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1 Download: 0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Title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Focused on the Mode of Text
Authors
YANG, FA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텍스트의 양식에 초점을 두어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 구성 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국가별에 따른 교재의 특성과 문제점을 밝히고, 학습자의 교재 읽기 학습활동에 대한 실제 수행 양상을 근거로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복합양식 텍스트가 일반화되면서 일상생활에서는 물론 학습 교재에서의 비중도 커지고 있다. 현행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면,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에서 문자만으로 구성된 단일양식 텍스트가 보편적이고 문자 이외의 양식의 출현은 매우 드물다는 것에 반해, 한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에서는 문자 이외의 사진, 그림, 도표 등 양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텍스트의 양식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한·중 양국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 구성 양상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분석은 양국 교재의 개선 방향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중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을 심층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두 나라 교재의 특징 및 문제점을 밝힐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에서 현재까지 진행된 교재 분석의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텍스트의 주제, 유형, 구조, 기능에만 초점을 두었고, 텍스트의 양식에 있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을 한·중 두 나라에서 출판된 것을 대상으로 그 구성 양상을 비교하는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양식에 초점을 두어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교재 개선의 실제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학습자들의 읽기 학습활동 수행 양상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교재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Ⅰ장에서는 텍스트의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에 관한 연구,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 비교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확고히 하였다 Ⅱ장에서는 양식(Mode)의 개념과 특성, 양식의 유형과 기능, 양식의 유형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한 후 텍스트에서 양식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재와 학습활동의 개념과 특성, 읽기 학습활동의 개념 및 이해 유형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한 후 한국어 교재에서 읽기 학습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텍스트의 양식과 읽기 학습활동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출판 한국어 교재와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복합양식성과 읽기 학습활동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양식의 단독 구현과 복합 구현을 나누어서 한·중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복합양식성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에는 한·중 교재 문자 중심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 구성 및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 구성을 나누어서 한·중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구성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은 복합양식성을 확보하는 데에 반해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읽기 학습활동은 복합양식성을 확보하지 못했고, 단일양식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의 구성 양상에서 문자 중심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데에 반해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은 아주 적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한·중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특성을 바탕으로,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단일양식성과 한국 출판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복합양식성에 따른 학습자의 실제 이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어 중급 학습자 15명을 선정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적 인터뷰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의 양식에 따른 읽기 학습활동 중 어떤 텍스트가 학습자의 이해에 도움이 더 되는지,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텍스트는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진행하였다. 실험 후 학습자들의 읽기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세부 내용 이해 양상’, ‘중심 내용 이해 양상’, ‘문맥 이해 양상’의 측면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총괄적으로 말하자면, 한국어 중급 학습자는 문자 중심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을 수행할 때 어휘적 지식과 통사적 지식 이용하기, 환언하기, 번역하기 등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이들은 중급 단계에서 공부하는 데 있어 여전히 언어적 지식과 배경지식의 부족으로 문자 중심 텍스트의 세부 내용, 중심 내용, 문맥을 수월하게 이해할 수 없었고, 학습 성취도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의 문자 중심 텍스트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읽기 학습활동에서 다른 의미 작용 기제도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학습자들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를 할 때 문자, 그림 자료, 도표, 배경색 등 다양한 양식으로부터 단서를 얻고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이해해 나가는 양상을 보이면서도 복합양식 텍스트와 같은 비연속적 텍스트 읽기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복합양식 텍스트의 세부 내용, 중심 내용, 문맥을 이해하는 것에 능숙하지 않다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국어 교재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Ⅳ장에서는 Ⅱ장의 교재 분석 결과와 Ⅲ장의 학습자 실제 읽기 수행 양상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개선 목표와 원리를 구체화하고, 읽기 학습활동 개선 내용과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개선 목표를 ‘문자 중심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의 복합양식성의 비중을 증가하여 교재의 균형성을 확보하기’,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의 양식과 유형을 고려하여 교재의 실제성을 확보하기’, ‘문자 중심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과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의 구현 양상을 고려하여 교재의 다양성 및 통합성을 확보하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읽기 학습활동의 개선 원리를 ‘다양성 원리’, ‘균형성 원리’, ‘통합성 원리’, ‘실제성 원리’로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이러한 개선 목표와 개선 원리에 따라 기준의 읽기 학습활동을 ‘문자 중심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과 ‘그림/도표 중심의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학습활동’으로 재구성하여 개선 내용과 개선 실제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면서 연구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연구의 제한점을 제기하며 논문의 발전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의 양식적인 측면에서 한·중 출판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특징과 문제점을 제기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읽기 학습활동을 다양하게 제공하는 목적으로 교재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는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활동의 다양성, 균형성, 통합성, 실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되길 바라고 향후 더 많은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ode of text in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and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actual reading aspects of learners. As Multimodal Texts are becoming more common, their importance is increasing in daily life as well as in learning materials. Looking 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books, while ‘Monomodal Texts’ composed only of characters are common in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China textbooks, ‘Multimodal Texts’ which is composed of characters, pictures, diagrams are common in reading activity of Korea textbooks. When viewed from the mode of tex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nd Korea. A detailed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is can gi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both countrie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in depth,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textbooks in both countries.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extbooks in Korean education is only focused on the subject, typ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text. The analysis on the mode of text is insufficient. Also,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comparing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published Korea and China by focusing on the mode of text. Also,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and validity of the textbooks, the actual reading aspects of learner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 plan for improving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in Korean textbooks was presented. ChapterⅠfirstly confirmed that the study on the mode of text in current Korean education study is lacking by examining the study on the mode of text.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ndard study neglected the structure of the reading activity itself and the mode of text in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by examining the study on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Finally, by examining the study on the comparison of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independent and specific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The above discussio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Ⅱ firstl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using the mode in text after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 the type and the function of the mode, as well as the meaning construction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de.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reading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was emphasized after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and learning activity, the concept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and the types of understanding. And based on the theory of mode and reading learning activity, we specifically analyzed the multimodality of reading learning activities and the composition of reading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For this, first we analyzed the multimodality of readi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individual aspects and the complex aspects of mode. Next, we sorted out the composition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by analyzing the mono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in Korean textbooks.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were deriv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secured multimodality, whereas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did not secure multimodality and showed a monomoda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onomodal text(letter-based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took an absolute weight in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Textbooks, whereas the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occupies a very small proportion. In ChapterⅢ,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learning activity of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we examined the learners’ actual reading aspects in letter-based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For this,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Lastly, we conduct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which text(between letter-based text and multimodal text) is more helpful for learners’ understanding of text, which text is more preferred by learners, and necessary points that are helpful if additionally presented in reading learning activities. After the experiment,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ers' reading aspects in detail,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Detailed content comprehension aspect’, ‘Central content comprehension aspect’, and ‘Context comprehension aspect’. As a result,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try to understand texts using reading strategies such as using lexical and syntactic knowledge, paraphrasing, and translating. But due to the lack of linguistic knowledge and background knowledge, it was not possible to easily understand the details, central content, and context of the text, and the learning effect was also reduced. On the other hand, some learners read multimodal texts by getting clues from various modes such as characters, picture materials, diagrams, and background colors and use background knowledge to understand the text, but most learners could not properly understand the details, central content, and context of the multimodal texts due to the lack of non-continuous text reading experience. Chapter Ⅳ specified the improvement goals and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reading learning activity and presented the contents and practices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extbooks in Chapter Ⅱ and the actual reading performance aspects of learners in Chapter Ⅲ. First, the goals of improvement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in Korean textbooks were presented as securing the balance of textbook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multimodality of letter-based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Second, securing the Authenticity of textbook by considering the mode and type of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Third, securing the Diversity and Integrity of textbook by considering the realization of letter-based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The principles of improvement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were presented as ‘Diversity Principle’, ‘Balance Principle’, ‘Integrity Principle’ and ‘Authenticity Principle’. After that, specific improvement contents and improvement practices were prepared into two types(letter-centered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and picture/diagram-centered multimodal text reading learn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goals and improvement principles. Finally, ChapterⅤ provided an overall view of this study, clarifi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ut forward the possibility of further research.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by sorting ou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eading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the mode, and providing a plan to improve textbooks with the aim of providing various reading learning activities suitable for the level of learners.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Diversity, Integration, and Authenticity of reading learning activity in Korean textbooks, and further discussion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