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헤테로포니성에 의한 가곡의 합주 양상 연구

Title
헤테로포니성에 의한 가곡의 합주 양상 연구
Other Titles
Aspects of the Gagok Ensemble in its Heterophonic Significance
Authors
라예송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전통음악의 합주에서 국악창작에 적용할 수 있는 작곡기법의 일면을 살피고자 헤테로포니성에 의한 가곡의 합주 양상을 연구하였다. 국악 창작분야의 역사가 약 80년이 된 현 시점에서 표준화된 국악 앙상블기법과 국악 관현악기법 등의 정리와 연구가 아직까지 미비하다는 점이 연구 동기가 되었다. 가곡은 전통음악의 합주형태 음악 중 성악, 관악, 타악, 현악이 모두 편성되어 있고 일정한 형식을 갖춘 모음곡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현행 가곡은 성악곡으로 분류되고 있음에도 실제 음악에서 노래와 기악의 선율이 동등한 비중으로 전개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남창가곡의 우조ㆍ계면조 악곡 각각을 다루며 선율유형화 차원에 머무른 한계를 인식하고, 작곡기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곡의 헤테로포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행 가곡의 모태를 살피고자 분석대상은 초대 가곡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던 이주환과 김월하의 음원으로 삼았다. 가곡의 실제 소리 울림 결과를 살피고자 하는 목적 때문에 음원 채보의 결과물로 오선보와 선율선보 두 종의 악보를 제시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가곡의 합주 선율조직이 헤테로포니(heterophony)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진행되었다. 서양음악학에서 화성ㆍ대위적 음악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생성된 용어인 헤테로포니의 이론적 배경 연구를 토대로 가곡 합주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을 갖추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헤테로포니성에 의한 가곡의 합주 양상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가곡의 헤테로포니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성부의 특성’에서는 남창, 여창, 단소, 대금, 피리, 해금, 장고, 양금, 가야금, 거문고의 음역과 선율구사 특징을 종합하였다. 현행 가곡의 연주에서 각 성부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 선율에 종속되어 변주하는 형식을 가지기 보다는 각 성부 고유의 음색과 연주방식을 통한 선율을 구사한다. 이는 가곡이 합주음악이지만 기악이 독주형태로 연주될 수 있는 근간이 된다. ‘성부 간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노래를 중심으로 관악기군, 장고, 현악기군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16박장단형의 가곡은 성부별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10박장단형 즉 빠른 음악일수록 모든 파트가 장고 장단에 종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악곡별 선율조직’은 우조ㆍ계면조, 남창ㆍ여창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성부가 가지는 선율조직은 악곡의 성격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각 파트가 가진 고유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각 성부가 고유의 선율을 구사할 때 나타나는 소리 섞임 현상으로 가곡의 수직적 음향 현상이 이루어진다. ‘수직적 음향구조’에서는 가곡이 수직적 음향구조가 만들어내는 음향층의 배치와 결합을 통해 합주음악으로써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합의 종류와 범위가 다양해질수록 우리 귀에는 더욱 다채로운 음향으로 들린다. 수직적 음향의 결합과 조직은 가곡의 헤테로포니성에서 중요한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헤테로포니성에 의한 가곡 합주 양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악기군의 음색 조합’에는 동족(同族) 악기군과 이족(異族) 악기군 각각의 음색 조합이 있다. 각 성부가 가지는 이질적인 특성들은 소리의 ‘상쇄’가 아닌 ‘중첩’의 방향으로 음색의 조합을 이끈다. 이는 남창가곡에 비하여 동일 음역 동일 음 연주가 많은 여창가곡에서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정(靜)점과 동(動)점의 배치’에서는 가곡의 형식과 합주 선율 구성에 따른 정점과 동점의 배치 방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곡은 대여음과 중여음을 제외하면 모든 성부의 소리가 동시에 울리기 때문에 동점에서 정점으로, 정점에서 동점으로 바뀌는 순간이 매우 중요하다. 남창 우조<초삭대엽>의 배치방식을 살펴보면 정점과 동점의 비율이 2:3으로 나타나지만, 각 장별로 형태가 달라지는 점은 정교하게 짜임새를 갖춘 가곡의 합주 방식으로 볼 수 있었다. <편락> 4장 전후에서 보이는 급격한 빠르기의 변화도 가곡의 또 다른 정점과 동점의 배치방식이다. 이러한 정점과 동점의 배치는 가곡의 형식을 이루는 기초가 된다. ‘음향층화(音響層化)’에서는 음색 조합과 음역 사용에 의한 음향층화를 살펴보았다. 가곡의 헤테로포니성이 합주기법적으로 의미를 갖는 이유가 수직적 음향구조가 만들어내는 소리의 결합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음향층화는 음향층이 음악의 흐름 안에 제각기 다른 값을 가지며 촘촘하게 배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음향층이 모여 중첩된 선율로 발전된다. ‘중첩선율(重疊旋律)’에서는 음과 음의 겹침이 음군을 이루고 그것이 선율화 되며, 선율과 선율의 겹침이 하나의 커다란 중첩선율을 이루는 합주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곡 합주의 목적성은 ‘다른 성부에 종속되지 않고 각 성부의 선율을 연주하는 것’에 있다. 이것은 가곡의 선율조직은 개별성부의 선적 진행에 의해 수직적으로 모두 만나는 소리 공간이 목적이 된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곡의 합주는 최종적으로 모든 소리 울림을 선율이라는 개념 안으로 집어넣은 중첩선율 구조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이 합주음악으로서 가곡의 가장 큰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앞서 살펴본 헤테로포니성에 의한 가곡의 합주 양상 중 앞에서 본 모든 합주 방식을 포괄한 최상위에 있는 개념이 ‘중첩선율’이 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found in the traditional music ensemb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osition of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style music'. For this, ensemble patterns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gagok heterophony. Although Korean traditional-style music composition has been around for 80 years, standardized Korean traditional ensemble and orchestral techniques have not been properly discussed; this became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Gagok, a classical lyric song-cycle, combines a sung lyric accompanied by an ensemble of wind, string, and percussion along with voice. Gagok is classified as vocal music, but it is actually an ensemble with the song and instrumental melodies developed with equal weight.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have focused mainly on the melodic typification of gagok,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ts heterophonic characteristics which can further be applied to contemporary composition technique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sound sources from the late master singers Lee Ju-hwan and Kim Wol-ha, who were designated the first male and femal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in gagok. These sound sources give a hint to the origins of currently transmitted gagok.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actual sound structure of gagok, the results of sound source transcription are presented in staff notation and melodic contour notation. This study is founded on the premise that the melodic organization of the gagok ensemble consists of heterophony. In musicological theory, heterophon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homophony and polyphony. To understand the gagok ensemble, the dissertation explores a theoretical framework of heterophony. The conclusions of the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heterophonic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the vocal range and melodic characteristics of male singer, female singer, and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danso, daegeum, piri, haegeum, janggo, yanggeum, gayageum, and geomungo, are synthesized. In the current gagok practice, each part does not have a form of variation that depends on a single standard melody, but uses the melody through the unique tone and performing method of each part. Although gagok is an ensemble music, this characteristic allows the instrumental part to be performed in a solo form. In order to confirm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arts', the vocal part is compared with the wind instruments, the janggo group, and the string instruments. There was no hierarchical distinction for each part in the 16-beats songs. However, in 10-beats songs, all parts showed the tendency to be subordinate to the janggo rhythmic pattern. It was confirmed that 'melodic organization for each piece' did not change according to tonal system or the gender of the singers. It was found that the melodic organization arises from the uniqueness of each part. The vertical sound phenomenon of gagok is constructed from the mix of sound that appears when each part uses its own melody. In the analysis of 'vertical sound structure', it is confirmed that gagok has meaning as ensemble music through the sound layering created by the vertical sound structure. The greater the variety and range of these combinations, the more diverse the sounds to our ears. It can be argued that the vertical sound combination and organization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agok's heterophonic nature. Second, the aspects of the singing ensemble as heterophony are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the 'combination of tones of instrument groups', there are tone combinations of instrument groups in the same family and in different families.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leads to a combination of tones in the direction of an 'overlapping' rather than an 'offset' of the sound. This can be seen more easily in female songs in which the same range and the same notes are used more often than in male songs. An analysis of the 'arrangement of fixed and moving points', finds that there is a method to the arrangement of fixed points and moving poi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ensemble melody of gagok. Except in the daeyeoeum (prelude) and jungyeoeum (interlude), all voices sound simultaneously, so the moment of transition from the moving point to the fixed point and from the fixed point to the moving point is very important. For example, in the male ujo Chosakdaeyeop, the ratio of fixed point to moving point is 2:3, but the fact that each chapter has a different shape is considered in the ensemble method of elaborately structured gagok. The rapid change in tempo shown in section 4, Pyeollak is also the arrangement of the fixed point and moving point of gagok. This arrangement is the basis for the form of gagok. In the analysis of 'sound layer', layers by tone combination and sound range are examined. It is concluded that the heterophonic characteristics of gagok convey the meaning of the ensemble method because of the sound combination in this vertical sound structure. The sound layer is where several sounds are arranged with different values in the flow of music. These layers are gathered and developed into an overlapping melody. In the analysis of such 'overlapping melodies', the ensemble method by which an overlapping of notes forms a group of notes and turns into melodies, and overlapping of melodies form a larger overlapping melody was investigated. The core of the gagok ensemble is 'playing each part's own melody without being subordinated to other parts'. This means that the purpose of the melodic system in gagok is to create a 'sound space' that interacts vertically through the melodic progression of individual parts. Therefore, the gagok ensemble can be viewed as an overlapping melodic structure that puts all the resonances into the concept of melod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the foremost characteristic of gagok as ensemble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