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여성 성소수자의 사회적 낙인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여성 성소수자의 사회적 낙인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Perceived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of lesbian, bisexual sexual minority women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elf-Silencing and Self-Compassion
Authors
김지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성소수자의 사회적 낙인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 침묵이 매개하고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 모형을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적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은 이성애자에 비해 취약하다는 연 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개입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신 건강에 미치는 심리적 기제로 주목한 자기침묵은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지만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이성애자를 대상으로 하여 성소수자가 경험하는 관계 내 태도가 반영되지 못한 점이 있다. 사회적 지지가 성 소수자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고려해볼 때, 성소수자의 친밀한 관계 내 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적 낙인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체로 외적 자원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내적 자원을 탐구함으로써 성소수자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자기자비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의 성적 지향성이 동성애자(Lesbian; L)이거나 양성애자(Bisexual; B)이며, 생물학적 성(sex)과 성별 정체성(gender identity)이 여성인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적 낙인 인식, 우울, 자기침묵, 자기자비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17명에 대한 응답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하였고 SPSS process Macro v3.3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성 소수자의 사회적 낙인 인식은 우울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낙인 인식이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로 가는 간접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 성소수자의 사회적 낙인 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침묵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자기자비가 자기침묵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여성 성소수자의 사회적 낙인 인식 및 우울과 관련하여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것과 함께 자기자비라는 변인 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는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로 인해 영향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자기자비가 보호요인으로서 여성 성소수자의 높은 사회적 낙인 인식으로 인한 자기침묵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여 우울을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여성 성소수자의 자기침묵이 우울로 이어지는 과 정을 예방하는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여성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through self-silenc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of lesbian and bisexual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that sexual minorities are more vulnerable to mental health than heterosexuals,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nterest in sexual minority stress increased and there is ongoing discussions on intervention methods for minority stress. Self-silencing, which is not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on mental health, is a predictor of depression, and research on the negative effec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previous studies targeted heterosexuals. There is a point that the attitude within the relationship experienced by sexual minorities is not reflected. Considering that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relieving stress for sexual minor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ttitudes within the intimate relationship of lesbian and bisexual women. In addition, since perceived social stigma has generally focused on external resources in its effect on mental health, it aims to propose the need for self-compassion intervention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sexual minorities by exploring objective and subjective internal resources. 317 lesbian, bisexual sexual minority women were surveyed online for data collection. SPSS 23.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hile SPSS Process macro v3.3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tigma, depression, self-silencing and self-compas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perceived social stigma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self-silenc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was moderated by self-compassion. This indicates that self-compassion acts as a protective factor buffering the negative impacts of perceived social stigma and high self-silencing and decreasing the risk of depression among lesbian, bisexual woman. Active interventions to enhance self-compassion and reduce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are needed for sexual minority’s mental health.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