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7 Download: 0

성별과 연령에 따른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대한 이해

Title
성별과 연령에 따른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대한 이해
Other Titles
Understanding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regarding Gender and Age
Authors
길보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젠더갈등이 중요한 사회 갈등으로 가시화되기 시작한 사회현상에 주목하여, 젠더갈등과 관련이 있는 여성의 이득이 남성의 손실로부터 발생하였다고 믿는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 연령, 자존감 능력 수반성, 사회비교경향성, 상대적 박탈감, 사회지배지향성, 네오성차별주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Part 1, 2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Part 1에서는 성별, 연령, 자존감 능력 수반성, 사회비교경향성, 상대적 박탈감, 사회지배지향성, 네오성차별주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Part 2에서는 논제로섬 상황에서의 상대적 이익조건과 성별, 연령 집단에 따라 이득을 제로섬으로 지각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가상의 기업이 새롭게 실시하는 채용 계획으로 채용된 남성과 여성의 인원 비율을 조작하여 상대적 이익 상황으로 정의하고, 상대적 이익 시나리오(상대적 남성 이익 vs. 상대적 여성 이익), 성별(남성 vs. 여성), 연령 집단(2030대 vs. 4050대)에 따른 지각된 상대적 이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9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4.0을 통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rt 1에서 자존감 능력 수반성, 사회비교경향성, 상대적 박탈감, 사회지배지향성, 네오성차별주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과의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Part 1에서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대한 자존감 능력 수반성, 상대적 박탈감, 네오성차별주의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Part 2에서 지각된 상대적 이득에 대한 성별과 연령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으며, 2030대 여성은 2030대 남성보다, 4050대 여성보다 지각된 상대적 이득을 높게 지각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대한 성별과 연령의 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으며, 자존감 능력 수반성, 상대적 박탈감, 네오성차별주의가 젠더지위 제로섬 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특정한 사회문화적 사건과 발달단계에 따른 경험의 차이로 인해 개인의 신념을 다르게 형성한다는 선행연구와 부합하고,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이라고 여겨지는 능력에 가치를 두며 젠더 위계 구조를 유지하고자 하는 태도가 젠더지위에 대한 제로섬 신념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이 젠더 갈등을 유발하는 제로섬 신념을 어떠한 개인적인 요인과 심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지하는지 그 이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licit social conflict between gender, aiming to enhance understanding of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a belief in which women’s profit results in men’s loss. Specifically, how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is affected by gender, age, social/objective ability-based self-estee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lative deprivatio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neo-sexism, and belief in a just world.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In part 1, one aims to confirm if gender, age, social/objective ability-based self-estee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lative deprivatio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neo-sexism, and belief in a just worl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In part 2, how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differs according to relative profit condition(relative male profit vs. relative female profit), gender(male vs. female), and age(20, 30’s vs. 40, 50’s). 490 Koreans between ages 19~59 were surveyed online.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4.0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hre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part 1 of the study showed how gender, age, social/objective ability-based self-estee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lative deprivatio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neo-sexism, and belief in a just worl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Secondly, part 1 also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by social/objective ability-based self-esteem, relative deprivation, and neo-sexism. Third, part 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ceived relative outcome regarding the gender and age. Women in their 20’s or 30’s perceived relative outcome higher than men in their 20’s or 30’s, and women in their 40’s or 50’s, regardless of the relative profit conditions. The overall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gender and age on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and how social/objective ability-based self-esteem, relative deprivation, and neo-sex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zero-sum perspective of gender status. This is congruent with previous research in that people’s beliefs form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age, specific sociocultural events, and developmental stages. It also implies that valuing traditionally male fields and wanting to maintain a gender hierarchy provides support for zero-sum perspective in gender status. Such results is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an understanding on how individual fact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an support controversial zero-sum beliefs regarding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