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2 Download: 0

박영란 작곡 “On a Moonlit Night…” for Haegeum Ensemble and Percussion(2011)

Title
박영란 작곡 “On a Moonlit Night…” for Haegeum Ensemble and Percussion(2011)
Other Titles
An analysis of “On a Moonlit Night…“ for Haegeum Ensemble and Percussion(2011) -on a bright moonlit night…- composed by Park, Yong-Nan
Authors
장지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On a Moonlit Night…” for Haegeum Ensemble and Percussion(2011) - on a bright moonlit night…-. The structure of the song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indicated in the work.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 partial study on the melody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technique of four parts of Haegeum, and how the material of 'Hwanggyesa(黃鷄詞)' was used are as follows.ᅠ First, in the first part of "Moonlight Movement...", the main characteristic of Introduction is that each part is vertically presented to form a four-chord group, and the movement of moonlight is gradually expressed through performance and trill technique using wine glasses. In A, the notes and pitches in the quaternary group appeared in a deformed form, and Triplet rhythm was combined. Accordingly, the non-vibrato technique and the division technique made a difference from Introduc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k, chorus of Hwanggyesa; the melody of "Jihwaja Joeulssigo" was instructed to Nonghyeon in the style of lyricism, and the decorative sound was used in an excluded form. B is an abbreviated and extended form of A’s figure, and the use of vibrato and tremolo techniques gives tension. In the second half, the chorus melody and sound progression of Hwanggyesa were used the same, but there was a change in rhythm due to a change in the beat. In C, Triplet tones were developed, and all four parts of Haegeum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at formed a semi-tone pitch relationship and formed a discordant sound. Therefore, this is the section that heightened the tension the most with use of Staccato technique, middle-registered method, and Tremolo technique and the appearance of the largest dynamic ff. In the second half, the relationship with Hwanggyesa was found by the direction of 'lyricism...' and the direction of 'slow → fast' written on the notation of Nonghyeon, which gradually narrowed the width. Second, D, which corresponds to the second chapter "I look at the moon because I’m longing for you...", borrowed the melody of 1, 2, and 3 out of the second chapters of Hwanggyesa is played by Haegeum I in the form of omitting the decorative sound, and imitated and developed this melody in Haegeum II, III, and IV to express "longingness". In addition, although the chorus of Hwanggyesa was used the same, there was a change in the beat and a new melody appeared using the main note of the chorus. Also, the tension was higher than the first part by using the middle-registered method, the tremolo method, and the glissando technique. Third, E, which corresponds to the third part "I become river under the ground when I die, you become ship under sail when you die…“, used dissonance between four parts, 3·3·2·2 rhythm and 2·2·2·2·2 rhythm, Glissando and Tremolo technique were used at the same time in high speed section to reach the peak of the music and express 'aspiration'. In the second half, harmony proceeded again, and expressed the appearance of romping with beloved one in ‘Uh ha Doong-dung-sil’. In addition, part of the lyrics of Hwanggyesa was used, ‘I become river under the ground when I die, you become ship under sail when you die, night or day, day or night, as the wind goes, as the wave goes, let's have fun Uh ha Doong-dung-sil.’ Although the melody of Hwanggyesa was not used, the content of the lyrics; the desire to meet beloved one even after death, was expressed through discord and the use of glissando technique. As a result of studying how composition of Haegeum Quartet was created in traditional vocal Hwanggyesa, "On a Moonlit Night" is a work that harmonizes the specificity of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composition, and not only the melody of Hwanggyesa was used, but also the feelings of longing and aspiration of the lyrics were well expressed through the four parts of the haegeum melody and performance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 hope that this study can help understanding the music and actual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at I look forward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12 lyrics and various traditional materials to be prevail.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Haegeum Ensemble will become active.;본 논문은 박영란 작곡가의 “On a Moonlit Night…” for Haegeum Ensemble and Percussion(2011) -달 밝은 밤에…-를 분석 및 연구한 것이다. 작품에 표기된 구분에 따라 곡의 구조를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이것을 기반으로 해금 네 파트의 선율적 특징과 연주 기법 그리고 작품의 소재인 ‘황계사(黃鷄詞)’가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었는지 부분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 부분 ”달빛의 움직임...” 중 서주에서는 각 파트에 음이 수직적으로 제시되어 4화음군을 이룬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wine glasses를 사용한 연주와 트릴 주법을 통해 달빛의 움직임을 점차적으로 표현하였다. A에서는 4화음군을 이룬 음과 음정들이 변형된 형태로 나타났고 셋잇단 리듬이 결합되었다. 이에 non vibrato 기법과 division 주법으로 서주와의 차이를 주었다. 그리고 후반부에 황계사의 후렴 중 ‘지화자 좋을시고’의 선율이 가사풍으로 농현하도록 지시되어 있고 장식음은 제외된 형태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B는 A의 음형이 생략 및 확장된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vibrato와 트레몰로 주법의 사용으로 긴장감을 주었다. 후반부에서 황계사의 후렴 선율과 음 진행은 동일하게 사용되었으나 박자의 변화로 인하여 리듬의 변화가 있었다. C는 셋잇단 음형이 발전되었고 해금 네 파트 모두 반음 음정 관계를 이루는 두 개의 성부로 division되어 불협화음을 형성하였다. 이에 스타카토 주법, 중음 주법, 트레몰로 주법의 사용과 제1 부분 중 가장 큰 다이나믹 ff의 등장으로 긴장감을 가장 고조시킨 구간에 해당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후반부에서 ‘가사풍으로...’라는 지시어와 농현의 기보 위에 표기된 ‘slow → fast’의 지시로 점차적으로 폭을 좁혀가는 농현을 함으로써 황계사와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둘째, 제2 부분 “당신이 그리워 달을 쳐다봅니다...”에 해당하는 D는 황계사 2장 중 1, 2, 3각의 선율이 장식음은 생략된 형태로 차용되어 해금I이 연주하고 이 선율을 해금Ⅱ, Ⅲ, Ⅳ에서 모방하고 발전시켜 ‘그리움’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황계사의 후렴이 동일하게 사용되었지만 박자의 변화가 있었고 후렴의 주요 음을 이용한 새로운 선율이 등장하였다. 이에 중음 주법, 트레몰로 주법, 글리산도 주법을 사용함으로써 제1 부분보다 더욱 긴장감이 고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제3 부분 “너는 죽어 황하수 되고 나는 죽어 돗대선 되어서...”에 해당하는 E는 네 파트 간의 불협화음, 3·3·2·2 리듬과 2·2·2·2·2 리듬 그리고 빠른 빠르기에서 글리산도와 트레몰로가 동시에 사용되는 기법을 사용하여 곡의 정점을 이루며 ‘열망’을 표현했다. 후반에서는 다시 협화가 진행되며 임과 함께 어하 둥덜실 떠 노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황계사의 가사 중 ‘너는 죽어 황하수 되고 나는 죽어 돗대선 되어서 밤이나 낮이나 낮이나 밤이나 바람 불고 물결치는 대로 어하 둥덩실 떠 놀아보자’의 일부분이 사용되었다. 황계사의 선율은 사용되지 않았지만 가사의 내용 즉, 죽어서라도 임을 만나고 싶은 열망을 불협화음, 글리산도 주법의 사용을 통해 절박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 성악 황계사가 어떻게 해금 4중주 구성으로 창작되었는지 살펴본 결과 <달 밝은 밤에>는 전통음악의 특수성과 서양음악 작곡법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황계사의 선율을 사용한 것뿐만 아니라 가사의 그리움, 열망의 감정을 네 파트의 해금 선율과 연주 기법을 통해 잘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곡에 대한 이해와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12가사 및 다양한 전통 소재를 기반으로 한 창작활동이 활발해지기를 고대하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해금 앙상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