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지역사회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역사회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Resilience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uthors
김나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resilience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4 to April 17, 2022 by convenient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of 115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have used welfare centers within the past three months among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churches, and sports facilities located in G city. A tool modified for elderly and supplemented by Park and Kim (2021) was used for measuring digital literacy. For depression measurement,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form Korea version(GDSSF-K) developed by Yesavage(1983), which was simplified and translated by Kee (1996), was used for the elderly depression scale.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K- CD-RISC) of CD-RISC developed by Connor & Davidson(2003).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8.0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digital literacy score was 2.42 ± 0.57. The mean of resilience was 64.85 ± 14.30 . The mean of depression was 3.96 ± 3.77. 2. The subject's digital literacy was related to education level(F=17.96, p<.001), average income(F=5.23 p<.001) and main way to get information (F=12.37, p<.001). The resilience was related to gender(t=-2.22, p=.028) and education level(F=6.57, p<.001), main way to get information(F=5.99, p<.001). Depression was related to education level(F=3.79, p=.012). 3. It was found that digital liter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533, p<001). Depression and digital liter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r=-.310, p<.001), and depression and resilience had a negative correlation(r=-.495, p<.001). 4. Resilience(β=-.482, p<.001).and critical comprehension ability which is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β=-.301, p=.020) influenced on depression.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depression variable was 27.1%.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silience and critical comprehension ability which is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ar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depression. Based on this, intervention to improve resilience is needed to reduce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develop guidelines related to the critical comprehension ability of digital literacy.;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회복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4월 4일부터 2022년 4월 17일까지 G시에 위치한 복지관, 교회,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중 최근 3개월 이내 복지관을 이용한 적이 있는 만 65세 노인 1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측정은 박진숙과 김남숙(2021)이 노인을 대상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우울은 Yesavage 등(1983)이 개발한 노인 우울 척도를 기백석(1996)이 단순화하고 번안한 한국형 단축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form Korea version, GDSSF-K)를 사용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은 Connor와 Davidson(2003)이 개발한 CD-RISC의 한국어 버전(K-CD-RISC)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노인 총 115명 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 노인이 64명(55.7%),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44명(38.3%)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수준이 대학교 졸업 이상인 대상자가 42명(36.5%)으로 가장 많았고, 직업이 없는 노인은 91명(79.1%), 평균 용돈(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40명(34.8%)으로 가장 많았다. 정보를 얻는 주된 통로는 TV/라디오가 69명(60.0%)이었고, 복지관 프로그램 주된 이용 이유는 취미여가가 46명(40.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는 평균 2.42 ± 0.57점, 회복탄력성은 64.85 ± 14.30점, 우울은 3.96 ± 3.77점이었다. 3. 대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와 중학교 졸업보다 고등학교 졸업과 대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F=17.96, p<.001), 평균 용돈(수입)이 100만원 미만과 100~150만원 미만보다 200~250만원인 경우(F=5.23, p<.001), 정보 얻는 주된 통로 중에서(F=12.37, <.001) TV/라디오와 가족·이웃·친척보다 인터넷, 신문/잡지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여성인 경우(t=-2.22, p=.028), 초등학교 졸업 이하보다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이상인 경우(F=6.57, p<.001), TV/라디오와 가족·이웃·친구보다 신문/잡지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경우(F=5.99, p<.001)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고등학교 졸업보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F=3.79, p=.012)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회복탄력성(r=.53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과 디지털 리터러시(r=-.310, p<.001) 및 회복탄력성(r=-.495,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회복탄력성(β=-.482, p<.001)과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의 하위영역 중 비판적 이해능력(β=.301, p=.020)으로 나타났고, 변수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27.1%였다. 본 연구 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회복탄력성은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영역 중 비판적 이해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근거를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노인의 우울과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를 확인하여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영역인 비판적 이해능력과 우울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