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4 Download: 0

Virtual Socializatio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s

Title
Virtual Socializatio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s
Authors
AVILA, ELLYN JENICA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명호
Abstract
코로나19 판데믹은 재택근무의 급격한 확산을 불러일으켰다. 판데믹으로 인한 혼란과 불확실성 가운데도 자발적으로 회사를 사직하는 노동자의 숫자의 급격한 증가 현상인 대퇴직(great resignation)은 세계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 기간으로 인한 노동 및 직장에서의 많은 변화로 직원 유지에 대한 이슈가 다시 주목을 받게 된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봉쇄 조치 시행으로 길어진 재택근무 셋업은 직장에 입사하는 신입사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변화된 조직사회화는 판데믹 기간 동안 조직에 새로 온 사원들의 직무배태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로 한다. 직장에서 발생하는 조직사회화 과정과는 다른 가상사회화(virtual socialization)는 직무배태성의 각 차원들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다. 이 과정의 결과는 결국 이직의도에도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 가상사회화는 관련된 결과에 미치는 실제 영향을 보기 위해 필리핀 직원들을 대상으로 2회차(two-wave) 선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주로 정보기술(IT)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업계에서 일하는 총 76명의 응답자를 조사한 결과, 가상사회화와 이직의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가 미미하다는 것을 발견했으나 이들 간에 직무배태성이 완전매개 역할을 본다. 또한 가상사회화 기법 중 사회적 기법은 직무배태성 및 그 차원인 적합성에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상사회화는 적합성과 희생에 비해 신입사원들의 연계에서 조금 약한 영향을 본 것으로 발견했다. 이것은 원격적으로 조직에 대해 배우면서 조직 및 동료들과의 연결감을 맺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화가 근본적으로 불확실성 감소 과정이므로 가상사회화는 총 직무배태성과의 정적 상관관계는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직무배태성의 요인 중에서 희생이 이직의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가상사회화의 개념을 조사해서 조직사회화에 대한 지식과 선행연구는 확장하려고 했다. 또, 온라인으로 변화된 조직사회화가 직원들을 조직에 배태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다. 이는 직무배태성의 차원들에 대한 연구 및 인력유지 전략을 설계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필리핀의 사례를 조사했다.;The spread of COVID-19 prompted a lot of changes in the workpla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ere companies were forced to adopt a remote work scheme. In the midst of the disruption and uncertainty brought about by the pandemic, a record number of resignations creating the so-called “great resignation” trend is being observed globally. With many changes in the workplace and the workforce happening, the issue of employee retention is brought back to the spotlight. Furthermore, the prolonged remote work setup brings new implications for people entering into the workplace during this period. The present study addresses the topic on the changes i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its effects on the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newcomers during the pandemic. Virtual socialization,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ocialization process that happens within the workplace, affects the dimensions of job embeddedness differently and translates these effects to turnover intentions. We conducted a two-wave study on professionals based in the Philippines in order to see the real effect of virtual socialization on its related outcomes. Studying a total of 76 respondents mainly working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BPO) industries, we found tha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socializa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s insignificant. However, a full mediation by job embeddedness between these is supported. Furthermore, we found that among the socialization tactics, social tactics more strongly predict job embeddedness and has a stronger effect on fit compared to links and sacrifice. On the other hand, virtual socialization was found to be weaker on links compared to the fit and sacrifice dimensions. Yet, the overall job embeddedness was not severely affected by this change owing to socialization being fundamentally an uncertainty reduction process. Lastly, among the job embeddedness dimensions, sacrifice is found to be a salient factor in predicting turnover intentions compared to fit and links. This paper addresses the call for the expansion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literature by putting into context the notion of a remote socialization. Furthermore, it contributes by extending the study on the dimensions of job embeddedness as it investigates how the change in socialization to a virtual setup affects the different aspects that embed employees into their organizations and making them stay. This study further provides practical contribution for designing effective online onboarding processes and planning strategies for retaining employees in the long run. We look into the case of the Philippines for basing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