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5 Download: 0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형태 언어 연구

Title
시각장애인을 위한 촉각 형태 언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actile form langu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 Focusing on Unicode Emoji
Authors
김예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윤석
Abstract
스마트폰 환경에서 이모지는 언어의 기능을 수행하며 간단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 공감각적 희로애락 정서까지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시각 장애인은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소통 방식을 온전히 활용하기 어려우며, 이는 심각한 정보 단절로 이어지기 쉽다. 온라인 소통을 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은 스마트폰의 화면 읽어주기 기능을 이용한다.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소통에서의 이모지 사용 방법은 음성 설명(‘웃고 있는 얼굴’,‘울고 있는 얼굴’,‘화가 나 코에서 김을 뿜는 얼굴’등)을 듣고 해당 이모지를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음성으로 이미지를 읽어주는 방법은 정확한 정보 전달 부분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는 음성 설명만으로는 시각장애인에게 온라인 소통에서 쓰이는 이모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형태를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는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소통에 많이 쓰이고 있는 이모지에 대한 정보를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맞게 촉각 표현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가지고 도서를 제작해 시각장애인의 이모지 사용 접근성과 정확한 정보 전달 그리고 더 나아가 새로운 촉각 표현의 도서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맞춰진 촉각 표현 연구를 위해 시각장애인의 인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을 위한 다양한 촉각 표현의 사례 조사와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 작품을 가지고 ‘부천 해밀도서관’에서 시각장애인분과 대면 테스트를 통해 미비한 점을 확인하고 보완하여 본 연구까지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를 개선하고자 했다. 이모지 선정 기준으로 대면 테스트 때 받은 피드백 중 선정에 대한 의견을 수용하여 어도비와 유니코드에서의 이모지 사용빈도 분석을 통해 각 카테고리 속 사용빈도가 높은 이모지들을 알아보고 본 연구에 사용할 이모지로 선정한다. 이후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적합한 촉각 도서를 제작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시각장애로 인한 정보 접근의 한계를 보완하고 온라인 소통에서 사용되는 이모지에 대한 시각 정보를 읽고 즐길 수 있는 촉각 도서를 제작하고자 한다. 시각 이미지 정보 접근의 확대는 장애와 관계없이 정보를 인지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보편적 디자인으로 연령, 성별,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누구나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니버설 디자인 이념도 담고 있다. 본 연구 작품에서 보이는 시각장애 특성에 맞춰진 촉각 표현이 오늘날 다양한 책에 적용되어 시각 정보의 접근 기회의 사각지대에 있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학습이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In the smartphone environment, emojis perform the function of language allowing them to exchange synesthetic emotions of joy and sorrow beyond a simple communication tool. It is difficult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o fully utilize the onlin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mobile devices, which is likely to lead to serious information loss. In order to communicate online, the visually impaired use the screen reading function of their smartphone. The way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use emojis in online communication is to listen to the voice explanations ('smiling face', 'crying face', 'anger or steaming face', etc.) and select the appropriate emoji to use. However, the method of reading an image by voice has difficulties in delivering accurate information. The metho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need for accurate information and form of emojis used in online communic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using only voice descrip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tactile expression of information on emojis widely used for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book that can deliver emoji accessibility and accurate inform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furthermore create new tactile expression. Specifically, this the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various tactile expressions to stud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tactile express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We conducted a face-to-face test with the visually impaired at the ‘Bucheon Haemil Braille Library’ with the our research works. Through this, we improved the research by identifying shortcomings and supplementing tasks. According to the emoji selection criteria, we accepted the opinion on selection among the feedback received during the face-to-face test.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emoji use in Adobe and Unicode, we found emojis with high frequency in each category and selected them as emojis to be used in this study. Next, we introduced a tactile book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access caused by visual impairment and to produce a tactile book that allows they to read and enjoy visual information about emojis used in online communication. The expansion of visual image information access is meaningful in improving and enrich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by recognizing information regardless of disability. It also contains the universal design philosophy of design for all and universal design so that anyone can use it comfortably regardless of age, gender, or disability. It is hoped that the tactile expressio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shown in this research work will be applied to various books,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learning of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access to visual inform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