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근무환경이 투약안전 역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근무환경이 투약안전 역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Authors
홍지혜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성희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의 투약안전 역량의 정도를 알아보고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근무환경이 투약안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로 현재 투약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간호사 18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은 권인수 등(2006)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성향 도구로 측정하였고,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PES-NWI)를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도구(K-PES-NWI)로 측정하였다. 투약안전 역량은 Park & Seomun(2020)이 개발한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Scale(MSCS)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ē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1-5점의 범위로 하여 평균 점수는 3.47±0.43점이었다. 비판적 사고성향 중 지적통합이 가장 높았고, 개방성, 진실추구, 탐구성, 객관성, 신중성, 도전성,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1-4점의 범위로 하여 평균 점수는 2.32±0.47점으로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 중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이 가장 높았으며, 간호관리자의 능력·리더십·지지, 간호사와 의사 간 협력관계, 병원 운영에 간호사의 참여,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투약안전 역량은 1-5점의 범위로 하여 평균 점수는 4.01±0.44점으로 나타났다. 투약안전 역량 중 영향요인관리가 가장 높았고, 환자 중심 투약 관리, 위기상황관리, 간호전문직으로써 책임감, 다학제간 협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제 상황 개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가 인지하는 간호근무환경은 투약오류 경험(t=-3.95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투약안전 역량은 총 근무경력t=3.203, p=.043), 현 부서경력(t=4.032,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투약안전 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r=.535, p<.001), 간호근무환경(r=.26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위계적 회귀분석 시행 결과 대상자의 투약안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β=0.498, p<.001), 간호근무환경(β=0.212, p=.001) 순이었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4.5%였다(F=17.510, p<.001). 본 연구 결과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근무환경이 투약안전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투약안전 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하고 간호사 교육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투약안전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병원 차원에서는 간호인력 유지를 위해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물질적인 지원을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며, 간호사 증원을 위한 정책 마련 및 실행이 필요하다.;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or the duration of two weeks, from 26 January 2022 to 10 February 2022.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89 voluntarily participating nurses who directly performed medication administration at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online surveys and was analyz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ē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between 3.47±0.43 on a 5-point scale,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between 2.32±0.47 on a 4-point scale, and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core amounted to the average of 4.01±0.44 on a 5-point scal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nsid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satisfaction level with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ne with the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t=-3.954, p<.001).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working experience(t=3.203, p=.043) and current experience in present department(t=4.032, p=.019). 3.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r=.535, p<.001)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r=.266, p<.001). 4.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were in order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0.498, p<.001)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β=0.212, p=.001).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 was 34.5%(F=17.510, p<.001). Conclusion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more positively nurses perceive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the higher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apply them to nurse education programs, using them as a way to improv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hospitals will ne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provide sufficient material support to maintain nursing workforce. Likewi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implement a nursing policy to increase the nursing workfor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