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강소천 아동문학의 윤리의식 연구

Title
강소천 아동문학의 윤리의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Children's Literature in Gang So-cheon
Authors
허난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강소천의 동화를 타자윤리라는 관점에서 규명하며 강소천 동화의 교육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전후의 시기에 집필을 한 강소천이 주체와 타자 간에 벌어지는 윤리적 행위를 어떻게 형상화했는가를 밝혀내었다. 이는 아동문학의 주요 존재 이유인 교육성과 연관해 현시대에 요구되는 아동문학의 교육성을 재고하고,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 나가야 할 윤리의식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차용하였다. 레비나스는 주체중심철학에 문제를 제기하고 벌거벗은 타자에 집중하며 타자중심의 윤리학을 주장했다. 이는 타자를 배제하고 억압하며 타자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동일화 주체에 의해 타자의 삶이 짓밟히고 고통스러워지는 사회적 모순이 크나큰 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강소천은 교육성의 양과 질에서 부정적인 평가와 긍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은 작가이지만, 그간의 연구사에서 강소천 문학의 교육성이 구체적으로 천착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강소천의 동화에서 발견되는 교육성이 타자윤리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었음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었다. 본고에서는 연구대상이 아동문학이라는 점에 기반해 강소천 동화의 등장인물을 성인과 아동으로 나누고, 성평등한 윤리학의 정립을 위해 성별에 따라 인물을 구획하여 남성, 여성, 남아, 여아에게서 발견되는 타자윤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강소천이 독자의 나이가 높아짐에 따라 더욱 심화된 윤리의식을 작품 속에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강소천의 동화를 유년동화, 일반동화, 아동소설로 분류하고, 강소천 유년동화의 타자윤리는 Ⅱ장의 ‘책임 윤리’로, 일반동화는 Ⅲ장의 ‘환대 윤리’로, 아동소설은 Ⅳ장의‘대속 윤리’로 집약됨을 서술하였다.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 살펴본 강소천 유년동화에서 남성은 탈가부장적인 모습으로 아동을 돌보며 스위트 홈을 만들고, 여성은 아동의 생명을 보호하고 아동에게 교육적인 가르침을 전하며 모성적 활동을 하였다. 어머니의 가르침을 벗어나는 아동은 생명의 위기를 겪기 때문에 아동의 생명 보호를 위해서는 강력한 모권이 요구되었다. 이렇게 아버지와 어머니는 아동의 생명을 보호, 유지하고 가르침을 전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방식으로 책임 윤리를 수행한다. 남아는 외부 세계를 향유하고 좌절하며 주체화되거나 자연을 도구화하며 타자를 훼손하지만, 작품의 결말이나 다른 등장인물을 통해 이런 자세가 비판된다. 이를 통해 타자의 살해금지명령에 따라 다른 생명과 공존해야 한다는 주제의식이 드러난다. 여아는 이기적인 주체부터 돌봄을 행사하는 주체까지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며 이기적 주체에서 윤리적 주체, 그 사이에 속한 인물의 면면이 자세히 노정된다. 여아는 타자에 대한 돌봄을 수행하며 책임 윤리를 수행하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다. 강소천 유년동화에서 성인은 우월한 존재, 아동은 미완의 존재이며, 이들은 시혜적, 수용적인 태도로 책임 윤리를 수행하고 받지만, 이들은 권력 관계가 아닌 윤리적 관계 안에 놓인다. Ⅲ장에서 살펴본 강소천 일반동화에서는 현실적인 사회상이 더 자세히 반영되며, 가족의 부재 등으로 인한 결핍 상황이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아버지는 부재하거나 가족 등과 떨어져 홀로 살아가는데, 아버지를 포함한 독신 남성은 이방인, 타자로서 살아가며 주체의 환대를 받는다. 또한 타자를 환대하는 남성은 당대의 패권적 남성성에 균열을 가하며 윤리적인 남성상을 제시한다. 여성은 죽음이나 병 등으로 작중 비중이 축소되어 새어머니가 등장하기도 하는데, 긍정적인 새어머니와 부정적인 어머니가 형상화되는 작품을 통해 착한 엄마-나쁜 새어머니라는 이분법적 여성성이 지양된다. 어머니가 생존한 경우, 어머니는 남편의 부재에 따라 대리 가장이 되어 모중심 가정을 이끌며 강인한 여성으로 살아가고 아동을 환대하기 위해 노력한다. 강소천 일반동화에서 타자를 환대하는 남성과 아동을 돌보는 여성은 형이상학적 욕망에 의해 타자의 호소에 즉각적으로 응답하는 모습을 보인다. 남아는 가난, 그리움, 외로움 등의 결핍을 느끼지만, 그 결핍을 동력으로 타자에게 감정이입을 하며 윤리적 행위를 수행한다. 그러나 일부 남아는 동일화 주체로 등장하며 평화중재자와 길항하고, 평화중재자에 의해 환대 윤리가 행해지는 양상이 발견된다. 여아는 내적, 외적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을 기울이며, 아동으로서 미숙한 점은 외부의 도움을 받아 윤리적, 내적으로 고양된다. 그리고 이기적인 여아, 조건적 환대를 수행하는 주체의 문제점을 깨닫게 하는 여아에 의해 환대와 절대적 환대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Ⅳ장에서 살펴본 강소천 아동소설에는 가족 되기를 통해 타자에게 대속 윤리를 행하는 주체의 모습이 다양하게 노정된다. 남성은 자신의 능력을 타자에게 가르치거나 능력을 기부하고, 여성은 능력을 살리고 노동을 해서 타자에게 가족이 되며 대속 윤리를 행한다. 남아는 고아나 기능적 고아 상태 등에 처하면서 생존하기 위해 분투하며 가족이 되어줄 주체를 갈망한다. 또한 남아는 타자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려고 노동을 하며 대속 윤리를 수행하고, 타자 되기를 통해 타자의 삶을 경험한 남아는 윤리적 주체로 거듭난다. 여아도 자신의 재능을 펼치며 타자 아동을 경제적, 실제적으로 돕고자 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제삼자에게까지 윤리적 행위가 확대된다. 강소천 아동소설은 국가, 국외로까지 배경이 확대되어 로컬과 중심부가 서열화 되며 로컬의 아동이 이중으로 타자화되지만, 아동은 로컬적 주체, 윤리적 주체가 되면서 허구적인 로컬 개념에 균열을 내 장소성에 전복을 가한다. 그리고 강소천 아동소설에서 타자에게 대속 윤리를 수행하는 성인과 아동은 자신의 생존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타자를 위해 희생하지만, 이때의 희생성은 수동적, 억압적인 행위로서가 아니라 능동적, 자발적인 태도를 전제로 이루어져 윤리적 주체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게 한다. 본고에서는 현시대가 추구하고 지향해야 할 윤리의식이 무엇인가를 아동문학과의 접점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아동문학의 가치와 강소천 동화의 교육성에 대한 재고가 이루어졌다. 강소천 동화의 윤리의식을 고찰하며 타자윤리의 가능성을 읽어내었는데, 이를 토대로 젠더적인 관점, 평화적인 관점, 생태적인 관점, 글로벌한 관점에서 보다 완성도 있는 윤리의식을 재건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보다 진작하고 성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from a perspective of ethics of the oth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Through this, it revealed how Gang So-cheon, who wrot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embodied ethical behavio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nsiders the educational nature of children's literature as required in the present era in relation to educational nature as the main reason for the existenc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it examines ethical consciousness as we should pursue i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paper borrowed Levinas' ethics of the other. Levinas raised issues with subject-centered philosophy, focused on others in their naked form, and insisted on other-centered ethics. This is because social contradictions in which the lives of others are trampled and filled with pain by identified subjects who exclude, suppress, and use violence against others has emerged as a great problem. Gang So-cheon is a writer who received both negative and positive reviews in terms of educational quantity and quality, but the educational quality of Gang So-cheon’s literature has not been scrutinized in detail in past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specifically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nature found in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aimed at revealing ethics of the oth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research is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divided the characters of Gang So-cheon’s children’s stories into adults and children, sectioned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to establish gender equality, and examined ethics of the other discovered among men, women, boys, and girls.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Gang So-cheon embodied a deeper sense of ethics as the age of his readers increased and classified Gang So-cheon’s children’s stories into childhood fairy tales, general fairy tales, and children's novels, and it described the ethics of others in the childhood fairy tales of Gang So-cheon as "responsibility ethics" in Chapter II, those in general fairy tales as "hospitality ethics" in Chapter III, and those in children’s novels as “substitution ethics” in Chapter IV.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hildhood fairy tales of Gang So-cheon observed in Chapter II, men take care of children in a non-patriarchal manner and make a sweet home while women do maternal activities, protecting the lives of the children and delivering educational teachings to them. Since children who deviate from the teachings of their mother suffer from a life crisis, strong motherhood is requir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 children. In this way, fathers and mothers perform responsibility ethics in a way that helps children live well by protecting and maintaining the lives of children and delivering teachings. Boys enjoy the outside world, become frustrated, experience subjectivation, instrumentalize nature, and damage others. But this attitude is criticized through the ending of the work or through other characters, and a thematic consciousness comes to light that one must coexist with other lives according to the prohibition order against killing others. With girls, there are a variety of characters, from selfish subjects to those who exercise care, and details of characters from selfish subjects to ethical subjects to those in between are revealed in detail. Girls were embodied into images that act with care for others and carry out responsibility ethics. In the childhood fairy tales of Gang So-cheon, adults are superior while children are incomplete and they perform and receive responsibility ethics in a beneficent and receptive manner but they are placed within ethical relationships and not relationships of power. In the general fairy tales of Gang So-cheon discussed in Chapter III, realistic social images are reflected in more detail, and situations of deficiency caused by an absence of family are expressed in detail. The father is absent or lives alone apart from his family, and single men, including the father, live as strangers and other people and are welcomed by the subject. In addition, men who welcome others crack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the times and present an ethical male image. The roles of women are reduced due to death or illness and stepmothers appear, and the dichotomous femininity of good mother-bad stepmother is rejected through works that embody the positive stepmother and the negative mother. If the mother survives, the mother becomes a surrogate head of the household in the absence of her husband, leads a mother-centered family, lives as a strong woman, and tries to warmly receive children. In the general fairy tales of Gang So-cheon, men who welcome others and women who care for children immediately respond to the appeal of others by virtue of metaphysical desires. Boys feel deficits such as poverty, longing, and loneliness, but they empathize with others using such deficits as a driving force and they perform ethical acts. However, some boys appear as identical subjects, resisting with peace mediators, and patterns appear in which hospitality ethics are practiced by peace mediators. Girls make efforts on their own to resolve internal and external deficits and their immaturity as children is enhanced ethically and internally with external help. In addition, the need for hospitality and absolute hospitality is raised by the selfish girl and the girl who realizes the problems of subjects performing conditional hospitality. In the children's novels of Gang So-cheon, which were examined in Chapter IV, various images of subjects who practice substitution ethics towards others through becoming a family are revealed. Men teach their abilities or donate their abilities to others, and women use their abilities and labor to become a family to others and practice substitution ethics. Boys become orphaned or become functional orphans, struggling to survive and longing for subjects to become family. In addition, boys labor to provide economic aid to others, carrying out substitution ethics, and becoming reborn as ethical subjects who experience the lives of others through becoming others. Girls also unfold their talents to help other children economically and practically, and in this process, ethical behavior expands to third parties. The backgrounds in the children’s novels of Gang So-cheon expand to the nation and abroad, and local children are dually otherized as local and central areas are ranked but as children become local and ethical subjects, they create cracks in fictional local concepts and overthrow placeness. Also, in the children’s novels of Gang So-cheon, adults and children who perform substitution ethics for others sacrifice for others when their survival is at stake, but their sacrifice at this time is based on active and voluntary attitudes and not passive and oppressive actions and this moves towards the completion of an ethical subject. This paper examined the ethics that should be pursued and sought by the present era in terms of contact with children's literature. And through this, reconsiderations were made of the valu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The possibilities of ethics of the other were read into as examinations were made of the ethics in children’s stories of Gang So-cheon and based on this, demands were made for a need to rebuild a more complete ethical consciousness from a gender perspective, a peaceful perspective,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a global perspectiv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boosted and reflected upon this problem awar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