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5 Download: 0

高麗時代 鐵畵靑瓷 硏究

Title
高麗時代 鐵畵靑瓷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glazed Iron Celadon of Goryeo Dynasty, 高麗時代 鉄画靑瓷 硏究, 高丽时代铁画青瓷研究
Authors
김태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铁画是高丽青瓷代表性的装饰技法之一,但它具有与其他技法不同的若干特点,这可能是因为高丽铁画青瓷的使用和认识与当时普遍流行的青瓷不同。从以下方面可以确认高丽青瓷的铁画与其他技法本质上存在不同:在生产和消费方面仅限于部分地区和种类,在造型方面粗质占绝大多数,施纹主要限于大型器种的纹样等。据了解,高丽铁画青瓷的这种异质面貌是因为铁画装饰不同于高丽偏好的美感,而且限制性地用于礼器,虽然制作初期还被用作王室用青瓷,但逐渐转变成地区社会用粗质青瓷后,装饰技法的地位也发生了变化。 首先,从高丽时代铁画青瓷的生产情况和特点来看,可以得知铁画青瓷的制作时期和地区有限,各窑场生产品的质量、种类、装饰技法和施纹方法也有限。高丽铁画青瓷制作的中心时期是10世纪末至13世纪后期。高丽时代青瓷窑址中出土铁画青瓷的地区仅限于以龙仁为代表的京畿西南北地区,以海南、洛东江流域为代表的南海地区,以及康津地区和扶安地区的部分窑场。通过对窑址出土品的考察,可知不同时期和地区的铁画青瓷的质量和种类是有限的,反映出窑业系统和技术特征的地区性。 然后,通过对消费性遗址出土铁画青瓷的分析,确认了不同性质的遗址和地区的出土品和伴出品种类的情况之间存在差异。铁画青瓷出土于祭祀遗址、寺院遗址等宗教遗址,宫城、官用等建筑遗址,墓葬遗址,以及海底遗址等。宗教遗址和建筑遗址主要出土了优质的活动、仪礼用长鼓、梅瓶、盘、香炉、花盆等大型器种及康津产带盖杯。墓葬遗址主要出土了粗质的地区产盘口长颈甁。可以看出这种器型多在以京畿南部、忠州为中心的忠北地区、庆北地区等中原地区用作随葬品。 通过考察高丽铁画青瓷的造型特点,可知与其他青瓷技艺相比,铁画施纹的器种、形状、纹饰材料和施纹样式都比较有限。铁画主要装饰的器物种类是以长鼓、瓶类为代表的大型器种,小型器种主要限于碗、杯类等部分器型。根据材料的种类和特点,铁画纹饰可以分为宝相华-牡丹唐草纹、草花纹、绘画纹样、铭文等。其中,11世纪末至12世纪初制作的宝相华-牡丹唐草纹是高丽铁画纹样中最重要、地位最高的种类,拒推测是高丽礼器的装饰。 综合以上内容,高丽铁画青瓷的变迁可以总结为以下几点。高丽铁画青瓷的巨大变化可分为为前、中、后三个时期。前期是10世纪后期至11世纪,在京畿西南部地区限于长鼓、枕头等特殊器种,受中国南北方陶瓷的影响,出现了铁画-铁彩镶嵌装饰。中期是11世纪末至13世纪初。11世纪末至12世纪上半叶,受到中国南北方的影响,以康津沙堂里、海南珍山里为中心,在南部地区开始正式生产的不同的新技术和新样式的铁画青瓷。铁画装饰主要用于长鼓、梅瓶、盘、盒等大型特殊器种,特别是中期新登场的器种或形式。尤其是在康津和海南制作的宝相华·牡丹唐草纹装饰的青瓷,被认为是国家主管的佛教礼器。12世纪中后期,铁彩技法在康津的使用比铁画技法更活跃。相反,南海地区、京畿南部地区等地区的窑场主要制作铁青瓷,周边地区社会消费这类粗质铁画装饰的大型器种。但是到了13世纪上半叶,除了忠清、庆尚部分地区的陪葬品以外,地区社会的铁画青瓷生产和消费逐渐减少。另外,这一时期扶安地区积极生产类似于镶嵌菊花纹的简单的铁白画花纹装饰。13世纪下半叶至14世纪属于后期。在13世纪中后期,康津、扶安新出现了受中国南宋至元代粗漆器或南方瓷器影响的无釉铁彩镶嵌技法,用于装饰长鼓、扁壶、香炉、花瓶等。扶安还生产用铁白画技法施纹的莲花纹、云鹤纹等纹饰的大型器种。到了14世纪,只发现了有“至正二年”等铭文的铁画,可以看出铁砂颜料作为青瓷装饰技法的作用几乎停止,只剩下标记信息的功能。 最后,通过与其他工艺品的关系和用途,可以将高丽铁画青瓷的特点归纳为以下几点。第一,高丽铁画技法随着时代发生了变化,根据制作地区不同,种类和系统也多样化。如前期在京畿西南部登场的白瓷铁画、铁彩白镶嵌,中期在南部地区出现的铁画、铁彩,整个13世纪在康津、扶安出现的无釉铁彩白镶嵌等。据了解,各铁画施纹方式受到了同时期中国南北方黑花、褐彩技法和雕漆器或受到雕漆器影响的剔花技法的影响。第二,通过高丽铁画青瓷和金属器、陶器的影响关系,可以了解铁画青瓷的地位和其变化。在铁画青瓷中可以找到与高丽其他工艺品相关的种类是粗质盘口长颈甁、盘等大型器种。这些大体上具有与青铜器及陶器相同的用途,特别是与陶器的造型和制作技术亲缘性较高。另外,通过观察铁画和铁彩之间的相互关系,可以了解到12世纪上半叶铁画被用于王室用高级品,但随着它的使用迅速转向地区社会,导致了纹饰的地位下降,而铁彩代替铁画,仅用于上层阶层的优质青瓷。第三,根据对各阶层的铁画青瓷使用情况的观察结果,可以掌握对高丽铁画青瓷的认识。铁画不仅具有颜料供求和学习技术的简便性,还是同一时期国际上非常流行的技法,但在高丽,与其他装饰技法相比,铁画青瓷的生产和使用受到了限制。高丽铁画青瓷的种类限于长鼓、优质铁彩碗和杯类、最高级宝相华-牡丹唐草纹装饰青瓷、粗质盘口长颈甁、盘等大型器种,据推测主要用作寺院或地区社会的祭祀、活动、陪葬用礼器,即高丽铁画青瓷在上层和地区社会都仅用作装饰特殊目的的礼器。铁画青瓷之所以显示出这种特点,是因为在高丽时期,相比用毛笔画的装饰,人们更喜欢雕刻装饰,特别是有能够雕刻出被称为镶嵌的图画纹饰的技术。另外,人们认为由于铁画通常用于祭祀和活动的礼器上,所以可以与日常的青瓷区分。;鉄画は高麗青瓷を代表する装飾技法の一つでありながらも、他の技法とは区別されるいくつかの特徴が把握される。それは鉄画青瓷の使用と認識が当時の普遍的に流行した高麗の青瓷とは異なったためという判断される。鉄画青瓷は生産と消費において一部の地域と種類に限られており、造形的な側面からも粗質が絶対多数を占めており、主に大型器種に限定された文様の種類が施文されるなど、他の技法と本質的に区別される色々な特徴を現わす。このような高麗の鉄画青瓷が持っている異質な面貌は、鉄画装飾が高麗において好まれていた美感とは異なったという点、儀礼器として制限的活用されたという点、製作初期は王室用青瓷として使われたが、漸次地域社会に底辺が拡大され、粗質青瓷に装飾技法の地位が変貌されたという点である。 まず、高麗時代の鉄画青瓷の生産様相と特徴を調べた結果、鉄画青瓷の製作時期と地域が一部に限定され、各窯ごとの生産品の品質と種類、装飾方法と施文の様相も限定的だったことが分かった。高麗鉄画青瓷の製作の中心時期は10世紀末~13世紀後半程度である。高麗時代の青瓷窯跡の中で鉄画青瓷が出土された地域は龍仁(ヨンイン)に代表される京畿西南部地域、海南(へナム)・洛東江(ナクトンガン)流域に代表される南海(ナムヘ)地域、康津(カンジン)地域、扶安(ブアン)地域に位置する一部の窯に局限された。生産遺跡の出土品を検討した結果、時期別、地域別に鉄画青瓷の品質と種類が限定的であり、窯業系統と技術的特徴が反映された地域性が把握された。 次は消費遺跡出土の鉄画青瓷の分析により、遺跡の性格別、地域別に出土品の様相と同伴品の種類などに差があることが確認された。鉄画青瓷は祭祀遺跡、寺院遺跡など宗教遺跡、宮城・官用・その他などの建物跡、墳墓遺跡、海底遺跡などから出土した。宗教遺跡と建物跡からは主に良質の行事・儀儀礼用長鼓・梅瓶・盤・香炉・植木鉢など大型器種および康津産有蓋盃が主に出土した。墳墓遺跡からは主に粗質の地域産盤口長頸瓶が出土したが、京畿南部、忠州(チュンジュ)を中心とした忠北地域、慶北地域など中原地域において最も活発に副葬されたことが分かった。 高麗鉄画青瓷の造形的特徴を調べた結果、鉄画が主に施文された器種と形式、文様素材、施文の様相が他の青瓷に比べ限定的だったことが分かった。鉄画が主に装飾された種類は長鼓や瓶類に代表される大型器種であり、小型器種の場合は碗・盃類の一部形式に限定された。鉄画文様は素材の種類と性格によって宝相華・牧丹唐草文、草花文、絵画的文様、銘文などに区分されることができた。このうち11世紀末~12世紀前半に製作された宝相華・牧丹唐草文は高麗鉄画文様の中で最も重要で地位が高かった種類であり、王室用仏教儀礼器のための装飾と推定される。 以上の内容を総合して高麗鉄画青瓷の変遷をまとめて見ると次のとおりである。高麗鉄画青瓷は前・中・後期に区別される大きな変化が確認された。前期は10世紀後半~11世紀であり、京畿西南部地域で長鼓や枕などの特殊器種に限って中国南北方陶瓷の影響により鉄画・鉄彩象嵌装飾が登場した。中期は11世紀末~13世紀前半に当たる。11世紀末~12世紀前半の前期と系統を異にする新しい技法と様式の鉄画青瓷が中国南北方の影響を受けて、康津沙堂里(サダンリ)および海南珍山里(ジンサンリ)を中心に南部地域で本格的に生産され始めた。鉄画装飾は長鼓・梅瓶・盤・盒など大型の特殊器種、その中でも中期に新しく登場した器種または形式に主に施文された。特に康津と海南で宝相華・牧丹唐草文装飾の青瓷が製作されたが、国家主管の仏教儀礼器と考えられる。12世紀中後半、康津ではすでに鉄画技法よりは鉄彩技法が主に活用されていたと考えられ、逆に南海地域、京畿南部地域などの地域窯では鉄画青瓷を活発に製作、周辺地域社会で粗質の鉄画装飾の大型器種を本格的に消費した。しかし、13世紀前半に到ると忠清・慶尚の一部地域の墳墓副葬品の他に地域社会の鉄画青瓷の生産・消費が次第に減少したことが見られる。一方、この時期の扶安地域では象嵌菊花文と類似した簡略な鉄白画の花文装飾が活発に製作された。後期は13世紀後半~14世紀に該当し、13世紀中後半に康津・扶安で中国南宋~元朝の彫漆器あるいは南方瓷器の影響を受けた無釉鉄彩象嵌技法が新たに登場し、長鼓・扁壺・香炉・花瓶などに装飾が施された。また、扶安では鉄白画技法で蓮花文・雲鶴文など絵画的文様を施文した大型器種が活発に製作された。14世紀になると鉄画は「至正二年」などの銘文だけが確認され、鉄砂顔料の青瓷装飾技法としての役割はほぼ中断され、情報を表記する機能だけが残っていた状況が伺える。 最後に他工芸品との関係と使用を通じて把握された高麗鉄画青瓷の性格は次のようにまとめられる。第一に、高麗鉄画技法は前期京畿西南部で登場した白瓷鉄画・鉄彩白象嵌、中期南部地域で登場した鉄画・鉄彩、13世紀前半の康津・扶安で登場した無釉鉄彩白象嵌など時代によって技術が変化し、製作地域によって種類と系統が様々だった。各鉄画施文方式は同時期の中国南北方の黒化・褐彩技法、彫漆器または彫漆器の影響を受けた剔花技法の影響を受けたものと把握された。第二に、高麗鉄画青瓷と金属器・陶器との影響関係、鉄画と鉄彩の相互関係を通じて、鉄画青瓷の地位とその変貌を見ることができた。鉄画青瓷の中で高麗の他工芸品との関連性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種類は、粗質の盤口長頸瓶や盤など大型器種で、これらは概して青銅器および陶器と同じ使用目的を持ち、特に陶器と造形・製作技術的親緣性が高いことが分かった。一方、鉄画と鉄彩間の相互関係を調べた結果、12世紀前半の鉄画は王室用高級品にも活用されたが、急速に地域社会に底辺化することで文様の地位が下落し、鉄彩がこれに代わって上層階層のための良質青瓷に限定され活用された状況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第三に、階層別用途による鉄画青瓷の使用を調べた結果、高麗の鉄画青瓷に対する認識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た。鉄画は顔料需給と技術習得の容易性と共に同じ時期に国際的に大流行した技法だったにもかかわらず、高麗では鉄画青瓷の生産と使用において他の装飾技法に比べて限定された。高麗鉄画青瓷の種類は長鼓、良質の鉄彩碗・盃類、最高級の宝相華・牧丹唐草文装飾青瓷、粗質の盤口長頸や盤など大型器種などに限定的であり、用途は概して王室や寺院あるいは地域社会の祭儀・行事・副葬品だったと推定された。すなわち、高麗時代の鉄画は上層と地域社会のいずれにおいて主に特殊目的のための儀礼器に限定的に装飾されたということが分かる。鉄画青瓷のこのような特徴が現れるようになった理由は、高麗が筆で描く装飾を彫刻装飾に比べてあまり好まれず、特に象嵌という絵画的文様を施文できる技法が存在し、同時に鉄画を主に祭儀・行事など儀式用の各種の道具に使用しながら日常の青瓷と区別して認識したためと考えられる。;산화철이 함유된 鐵砂 안료를 사용하여 장식한 鐵畵기법은 고려청자에 적용된 대표적인 장식기법 중 하나이자 다른 기법과는 구분되는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고려 철화청자의 사용과 當代의 인식이 당시 보편적으로 유행하던 청자와는 여러 면에서 달랐기 때문이다. 철화청자는 생산과 소비에 있어 일부 지역과 종류에 한정되었고 조형 면에서도 조질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며 주로 대형 기종에 한정된 종류의 문양이 시문되는 등 다른 기법과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여러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고려 철화청자의 이질적인 면모는 철화장식이 고려가 선호하였던 미감과 다를 뿐만 아니라 의례기에 제한적으로 활용되었다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제작 초반에는 왕실용 청자로도 사용되었으나 점차 지역사회에서 소비되는 조질 청자로 저변화되면서 장식기법면에서 위상이 변모하였다. 철화청자는 고려청자 중에서도 중국도자와의 영향 관계가 분명히 감지되는 대표적 장식기법으로, 일찍이 일제강점기부터 고려청자의 발생과 중국도자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 있어 단초가 되는 기법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철화청자에 관한 기록과 편년자료, 그리고 철화 생산 유적에 대한 조사가 부족하여 연원과 제작 시기를 둘러싸고 학자들간의 견해 차이가 컸다. 이 때문에 철화청자의 실체와 성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에서 중요한 생산 유적이 다수 조사되고 고려청자의 연구가 심화되면서 철화청자에 관한 연구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거시적 관점에서 고려청자의 한 종류로서 철화청자의 연원, 변천과 조형적 특징 등을 살피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필자는 선행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시점에서 철화청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재고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201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해남 진산리 74호 요지, 부산 녹산동 요지, 용장성, 태안선, 마도 1호선 등 중요 생산·소비·해저 유적들이 발굴되면서, 철화청자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많이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철사 안료를 활용한 모든 장식방법, 즉 철화, 철채, 철백화, 무유철채를 고려 철화기법이라는 하나의 범주에 넣고 동일선상에서 살펴본다면,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철화청자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철사 안료를 활용한 모든 장식방법을 대상으로 하면서 특히 새로 발굴조사된 자료에 주목하여 고려 철화청자의 생산 지역별, 소비 유적 성격별 출토 양상과 특징,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철화청자의 변천과 성격, 고려의 철화청자에 대한 사용과 인식에서 새로운 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고려시대 철화청자의 생산 양상과 특징을 살펴본 결과, 철화청자의 제작 시기와 지역이 일부에 국한되었고, 요장별 생산품의 품질과 종류, 장식방법과 시문 양상도 한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 철화청자의 제작 중심 시기는 10세기 말~13세기 후반에 해당한다. 고려시대 청자 요지 가운데 철화청자가 출토된 곳은 용인을 대표로 하는 경기 서남부지역, 해남·낙동강 유역을 대표로 하는 남해지역, 강진지역, 부안지역에 위치한 일부 가마에 국한되었다. 생산 유적 출토품을 검토한 결과 시기별, 지역별로 철화청자의 품질과 종류가 한정적이고, 요업 계통과 기술적 특징이 반영된 지역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비 유적 출토 철화청자의 분석을 통해서 유적 성격별로 그리고 지역별로 출토품의 양상과 동반품의 종류 등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철화청자는 제사 유적, 사원 유적 등 종교 유적, 宮城·官用·기타 등 건물지, 분묘 유적, 해저 유적 등에서 출토되었다. 종교 유적과 건물지에서는 주로 장고·매병·반·향로·화분 등 대형 기종과 강진산 유개잔이 출토되었다. 이들 기종은 대부분 행사 및 의례용으로 사용된 특수기종이라 할 수 있다. 분묘 유적에서는 주로 조질의 지역산 반구장경병이 출토되었는데, 경기 남부, 충주를 중심으로 한 충북지역, 경북지역 등 중원지역에서 가장 활발히 부장되었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한편 고려 철화청자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철화가 주로 시문된 기종과 형식, 문양 소재, 시문 양상이 다른 청자와 비교하여 한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철화가 주로 장식된 종류는 장고·병류를 대표로 하는 대형 기종이었으며, 소형 기종의 경우 완·잔류 가운데 일부 형식에만 국한되었다. 철화 문양은 소재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보상화·모란 당초문, 초화문, 회화적 문양, 명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11세기 말~12세기 전반에 『영조법식』 등을 모본으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보상화·모란 당초문이 고려 철화청자 문양 중 가장 중요하고 위상이 높았으며, 그 위상을 반영하여 왕실용 불교 의례기에 주로 적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고려 철화청자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전·중·후기로 구분할 수 있는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중기와 후기는 다시 반세기별로 세분된다. 전기는 10세기 후반~11세기로 경기 서남부지역에서 장고, 베개 등 특수 기종이 제한적으로 생산되었고 특수 기종에 한정하여 중국 남북방 도자의 영향으로 철화·철채상감 장식이 등장하였다. 중기는 11세기 말~13세기 전반에 해당하며, 다시 11세기 말~12세기 전반, 12세기 후반, 13세기 전반으로 세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11세기 말~12세기 전반에는 전기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새로운 기법과 양식의 철화청자가 중국 남북방의 영향을 받아 강진 사당리·해남 진산리를 중심으로 남부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철화장식은 장고·매병·반·합 등 대형의 특수 기종 위주로 적용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중기에 새로 등장한 기종 또는 형식에 주로 시문되었다. 특히, 강진·해남에서 보상화·모란 당초문 장식 청자가 제작되었는데, 이는 국가가 주관하는 불교행사 등에 사용된 의례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12세기 중후반 강진에서는 이미 철화기법보다는 철채기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반대로 남해지역과 경기 남부지역 등 지역 가마에서는 조질의 대형 기종 위주로 철화청자를 활발히 제작하고, 이것은 주변 지역사회에서 본격적으로 소비되었다. 그러나 13세기 전반에 이르면 충청·경상 일부 지역의 분묘 부장품으로 사용된 것 이외에 지역 사회에서 철화청자의 생산과 소비가 전반적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한편, 이 시기 부안지역에서는 상감국화문과 유사한 간략한 철백화 화문 장식이 활발히 제작되었다. 후기는 13세기 후반~14세기에 해당하며, 13세기 중후반 강진·부안에서 중국 남송~원대 조칠기 혹은 남방자기의 영향을 받은 무유철채상감기법이 새로이 등장하여 장고·편호·향로·화병 등에 장식되었다. 또한 부안에서는 철백화기법으로 연화문·운학문 등 회화적 문양을 시문한 대형 기종이 활발히 제작되었다. 14세기에 이르면 철화는 ‘至正二年’ 등 명문만 확인되어, 철사 안료가 청자 장식기법으로서의 역할은 거의 중단되고 정보를 표기하는 기능만 남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철화청자의 조형적 특징과 변천과정을 토대로 타공예품과의 관계와 사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려 철화기법은 전기에 경기 서남부에서 등장한 백자철화·철채백상감, 중기에 남부지역에서 등장한 철화·철채, 13세기 전반 강진·부안에서 등장한 무유철채백상감 등 시대에 따라 기술이 변화하였고 제작 지역에 따라 종류와 계통이 다양하였다. 각 철화 시문 방식은 동시기 중국 남북방지역의 黑花·褐彩 기법, 彫漆器 또는 조칠기의 영향을 받은 剔花 기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고려 철화청자와 금속기·도기와의 영향 관계 및 철화와 철채의 상호 관계를 통해 철화청자의 위상과 그 변모를 살펴볼 수 있었다. 철화청자 가운데 고려 타공예품과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는 종류는 조질의 반구장경병·반 등 대형 기종으로, 이들은 대체로 청동기 및 도기와 동일한 사용 목적을 가지며, 특히 도기와 조형·제작 기술적 친연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한편 철화는 12세기 전반 왕실용 고급품에도 활용되었으나 빠르게 지역 사회로 저변화 되면서 문양의 위상이 하락였고, 이를 대신하여 상층 계층을 위한 양질 청자에 한정하여 철채가 적극적으로 활용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용도에 따라 계층별로 철화청자의 사용양상이 달랐고, 이를 통해 당대에 형성되었던 철화청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철화는 안료 수급과 기술 습득의 용이성과 더불어 같은 시기에 국제적으로 크게 유행한 기법임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에서는 철화청자의 생산과 사용에 있어서 다른 장식기법에 비해 한정적이었다. 고려 철화 청자는 장고, 조질의 반구장경병·반 등과 같이 기종이 한정적일뿐만 아니라 고급품에는 철채와 보상화·모란 당초문이 장식되어 문양장식 면에서도 제한적이었다. 이 때문에 왕실이나 사원, 지역 사회의 각종 제의와 행사에 사용되는 의례기로 많이 활용되었고 일부는 의례기적 성격을 띠는 부장품으로 선호되었다. 즉, 고려시대 철화는 상층과 지역 사회에서 모두 주로 특수 목적을 위한 의례기에 한정적으로 장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고려 철화청자가 조형적으로 그리고 용도면에서 제한된 면모를 보이는 것은 고려청자에 적용된 다른 장식기법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즉 고려의 경우 음각과 양각을 중심으로 한 조각장식에 비해 붓으로 그리는 장식기법을 선호하지 않았고, 회화적 문양을 장식할 수 있는 상감기법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철화청자의 기종과 문양이 한정적인 것은 일상의 청자와는 구분되어 의례기적 성격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Underglazed iron painting (Cheolhwa) is one of Goryeo celadon's typical decorative techniques, but the sev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techniques are grasped.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use and awareness of Goryeo's underglazed iron celadon were different from celadon which was universally popular at that time. Underglazed iron celadon has found to have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being fundamental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techniques including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were limited to partial areas and some types, the low-grade objects which get absolute majority even in the formative aspect, engraving the patterns which are usually limited to large models, etc. The different aspects of Goryeo underglazed iron celadon like this were grasped to be because the decoration techniques' position was changed as the decoration of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different from the esthetic sense preferred by Goryeo, it was restrictively utilized in the ritual vessels, it was used as celadon for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duction, but it was gradually changed to low-grade celadon for communities. First,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underglazed iron celadon in the Goryeo Dynasty could be found that the production period and areas were limited to parts and the quality, types, decorative techniques, and engraving aspects of products by kiln and workshop were limited. The period which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underglazed iron celadon was the end of the 10th century to the latter half of the 13th century. The areas where underglazed iron celadon was excavated from the important places in the Goryeo Dynasty were limited to partial kilns located in southwestern Gyeonggi-do with representative Yongin, the Namhae region with representative Haenam and Nakdong river basin, Gangjin, and Buan.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objects excavated from the kiln sites was grasped that the quality and types of underglazed iron celadon by period and region were limited and regionality reflects the system of the ceramic industry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Next, an analysis on underglazed iron celadon excavated from the consumption sites h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the objects excavated by character of the sites and region and the types of articles accompanied with them. Underglazed iron celadon was excavated from the religious sites including ritual and temple sites, the building sites including royal places, official use (官用), and others, grave sites, and submarine tracks. Large models including hourglass-shaped drums, meiping, basins, incense burners, and flowerpots of good quality for events and rituals and covered cups made from Gangjin were usually excavated from the religious sites and the building sites. Regional low-grade Bangujangkeng Bottles (盤口長頸甁) were usually excavated from in the grave sites. It could be found that they were most actively buried in the central areas including Southern Gyeonggi, Chungbuk with Chungju as the center, and Gyeongbuk.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oryeo underglazed iron celadon could be found that the models, forms, pattern materials, and aspects usually engraved by underglazed iron painting were limited when compared to other celadon. The type which was usually decorated by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the large models which represent hourglass-shaped drums and bottles and the small models were limited to partial forms of bowls and cups. Underglazed iron painting patterns could be classified into Bosanghwa (寶相華) and peony scroll patterns, flower patterns, pictorial patterns, inscriptions, etc. according to types and character of materials. Among them, Bosanghwa and peony scroll patterns manufactured from the end of 11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was the kind which was most important and improved its position among the Goryeo underglazed iron painting patterns and assumed to be the decoration for the Buddhist ritual period for the royal family. Putting the above contents together, change in the Goryeo underglazed iron painting patterns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great change of Goryeo underglazed iron paintings which was classified into the former, middle, and latter periods. In the former period, decorations of underglazed iron painting and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Cheolchae) inlay of the special models which are limited to drums and pillows in Southwest Gyeonggi appeared due to an effect of Chinese southern and northern potter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0th century to the 11th century. The middle period is applicable to the end of the 11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Underglazed iron celadon of the new techniques and patterns with different systems from the end of the 11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in the southern area with Sadang-ri, Gangjin and Jinsan-ri, Haenam by being influenced by southern and northern China.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decorations were usually engraved on the large special models including drums, meiping, basins, and covered bowls, especially the new models or forms which appeared in the middle period. Especially, celadon with Bosanghwa and peony scroll patterns was manufactured in Gangjin and Haenam, which was thought to be the Buddhist ritual period arranged by the state. It was thought that the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technique was already utilized in Gangjin in the middle and the second half of the 12th century rather than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technique. On the contrary, regional kilns including Namhae and Southern Gyeonggi actively manufactured underglazed iron celadon and communities around them consumed the large low-grade models of underglazed iron celadon. However, by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it could be found that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underglazed iron celadon in communities gradually decreased except the objects buried in graves in the partial regions of Chungcheong and Gyeongsang. On the other hand, Buan simple iron white painting flower pattern decorations which are similar with inlaid chrysanthemum patterns were actively manufactured in the period. The latter part is applicable to the latter half of the 13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And as the unglazed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inlaying technique which was influenced by carved lacquer ware of the Chinese Southern Dynasty to the Yuan Dynasty or pottery of Southern China newly appeared in Gangjin and Buan in the middle and latter part of the 13th century, it was decorated on drums, flat jars, incense burners, and flower bases. and the large models which engraved pictorial patterns including lotus and crane patterns and cloud and crane patterns as the iron white painting technique in Buan. By the 14th century, as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just found from inscriptions including ‘Jijeongiyeon (至正二年),’ the circumstances that iron-oxide pigment/oxidized iron's role of the decorative technique nearly stopped and it just functioned as indicating information. Finally, character of Goryeo underglazed iron celadon grasped by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raft items and the use of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ryeo underglazed iron painting techniqu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like white porcelain underglazed iron painting and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white inlay which appeared Southwest Gyeonggi in the former period, underglazed iron painting and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which did in the southern area in the middle, and unglazed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inlay which did in Gangjin and Buan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and the types and systems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d areas. The method to engrave each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grasped to be influenced by the blackening technique and the technique to paint the surface with brown from southern and northern China in the same period, carved lacquerware (彫漆器), or sgraffito technique (剔花) which was done by it. Second, underglazed iron celadon's position and transformation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effect and relationship between Goryeo underglazed iron celadon and bronzeware and pottery 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underglazed iron painting and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The type which can find the relationship with Goryeo's other handicrafts is large models including low-grade Bangujangkeng Bottles and basins, which generally have the same purposes of usage as bronzeware and pottery and especially, it could be found to be technically high formative and productive affinity with potter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and the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could be found that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utilized in high-quality articles for the royal family in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but as it was changed to low grade products in communities, the patterns' position dropped and it could be found to be the circumstance that it was limited to and utilized in celadon of good quality for the upper class as it was replaced by the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Third, the result which examined the use of underglazed iron celadon according to use by class could be grasped to be Goryeo's awareness of underglazed iron celadon.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limited to its production and use in Goryeo in spite of the internationally popular technique in the same period. The types of the Goryeo underglazed iron painting were limited to the large models including drums, underglazed Iron-Black painting bowls and cups of good quality, the best celadon decorating Bosanghwa and peony scroll patterns, low-grade Bangujangkeng bottles and basins and the use was assumed to be generally ritual vessels for rituals, events, and burying in the royal family, temples, or communities. That is, Goryeo underglazed iron celadon can be found to be restrictively decorated on ritual vessels for the special purposes in the upper class and communities. The characteristics of underglazed iron celadon like this are shown in Goryeo because it preferred sculpted decorations to decorations with brushes and especially, there was the technique to be able to engrave pictorial patterns called inlay and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it recognized it as being differentiated from ordinary celadon as the underglazed iron painting was usually used in ritual vessels for rituals and ev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