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직장인의 수면시간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

Title
직장인의 수면시간에 따른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
Other Titles
Eating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Sleep Duration of Workers : Based on Data from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고광석
Abstract
Purpose : Sleep is an essential factor for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but modern people's sleep dur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The more out of appropriate sleep duration, the higher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and the lower the nutritional status. Although it is difficult for Korean workers to get appropriate sleep due to various factors, research on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sleep duration of Korean work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sleep duration of work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eating behavior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on 7,509 workers aged 19 to 64 (3,669 men and 3,840 women) using data from the 7th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nalysis of all subjects, the analysis was also divided by sex. It was defined as short sleep group (≤5 hours), appropriate sleep group (6-8 hours), and long sleep group (≥9 hours)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criteria of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 Health and eating behaviors, diet quality according to nutrient intake and correlation with eating behaviors was analyzed. Results : In all subjects, the long sleep group had a high frequency of drinking. The short sleep group had the highest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In men, the long sleep group there were more smokers. In all subjects, the rate of skipping lunch and dinner was the highest in the long sleep group,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the highest in the appropriate sleep group. I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the all, men subject's fat, mono unsaturated fatty acid intake, fat intake ratio, and saturated fatty acid intake in all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long sleep group. The energy intake in women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long sleep group, and the carbohydrate intake was significantly more in the appropriate sleep group than in the short sleep group. In micronutrient intakes, the potassium intake of all subjects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long sleep group. In men, the niacin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ng sleep group. The diet quality was evaluated by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Nutrient Adequacy Ratio (NAR), Mean Adequacy Ratio (MAR) for 9 nutrients (protein, vitamin A, thiamine, riboflavin, niacin, vitamin C, calcium, phosphorus, iron) that suggested the recommended intake of 2020 Diet Reference Intakes Koreans (KDRIs). Nutrients that INQ did not exceed ‘1’ were vitamin A, vitamin C, and calcium. In men, the INQ of niacin had low quality in the long sleep group than in other groups. The NAR of protein, riboflavin, phosphorus in all sub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ng sleep group. In men, the NAR of riboflav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ng sleep group. In MAR, the long sleep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and men subjects than in other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dds ratio of sleep duration and eating factors, In all subjects, the odds ratio of lunch skipping increased even after correction in the short sleep group and the long sleep group. In men, the odds ratio of lunch skipping increased even after correction in the long sleep group. In all and women, the dinner skipping odds ratio of the long sleep group increased before correction, but no significance was shown after correction. Conclusion : In this study means that the appropriate sleep duration of men workers is an important factor for healthy eating behaviors and good nutrient intake. Health and eating behaviors should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sleep duration of workers, and education for appropriate nutrient intake should be accompanie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diet quality and further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of workers.;수면은 정상적인 생리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이나, 현대인의 수면시간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적정 수면시간을 벗어날수록 만성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고 영양상태가 저하된다. 우리나라 직장인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적정 수면을 취하기 어려운 상태이나 한국 직장인의 수면시간에 따른 영양상태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직장인의 수면시간에 따른 영양소 섭취를 파악하고 식행동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의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64세 직장인 7,509명(남성 3,669명, 여성 3,8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체 대상자 분석에 이어 성별로 나누어서도 분석하였다. 미국 수면 의학 협회(AASM)의 권고 기준을 따라 단시간 수면군(≤5시간), 적정 수면군(6-8시간), 장시간 수면군(≥9시간)으로 분류하였다. 수면시간에 따른 건강행동, 식행동, 영양소 섭취량에 따른 식사의 질, 식행동의 교차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장시간 수면군은 음주의 빈도가 높았고, 스트레스 인지율은 적었다. 단시간 수면군은 허리둘레, 체질량지수가 가장 높았다. 남성에서는 장시간 수면군이 흡연자가 많았다. 전체 대상자에서 점심, 저녁 결식률은 장시간 수면군이 가장 높았고, 외식 빈도는 적정 수면군이 가장 많았다. 에너지 및 다량 영양소 섭취에서 전체, 남성 대상자의 지방, 단일불포화지방산 섭취량, 지방 섭취 비율과 전체 대상자의 포화지방산 섭취량은 장시간 수면군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다. 여성에서의 에너지 섭취량은 장시간 수면군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고, 탄수화물 섭취량은 적정 수면군이 단시간 수면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미량 영양소 섭취에서 전체 대상자의 칼륨 섭취량은 장시간 수면군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다. 남성에서의 나이아신 섭취량은 장시간 수면군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권장섭취량이 설정되어 있는 9가지 영양소(단백질, 비타민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C, 칼슘, 인, 철)를 영양밀도 지수와 영양소 적정 섭취비,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를 이용해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영양밀도 지수가 1을 넘지 않는 영양소는 비타민A, 비타민C, 칼슘이었다. 남성에서 나이아신의 영양밀도 지수는 장시간 수면군이 다른 군보다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체 대상자의 단백질, 리보플라빈, 인의 영양소 적정 섭취비는 장시간 수면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남성에서 리보플라빈의 영양소 적정 섭취비는 장시간 수면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는 전체, 남성 대상자에서 장시간 수면군이 다른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수면시간과 식행동 요인의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 단시간 수면군, 장시간 수면군은 보정 후에도 점심 결식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남성의 점심 결식에서는 보정 후에도 장시간 수면군의 점심 결식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전체, 여성의 저녁 결식에서는 보정 전에는 장시간 수면군의 저녁 결식 교차비가 증가하였으나 보정 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남성 직장인의 적정 수면시간이 건강한 식행동과 좋은 식사의 질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직장인의 수면시간에 따라 건강행동 및 식행동을 교정하고, 적절한 영양소 섭취를 위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식사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직장인의 건강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