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5 Download: 0

생생류수(生生流水)의 회화성 연구

Title
생생류수(生生流水)의 회화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inting Properties of Saengsaeng Ryusu : Focused on my works
Authors
김인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연구자의 작업은 신체 내부에서 작용하는 특정한 현상의 자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이는 운동이나 서예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감지된 체험이었다. 그것은 연구자의 의지에 의해 통제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발생적으로 순간적으로 드러나는 에너지와 같은 것이었다. 연구자는 이를 ‘기(氣)’라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를 시각적인 조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기’는 모든 생명체에 고루 작용하는 생명의 기운이다. 연구자가 운동, 혹은 서예에서의 운필 등을 통해 체험한 것 역시 물리적인 운동이 아니라 내면에 작용하는 일종의 에너지 같은 것이었다. 이에 ‘기’로 표현되는 인간 내면의 에너지에 대해 연구하여 이론적 바탕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창작의 원동력으로서 ‘기’를 ‘생생류수(生生流水)’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였다. ‘생생’은 무한히 반복되는 우주의 생성과 소멸의 질서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멸의 과정을 통해 ‘기’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나타나고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 ‘생생류수’에 대한 연구자의 기본적인 이해이다. ‘기’의 생명현상을 주도하는 하나의 순환적 흐름이라는 속성은 물(水)이라는 매개에 의해 표출된다. 물(水)은 기(氣)의 또 다른 형상이다. 이러한 물에 대한 이해는 동아시아 전반으로 역사가 깊다. 물은 고정된 형태가 없어 무엇으로든 변화할 수 있으며, 위치를 고집하지 않고 자유로이 흘러 다닌다. 가장 유약한 것처럼 보이지만 가장 크고 감당할 수 없는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는 물이 바로 곳곳을 흘러가며 곳곳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간직하고 기억하는 큰 에너지 장(場)이기 때문이라 생각하였다. 흐르고 스며들고 퍼지고 넘치고 뒤덮는 속성을 가진 물을 표현하기 위해 연구자는 독자적인 방법을 취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한 진행 과정 중 연구자에 의해 발생되는 특정한 순간의 변화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작품을 완성하였다. 도구를 이용해 다양한 표현들을 연구함으로써 작업에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었고, 특히 붓은 꺾이고 튕기고 긁어내는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표현들이 다른 도구를 이용한 것보다 더욱 표현이 다양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 방식은 서구적 조형관에 바탕을 둔 구체적인 대상을 재현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이는 전적으로 ‘기’라는 현상을 실체로 인식하고, 그 운동의 흐름을 작품으로 표현해내는 것이다. 이는 전적으로 동양사상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이같이 ‘기’에 주목하는 것은 물질 중심의 현대 사회에서 물질이 아닌 그 이면에서 작용하고 있는 무엇인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함이다. 더불어 이 세상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것들은 모두 제 각기의 기를 가지고 존재하는 것들로 이해함으로써 상호 조화와 균형의 가치를 말하고자 하였다. ;The researcher’s work derived from self-awareness of specific phenomena acting inside the body. This was a unique experience perceived through various activities like exercise or calligraphy. That was not something controlled by the researcher’s intent but something like energy revealed spontaneously and momentarily. The researcher would understand this as a concept of ‘Qi’ and express this in visual forms. ‘Qi’ is the energy of life acting evenly on every living thing. What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rough exercise or brushstroke in calligraphy was not only physical exercise but also a kind of energy acting inside. Thus,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nergy inside humans expressed as ‘Qi’ to secure the theoretical ground and would analyze and comment on the researcher’s work through that. This study described ‘Qi’ as the driving force of creation through the concept of ‘Saengsaeng Ryusu (Literally, meaning ‘Living, living, flowing water’)” Here, “Saengsaeng” refers to the infinitely repeated order of creation and destruction in the universe. Through this process of creation and destruction, ‘Qi’ appears and exists in different shapes, which is the researcher’s basic understanding of ‘Saengsaeng Ryusu.” The property of a cyclical flow that takes lead in the life phenomenon of ‘Qi’ is expressed by the medium of water. Water is another image of ‘Qi.’ There have long been understandings of water. Of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examples of the expression of ‘Qi’ through water through the images of water expressed in paintings. Water can turn into anything since it does not have a fixed form. It does not stick to a position but flows freely. It looks very weak, but it sometimes exhibits the greatest and ruinous power. The researcher thought that it is because water is an enormous energy field, which holds and remembers everything happening here and there, flowing everywhere. To express water with properties such as flowing, smearing, spreading, overflowing, and covering, the researcher took the original approach and completed the work by selecting parts of changes at certain moments in the resulting progress. That was a unique situation in which the physical energy emitted through brushes or tools met water, the medium, to harmonize.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is was the contact point where the relative values, such as human and nature, necessity and coincidence, intention and randomness met, collided, and converged. This way of working is very different from the one by the representation of concrete objects based on the Western formative view. This is solely the recognition of the phenomenon, ‘Qi’ as a reality and the expression of the flow of movement in the work of art. This is exclusively based on Oriental thought. The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Qi’ like th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what acts behind materials in materialistic modern society. Moreover, the researcher would talk about the values of mutual harmony and balance by understanding everything constituting the world as one existing with one’s own ‘Q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