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한국의 가족다양성 수용 정도

Title
한국의 가족다양성 수용 정도
Other Titles
Family diversity acceptance in South Korea : On the basis of Affective Control Theory
Authors
송현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과거부터 현재까지 가족은 개인과 사회라는 집단을 연결하는 가교로서 사회 변동의 흐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사회와 함께 진화해왔다. 이와 같은 가족 형태의 변태는 사회의 문화·역사적 흐름과 동치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로인해 복합적인 양상으로 발전한 현대사회의 복잡성에 말미암아 발생하는 사회문제들이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비정형적인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이와 분리된 현상으로 간주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현사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현재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족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에 달려있음을 전제하여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가족다양성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족다양성에 천착하는 연구들의 문제의식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히 사회구성원들이 가족다양성을 인지하는 양상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미흡한 실정임을 지적하고 가족다양성 수용도를 다차원적으로 조명하는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가족다양성 수용도를 측정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특정 가족형태만을 다뤄 가족다양성 수용도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그려낼 수 없게 하거나, 다양한 가족형태를 다룬 경우에는 단순히 가족으로 인지하는지 여부만을 물어 다소 단면적인 인식 측정에 머문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감정조절이론(ACT: Affect Control Theory)라는 사회심리학적 방법론을 차용하여 다양한 가족형태의 사회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를 가족 수용도의 근사 값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감정조절이론을 활용한 사회정체성은 다양한 가족형태별로 존재하는 다측면적인 이미지 변이를 나열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가족형태 간 비교분석을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를 위해 한국건강가정원에서 발간예정인 “가족다양성 측정도구 개발연구”에서 감정조절이론을 활용하여 가족다양성 수용도를 측정한 부분의 데이터를 차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도출해낸 11가지의 가족형태의 사회정체성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의 논의를 전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다양한 가족의 특성에 따라 가족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표상되는가를 서술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가족형태 간 비교분석에서 밝혀진 가장 중요한 가족의 구성요소는 법적혼인 여부이고, 그 뒤를 이어 자녀 양육 여부도 일정 수준의 영향력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법적혼인을 근간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형태들이 가장 긍정적인 인식이 대상이 되고 있었으며, 이를 해체하거나 진행하지 않은 가족의 형태들이 부정적으로 인지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논의는 대부분의 가족형태들에 자녀양육 여부를 명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수의 가족형태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도출된 결론이기에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외에도 동일하게 법적 혼인을 진행하고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형태인 결혼한 이성부부와 혈연자녀가정과 입양가정의 EPA 점수차를 자녀와 양육자의 혈연관계 여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비교하고, 동일한 논리로 법적혼인을 진행한 가족 중 결혼한 이성부부와 혈연자녀 가정과 수용 정도의 차이를 드러내는 다문화가정을 비교하여 부부의 국적과 인종이 상이한 경우의 차이점을 서술한다. 이에 더해 동거하는 부부의 성별이 이성인지 동성인지에 따른 인식 변화와 혼자 사는 가정과 비혈연이지만 다수가 공동거주하는 가족 형태 사이의 인식 차이를 분석해내고자 한다. 가족의 특성별로 가족을 비교분석하는 것에 추가로, 가족다양성을 수용 정도에 있어 주축이 되는 두 가지 형태의 가족을 추려낼 수 있었다. 가족다양성 수용의 큰 축이 되는 하나의 가족은 근래까지도 ‘정상가족’이라 칭해졌던 결혼한 이성부부와 혈연자녀 가정으로, 해당 가정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모든 차원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사회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는 상반되는 가족형태는 동성동거가정으로, 이들의 사회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모든 차원에서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이들에 대한 의견은 현재 사회 내부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으로 드러나 향후 한국의 새로운 사회문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응답자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다양한 가족을 향한 인식 변화를 야기하고 있음을 서술한다. 가족 내적인 특성들 외에도 가족 외적 요인이 가족다양성 수용도를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가족 다양성을 수용하는 것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은 성별과 연령으로, 성별에 있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비정형적’으로 여겨지는 가족형태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분석해낼 수 있었으며, 연령에 있어서는 2030 응답자들이 4050이상의 응답자들보다 가족다양성에 더 열려있는 태도를 취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족다양성 수용도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단일한 연구 내부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는 다소 적은 숫자의 가족형태들만을 다루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게 해주며,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가족형태들을 단일면 하에서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다양한 가족형태들을 단일면 하에서 다루는 것은 이들의 다채로운 특성에서 유래하는 차이들의 비교를 용이하게 해준다. 이는 가족다양성 인식을 단순히 가족으로의 수용 여부를 기준으로 이분법적 가름하는 것이 아닌 사회정체성을 활용한 감정조절이론을 활용함에 있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감정조절이론의 활용으로 인해, 감정조절이론 연구의 불모지에 가까운 한국의 현실에서 한국 가족 형태의 사회정체성을 측정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how South Koreans (hereafter “Korea”) perceive different forms of family, especially amidst the rapid changes in family structur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enormous changes during its short modern time history and it has resulted in diversifying the family structure. A family works as a mediator between society and the individual. Individuals form a family by their choice and it becomes a basis of society while societal factors affect a family which eventually shapes an individual’s choic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amily diversity phenomenon is indispensable in studying sociology. Studies focusing on family diversity have diverse study purposes while the present study aims to specify family diversity acceptance status. Current studies on family diversity mainly illuminate how society as a whole should react to increasing family diversity, but it lacks on how individual people conceive the current family phenomenon. Family is in which consisted of individual people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individuals perceive family but its importance is underrepresented in academia. Few studies which investigated family diversity acceptance status do not cover overall family types. They primarily work in a multicultural family which is consisted of Korean men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women. This could not address Korea’s overall family diversity accept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that have diverse family types in one study. Indeed few studies cover various family types in one study, which i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but their questionaries are limited to asking correspondents’ thoughts about whether a specific family is accepted as a family in Korea. These kinds of questions are too simple to investigate Koreans' further thoughts regarding family diversit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questions family diversity acceptance based on the Affect control theory, which originated from social psychology. Affect control theory is a methodology that quantifies objects’ social identity. Social identity is an abstract concept that originally could not be quantified but through affect control theory, it could be transferred to number. Based on affect control theory, this study offers 11 types of families to be evaluated. Eleven types of families a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at addressed family diversit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resent study develops three main ideas. First, the study illustrates the family factor which affects family acceptance. The most effective family factor is a legal marriage and the presence of a child follows next. The most accepted family types consist of legally married couples with their children. Couples such as divorced or married more than two times or cohabiting without marriage are conceived as negative among diverse families. However, since this discussion i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a small number of family types without specifying whether or not to raise children in most family types, in-depth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to be needed to generalize the finding. In addition, the EPA score difference between parents with their biological children and parents with their adopted children could shed light on how Koreans perceive families with adopted children.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couples with identical nationality or ethnicity with couples with different nationalities or ethnicity. Als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eterosexual cohabiting couples and homosexual cohabiting couples is further analyzed. Lastly, comparing families living alone and families which are cohabiting with non-blood or marriage-related people would illustrate how Koreans perceive living alone versus living together even though their family members are not related to traditional family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comparing and analyzing families by family characteristics, two types of families that are the main pillars could be selected. One family is a married heterosexual and blood-related family that has been called a "normal family“ until recently. This family type is perceived as the most positive throughout all dimensions with little disagreement. Contrary to this, homosexual couples’ perception turns out to be the most negative at all levels, and their consensus level is so low, suggesting that it may emerge as a social issue in Korea in near future. Finall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causing changes in perception toward various family types are analyz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are gender and age, resulting in women accepting family types that are considered more ’untypical' than men. Another important factor, age, showed that the more younger respondents ar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accept family diver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various types of families within a single stud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in Korea. This allows us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dealt with only a rather small number of family types and allows us to analyze family typ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under a single surf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