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Social Ecological Determinants of Long-term Contraceptive Use among Women aged 15 to 49 in Indonesia

Title
Social Ecological Determinants of Long-term Contraceptive Use among Women aged 15 to 49 in Indonesia
Authors
Mutsla, Luthfiyyah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Contraceptive Prevalence Rate (CPR) and Unmet Need Family Planning services are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success of the Family Planning (FP) progra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Indonesia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IDHS), the CPR approximately increased from 49.7% in 1991 to 63.6% in 2017. Long-term contraception methods (implants, intrauterine devices (IUD), and female and male sterilization) are highly effective methods and can reduce the birth rate by less than 1 pregnancy per 100 women annually (WHO, 2018). However, the use of long-term contraception is still low compared to short-term contraception use. In fact, most women of childbearing age are preferring to use short-term contraception methods. Only 14.6% of women decided to use a long-term contraception method after giving birth (Riskesdas, 2018), while the government target should be 21.7% coverage (Renstra BKKBN 2015-2019).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long-term contraceptive use of women aged 15-49 in Indonesia based on IDHS in 2017 by applying the social-ecological model approach. Method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ed the latest Indonesia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IDHS) in 2017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long-term contraceptive use among women aged 15 to 49 years in Indonesia. Contraceptive methods which include long-term contraceptives are implants, intrauterine devices (IUD), and female sterilization. We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long-term contraceptives based on the social-ecological determinan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value,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CI) using SPSS version 25. Results: Among 6,996 wom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23.5% are long-term contraceptives user. At the individual level, older women, higher education level, high knowledge of family planning, and having more than two living children positively increased the long-term contraceptive use. Women who have no desire for more children also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long-term contraceptive use. Notably, the decision of contraceptive use by others elevated the decision of contraceptive use among women (OR:3.945; 95% CI: 1.488 – 10.459). At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level, women who received counseling from health provider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long-term contraceptive use, while those whose visited by a family planning officer increased the use of long-term contraceptives. Moreover, ownership of JKN/BPJ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long-term contraceptive use (OR: 7.572; 95% CI: 6.311 – 9.086). On the opposite, factors at the interpersonal level (husband/ spouse age, men’s attitude, discussion of contraceptive use with others) and factors at the community level (place of residence, wealth index) were found not associated with long-term contraceptive use. Conclusion: Long-term contraceptive use among childbearing aged women in Indonesia in 2017 is still low (23.5%) and multilevel determinants were confirmed to be associated with it. Through the social-ecological approach, the government could provide and develop a tailored strategy intervention to increase contraceptive participation rate; specifically, long-term contraceptives use and eliminate the barrier caused by the determinants. Particularly, evaluation of health provider capacity as a family planning counselor is urgently needed, as well as regular training and capacity building should be considered.;피임 기구(약)의 보급률(CPR)과 미만족 가족 계획 서비스(Unmet Need)는 가족 계획 프로그램 구현의 성공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2017년 인도네시아 인구통계보건조사(Indonesia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IDHS)에 따르면 CPR은 1991년 49.7%에서 2017년 63.6%로 증가하였다. 장기적 피임법(임플란트, 자궁내 장치(Intrauterine Devices/IUD), 여성·남성 불임법)은 효과가 높은 방법으로 연간 여성 100명당 임신 1회 이하로 출산율을 낮출 수 있다(WHO, 2018). 다만 단기적 피임법에 비해 장기적 피임법의 사용이 여전히 낮은 편이다. 실제로 가임 연령 여성들 대부분은 단기적 피임법을 선호하고 있다. 출산 후 장기적 피임법을 사용하기로 한 여성은 14.6%(Riskesdas, 2018)에 불과했고 정부 목표는 21.7%(Renstra BKKBN 2015~2019)였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2017년 IDHS를 기반으로 인도네시아 15-49세 여성의 장기적 피임법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사회·생태학적 모델 구성을 적용하여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2017년 IDHS를 이용한 2차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도네시아 15~49세 여성의 장기적 피임법 사용 결정 요인을 조사하였다. 장기적 피임법을 포함하는 피임 방법으로는 임플란트, 자궁내 장치(IUD), 여성 불임법이 있다. 사회·생태학적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장기적 피임법의 결정요인을 조사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은 SPSS 버전 25를 사용하여 p-값, 오즈비(Odds Ratio/OR) 및 95% 신뢰 구간(95%CI)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여성 6,996명 중 23.5%가 장기적 피임법 사용자였다. 개인 수준에서는 고령 여성, 고등교육 수준, 가족계획에 대한 높은 지식, 살아 있는 자녀가 2명 이상 있는 것이 장기적 피임법 사용을 긍정적으로 늘렸다. 더 많은 아이를 원하는 욕구가 없는 여성도 장기적 피임법 사용 확률을 높였다. 특히 다른 사람의 피임법 사용 결정은 여성들 사이에서 피임법 사용의 결정을 높였다(OR: 3.945; 95% CI: 1.488–10.459). 조직 및 기관 수준에서는 건강제공자 상담을 받은 여성은 장기적 피임법 사용과 부정적으로 연관됐고, 가족계획의 담당관이 방문한 여성은 장기적 피임법 사용을 늘렸다. 또한 국민건강보험 (JKN/BPJS) 있는 여성은 장기적 피임법 사용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다(OR: 7.572; 95% CI: 6.311–9.086). 반면 개인 간 수준 요인(남편/배우자 연령, 남성의 태도, 타인과 피임법 사용에 대한 논의)과 지역사회 수준 요인(거주 형태, 소득 수준)은 장기적 피임법 사용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2017년 인도네시아 가임 연령 여성 중 장기적 피임법 사용은 여전히 낮은 수준(23.5%)으로 다수준 결정요인이 연관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해, 정부는 피임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전략 개입을 제공하고 개발할 수 있다. 그리고 장기적 피임법 사용 및 결정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장벽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가족계획 상담사로서의 건강 제공자 역량에 대한 평가가 시급하고 정기적인 훈련과 역량 강화도 고려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