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5 Download: 0

20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

Title
20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성인진입기로 이행하면서 불확실성이 만연한 시기를 보내고 있는 20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적 사고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 39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검정하였다. 먼저 각 연구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후 부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복적 부정적 사고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서 우울로 가는 직접 경로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서 경험회피로 가는 직접 경로 및 반복적 부정적 사고에서 우울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서 반복적 부정적 사고와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거쳐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부정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진 생각들을 하게 되고, 이는 부정적인 경험들을 피하는 경험회피로 이어져 우울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불확실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20대 대학생들의 우울에 초점을 두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어떠한 심리적 기제가 작동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반추와 걱정을 포함하는 반복적 부정적 사고와 경험회피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개인의 기질적인 성향이므로 불확실한 상황을 견디도록 인지를 수정하는 개입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반복적 부정적 사고를 감소시키고 주의와 사고과정에 대한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더불어 우울한 기분, 생각은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부정적인 상위인지 신념과 반복적 부정적 사고가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상위인지 신념을 수정하는 상위인지치료(Metacognitive Therapy; MCT)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불확실한 상황에 의해 유발된 부정적인 생각에 대해 해석이나 평가하지 않고, 부정적인 감정, 생각 등의 사적 경험들을 있는 그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입이 대학생의 우울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Self-reported data of 395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relations showed that all of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depression, the direct path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experiential avoidance, and the direct path from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from depression. Second, the double mediated effect of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over experiential avoida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To conclude, higher rate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Also, the increase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e of experiential avoidance,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depression. Therefore, intervention for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would be effective to decrease de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