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4 Download: 0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의 관계에서 내적 통제소재와 성차별경험 지각의 매개효과

Title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의 관계에서 내적 통제소재와 성차별경험 지각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Coping with Discrimination
Authors
박수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itially consider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coping with discrimination. To address this question, present study hypothesized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would mediate this relationship. To address this aim, 424 people have been participated for this research who are aged between 20s and 60s and living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online survey and to test hypotheses, SPSS 28.0 was used to check the basic statistics and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n present study used Mplus 7.4 to validate structural model,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demonstrated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belief in a just world has direct effect on coping with discrimina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edicating effect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coping with discrimination. The results showed all 6 direct pathway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hile the hypothesized model presented three mediating effects, including dual mediatio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one of those shows no significance. In detail, in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no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and coping with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present study presents that belief in a just worl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s coping with discrimination. The result showed that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mediates following relationship sequentially. This result accords with just motive theory, as it stated one with higher belief in just world is more likely to choose disenagaged coping skills. ;본 연구는 한국 성인들이 정당한 세상에 대해 어떤 믿음을 지니는지 탐구하고, 이 믿음이 내적 통제소재와 성차별 경험 지각 수준을 통해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에 이르는 구체적인 심리적인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불공정함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 중 성차별은 현대 사회에서 남녀 간 갈등이 존재하는 부분인데, 이에 대한 남녀의 지각 수준과 그에 대한 대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성차별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성차별 지각에 대한 연구는 적으며 성별에 따라 여성을 향한 성차별에 대한 지각이 다른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 대한 성차별에 대한 지각 수준이 남녀에 따라 다른지 확인해보았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젠더 갈등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바탕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성차별 대처전략에 대해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이 지닌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 간의 관계에서 내적 통제소재와 수동적 성차별경험 지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때, 본 연구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개인이 선택하는 차별 대처 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매개 변인들을 통해 간접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60대 성인 4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8.0을 통해 기술통계치를 확인하고,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Mplus 7.4를 통해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연구 변인이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 간의 관계에서 내적 통제소재와 성차별경험 지각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연구 모형에서 제안한 세 가지 다중매개효과와 매개효과 중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서 내적통제소재를 매개로 수동적 성차별 대처전략에 이르는 하나의 경로를 제외하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성별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인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적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수동적 차별 대처전략 선택 수준을 직접 예측하며, 성차별경험 지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하며, 순차적으로 내적통제소재와 성차별경험 지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개인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강할수록 내면화와 분리와 같은 비관여적인 대처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와 정당성 동기 이론(justice motive theory)과도 부합하는 결과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