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8 Download: 0

고학년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취업불안,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Title
고학년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취업불안,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Anxiet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Indecision of Senior Undergraduates : Multi-Group Analysis between senior undergraduates who have experienced COVID-19 and those who have not
Authors
정다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career adaptability, job-seeking anxiet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indecision on career indecision of senior undergraduate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many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COVID-19 that lasted for about two years and undergraduates who did not experience COVID-19.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92 undergraduates from the 2019 Youth Panel Survey and 263 students recruited throug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in 2022. After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fter that, using Mplus 7.4, equation analysis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major variables of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for two years and who did not. Job-seeking anxiety,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the group of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and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lower in the group of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in ex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indecision. Second, the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data, and the effect of all major variables on career indecision was also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and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external occupational vlaues on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using bootstrapping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s a result, two pateh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on career failure decis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failure decision through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a multi-group analysis, two relation of the model has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rst, the path coefficient from job-seeking anxiety to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undergraduates who experienced COVID-19 than for undergraduates who did not. Second, the path coefficient from job-seeking anxiety to career indecision was significantly lower for undergraduates who suffered from COVID-19 than for undergraduates who did not suffer from COVID-19.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job-seeking anxiety,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adaptability level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and the paths from job-seeking anxiety to career adaptability were different. In other words, if a senior undergraduates who feels high job-seeking anxiety experienced COVID-19, it expected they have a lower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indecision than it has not experienced COVID-19. This stud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career indecision by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anxiety, occupational valu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indecision. Also, it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other interventions are needed in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s of undergraduates who have experienced COVID-19.;본 연구에서는 취업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대학교 3학년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불안과 직업가치관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적응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약 2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로 인한 많은 환경적 변화를 경험한 대학생과 코로나를 경험하지 않은 대학생들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취업불안,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 진로미결정에서 집단 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모형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조사 2019년도 자료의 492명의 대학생과 2022년도에 배포한 설문지를 통해 모집한 263명, 총 7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26.0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후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Mplus 7.4를 통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하여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 뒤, 연도에 따른 다집단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취업불안은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미결정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인 내적 직업가치관과 외적 직업가치관은 모두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미결정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코로나를 2년 동안 겪은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 간 주요 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취업불안, 내적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에서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코로나를 겪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 집단에서 취업불안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성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외적직업가치관과 진로미결정에서는 집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취업불안, 직업가치관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진로적응성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주요 변인들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또한, 취업불안, 내적 직업가치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외적 직업가치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연구모형의 3개의 경로 중 2개의 경로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취업불안이 진로적응성을 거쳐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내적 직업가치관이 진로적응성을 거쳐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이 집단에 따라 경로계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에 따라 두 개의 경로계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이 코로나를 겪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취업불안에서 진로적응성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코로나를 겪은 대학생이 코로나를 겪지 않은 대학생에 비해 취업불안에서 진로미결정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취업불안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은 감소하고 진로미결정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적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외적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에 따라 취업불안, 내적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의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취업불안과 진로미결정 경로, 취업불안과 진로적응성 경로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높은 취업불안을 느끼는 고학년 대학생이 코로나를 경험했다면, 경험하지 않은 것보다 더 낮은 수준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으로 나타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취업불안, 직업가치관, 진로적응성, 진로미결정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진로미결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코로나를 겪은 고학년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에 다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