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페미니스트 세계만들기(worlding)로서 듀나의 SF에 대한 연구

Title
페미니스트 세계만들기(worlding)로서 듀나의 SF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JUNA’s SF as Feminist Worlding
Authors
강은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듀나의 SF 소설을 페미니스트 세계만들기worlding 실천으로 의미화하는 것이다. 듀나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SF 창작에 꾸준히 페미니스트 시각을 견지해왔으나, 페미니스트 SF라는 하위 장르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의 부재 속에서, 듀나의 SF는 한국 페미니스트 SF로서 조명되거나 연구되지 않아왔다. 본 논문은 듀나의 SF가 갖는 페미니즘적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해러웨이의 ‘세계만들기’를 개념 틀로 삼아 듀나의 SF에 접근한다. 듀나의 SF를 세계만들기 실천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듀나가 살아가는 물리적 세계와 듀나가 참조하는 텍스트적 세계가 어떻게 듀나의 SF 속 세계를 구성하는지,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SF 속 세계가 다시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살피는 것이다. 첫째, 듀나가 SF 장르의 고전적인 메가텍스트들을 인용하면서 해당 장르 모티프가 담지하는 관습적인 의미를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변주하고 전유하는 방식을 살핀다. 먼저, 듀나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단편들을 변주함으로써 로봇에 젠더와 인종을 기입한다. 듀나의 사이보그 여성 주인공은 백인 남성 본위의 합리성을 탈취한다. 또한, 듀나는 아서 클라크의 『유년기의 꿈』에 등장하는 식민 지배자 외계인과 피지배자 인간이라는 구도를 뒤집어 SF의 제국주의적 우주를 탈식민주의적으로 재배치한다. 그뿐 아니라, 듀나는 1970-80년대 미국 페미니스트 SF의 전형적인 서사 공식인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와 남성 지배 디스토피아를 2015년 이후 한국의 페미니즘 대중화라는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갱신한다. 이와 같은 SF의 고전적인 메가텍스트에 대한 듀나의 비판적인 재해석은 듀나가 살아가고 있는 한국의 지정학적・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예리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둘째, 듀나의 SF가 우리에게 익숙한 세계의 어떠한 면면들을 무너뜨리고 있으며, 이로부터 쌓아올린 낯선 세계가 우리에게 어떠한 비전을 제시하는지 분석한다. 듀나는 뱀파이어와 좀비라는 호러 장르의 대표적인 도상을 활용해 좀비처럼 되살아나는 가부장제로부터 여성들이 벗어나는 세계를 상상한다. 듀나의 SF에서 아버지의 죽음은 가부장제의 타자들이 다른 세계를 쌓아올리기 위한 출발점이 된다. 듀나는 이렇게 영점 조절된 세계 위에서 가부장제의 타자들이 삶을 이어나가는 방식에 주목한다. 듀나의 SF에서 어머니와 딸의 관계가 어머니를 복원하고자 하는 딸의 욕망에 의해 만들어진 폐쇄회로적이고 소망충족적인 세계를 구축한다면, 서로 다른 두 존재 사이의 번역불가능한 차이를 횡단하는 레즈비언 사이보그 로맨스는 이분법적 젠더 체계를 내파하는 포스트젠더 세계를 직조한다. 이렇게 구성된 퀴어 친족은 인간성의 낡은 관념을 허무는 포스트휴먼 아이들을 탄생시킨다. 이렇게 듀나가 살아가는 물리적 세계, 듀나가 참조하는 텍스트들의 세계, 듀나가 만들어낸 SF 속 세계를 관통하며 이루어지는 듀나 SF의 세계만들기 과정은, 가부장제와 이성애중심주의 너머의 친밀성 및 주체성을 실험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공간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들에게 중요한 문화적 자원이 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juna's SF as feminist worlding. Djuna has consistently maintained a feminist perspective in her novel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but in the absence of basic discussions about the subgenre of feminist SF, Djuna's SF has not been illuminated or studied as a Korean feminist SF. This paper approaches Djuna's SF using Donna Haraway’s ‘worlding’ as a conceptual frame to reveal the feminist apsects of Djuna’s SF. Firstly, I examine the way Djuna transforms and appropriates the conventional SF genre motiv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Djuna transforms Isaac Asimov’s robot stories by inscribing gender and race on the robot. Djuna’s female cyborg protagonists snatch the rationality previously owned by white men. In addition, Djuna reassembles the imperialistic universe of Arthur Clarke’s Childhood’s End in which humans are colonized by alien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Moreover, Djuna reinterprets and renews the feminist utopia and male-dominated dystopia, which is typical narrative formulas of American feminist SF in the 1970s and 1980s, in the context of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in South Korea since 2015. Djuna’s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SF’s classic megatext is based on a keen realization of the geopolit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South Korea where Djuna lives. Secondly, I analyze how Djuna destroys certain aspects of the world that we are familiar with and which possibilities the unfamiliar world newly built up from it presents us. By utilizing the horror icons of vampires and zombies, Djuna imagines a world in which women escape from the patriarchy which revives incessantly like zombies. In Djuna’s SF, the father’s death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others of patriarchy to build up an another world. Djuna pays attention to the way the others of patriarchy continue their lives on this zero-adjusted world. In Djuna’s S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builds a closed-circuit, wish-fulfilling world created by the daughter’s desire to restore her mother. On the one hand, the lesbian cyborg romance, which transgresses the incommensurable difference between two cyborg women, builds a postgender world that breaks down the dichotomous gender system. This kind of queer kinhip creates posthuman children who break down the old idea of humanity. Djuna’s SF worlding which penetrates the physical world where Djuna lives, the textual world which Djuna refers to, and finally the world created in Djuna’s SF, is an important cultural resource for feminists in that it provides a potential space to experiment with intimacy and subjectivity beyond patriarchy and heteronorma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