러나 프리랜서 번역가는 고학력, 고숙련 직종임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소득, 사회적 보호의 보장이 결여되어 있는 등 ‘불안정 노동’에 속하는 직종이라고 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불안정성은 인공지능 발전 이후의 노동배치 및 조건의 변화로 인해 심화되고 있었다. 인공지능의 발전 이후 확산된 MTPE(Machine Translation Post Editing,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작업과 플랫폼 노동 작업에 소요되는 인지적 노력은 줄어들었다고만 보기에는 어려웠으나 이러한 지점은 고려되지 않고 있었고, ‘4차 산업혁명’담론과 번역노동에 대한 인식 변화는 실제 기술의 발전 현황이나 생산성 증감 여부와는 무관하게 담론 그 자체만으로도 노동조건을 열악화 시키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MTPE 작업은 번역가들에 의해 대체로 선호되지 않았으나, 번역가 개인이 MTPE 작업을 거절하고 일반 번역 업무만을 맡을 수 있을 정도의 경제적인 상황을 갖추지 못한 경우 불합리한 조건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플랫폼 상에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참여하는 작업의 경우 시간 조절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돌봄노동 등과 병행하기에 적합하여 기혼 유자녀 여성들에게 선호되었는데, 이러한 노동형태는 각종 사회적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육아와 일을 보다 매끄럽게 병행시킬 수 있는‘기회’로 의미화 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30, 40대 한국 여성’이라는 위치는 직업 대체 담론 및 실제 직무상의 변화들을 경험하는 방식과 대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 MTPE 작업을 일반 번역 작업보다 덜 보람 있는 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여성들이 번역가라는 직업을 택했던 맥락 중 ‘자아실현을 하면서도 지적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문화자본이 높은 직업’이라는 맥락에서의 만족감을 떨어뜨리기 때문이었다. 또한 번역가라는 직업의 불안정성과 존속 여부의 불투명성 때문에 다른 직업을 갖고자 하는 경우에도 한국 기업에 취직하는 것은 꺼리고 있었으며, 그보다 성별에 덜 구애 받을 수 있는 선택들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는 애초에 이들이 번역가라는 직업을 택하게 되었던 또다른 맥락, 즉 30대 이상의 여성들에게 허용된 양질의 일자리 선택지가 부족했던 상황과 결부되어 있었다.;As a part of the impact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since 2016, discuss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of job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freelance translator, is a profession with the characteristics that highly educated women are mainly engaged in and is currently affected by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Korean labor market structure that causes precarity that Korean freelance female translators are currently experiencing and analyze how the gendere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 interact with change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male-centered aspects of the labor market structure in Korea, where employmen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of older age and career-interrupted women exists; and they made choices that they thought would be advantageous to themselves. The fact that they can fully use their intellectual abilities in foreign languages and writing by working in a profession that is considered rich in cultural capital wa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and continuing to be a translator instead of other job choices available for them. Despite the high skill requirements of freelance translators, the profession can be regarded as “precarious work” due to a lack of employment, income, and social protection guarantees. This state was worsening due to changes in working condition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gnitive efforts required for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MTPE) and platform work have decreas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orm of translation, but this aspect was not being considered by the decision-makers of the companies. In addition,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ranslation due to the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eteriorating working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actual state of technology development or productivity. Although MTPE was generally not preferred by the participants because of poor working conditions, they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work unless they have a high enough economic status. In addition, the platform work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data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as preferred by married women with children because it was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facilitate doing the care labor and the translation at the same time, in that it was easy to control time, although there was a high risk of being in the blind spot of various social protections. The condi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and 40s” influenced the way they experienced and responded to job replacement discourse and actual job changes. Most MTPE tasks were perceived as less rewarding than traditional translation tasks because they reduced the former satisfaction of engaging in a profession with high cultural capital that allows self-actualization and the adequate use of their ability. In addition, even in the cases that they wanted to change their profession, they were reluctant to get a job at a Korean company, and they were trying to get a job that can be regarded as non-discriminatory, such as a teacher. This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are not many available choic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in the first place, that is, the quality job options allowed for women in their 30s and ol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