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0 Download: 0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 교육 연구

Title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istener’s competence for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uthors
엄인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istener’s competence education for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Listener’s competence is the power and ability of the listener to maintain or change the way he or she treats a situation or situation with an identity as a communicator. Recognizing that the subjective role as a listener was insufficien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nd the need for education to facilitate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listener’s competence. They discussed their situation and circumstances based on Resilience and sought strategies to change the way of communication through Nexting, and proposed educational possibilities for identity change and growth through the listener’s competence. As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became important in the daily life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the necessity of education was also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istener to discuss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I largely di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to four parts,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 study on speech education, a study on communication problems, and a study on communication identity.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research was focused on helping them settle in South Korea, and the study of speech education, the necessity of listening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of communication and adaptation problems, and discussing identity in the community. Among them, discussions on personal identity have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regarding communication identity, furthermore, discussions on communication identity targeting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have been difficult to fin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confirmed that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need to discuss relationship formation, communication, listening, and ident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II was discussed focusing on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listener education for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for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resilience, and Nexting were examined with the listener.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a listener for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were discussed. This proces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er by combining the components of restorative elasticity and Nex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listener are self-respect, respect for others, and mutual respect. It is resilience to adapt flexibly and overcome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a positive direction even in special situations and difficult environments for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Next, it is Nexting to come up with a productive option that can be more positive. Based on this, it is a listener that works in the situation of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The listener nature of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is the power and ability to change one's identity as a listener and change the way one treats a situation. At this time, listener’s competence constantly changes as he recognizes who he is through meaningful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him. In a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situation,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often remain in the role of passive listeners. While the speaker's role was well performed independentl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as analyzed in Chapter III to understand why the listener's role was not clearly identified, and the learner was analyzed in Chapter IV.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literature analysis as an intrinsic approach, the political ideology culture of the "Themes on Socialist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ideas and a textbook analysis frame was construc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organiz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textbooks, and social theory books during the Kim Jong-Un era,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lated to the transfer of political thought culture, the metaphor-styl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passive listener by preaching techniques. Next, Chapter IV learner analysis selected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nd teachers who educated them,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living in college in South Korea, and related department assistants who experienced work-related to them as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 the coding designation rate of learners was high, which wa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y could speak best by summoning the learning experience in North Korea.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the coding designation rate was high in others,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opportunities to reflect on what education they needed while working related to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Others showed a high coding designation rate in teaching and learning demands, but teachers also had a similar coding designation rate. It was seen as a result of meeting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s instructors for work and thinking about what their needs were. The highest coding designation rate in the sum of the three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three topics was the need for recovery and communication for the audacity of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This category showed high coding designation rates in both teachers(32.9%), students(33.5%), and administrators(35.3%). This confirmed that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for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is recovery and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listener’s competence. In this study, recovery was discussed as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s Nexting. Chapter Ⅴ integrated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chapter and designed the listener’s competence education for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for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The direction of designing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for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was examined in the North Korean Report(VNR) and South Korea's K-SDGs based on the UN's go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becom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Korean Education(KE-SDGs) by preparing educational contents of conversion learning on the culture of political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values pursued by mankind. The educational content design embodied the educational goals, principle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systematization, and was designed with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through an intrinsic approach and examining what education is missing. In addition, changes in growth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and adjustment. As a study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in the early stages of settlement, this study is focused on scheming education to enhance relationship-oriented communication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ir identity as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nd listeners. The tasks that have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in the early stages of adaptation should be activated. In particular, various analyses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y received in North Korea and the experiences formed accordingly are required. Second, a systematic teacher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teachers in charge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n open system would be desirable for various educational experts interested in minority relationship-building communication, especially for North Korean backgrounds with teaching experience to join this process. If a system is stably established that allows teachers to acquire new expertise in charge of relationship-building communication education, abundant human resources will be creat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nd implement careful education. Lastly,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are required to enable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build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feel the need. Most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are thrown into the middle of a harsh capitalist competition after a certain period after settling in South Korea, and suffer from living difficultie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voluntarily creat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they need, and related information is also very scarce. Whe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cooperate to plan educational programs that meet their needs and promote and support them, North Korean background learners will be able to adapt happily to this society, and our society will also be well supplied with talented people. ;이 연구는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해 청자성 교육이 필요함을 표방하며, 청자로서 주체적으로 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이 청자성에 있음을 주목하였다. 청자성은 청자가 소통 주체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어떠한 상황이나 형편을 대하는 방식을 유지하거나 변화시키는 힘과 능력이다. 이에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 개념과 특성으로 구체화하고, 청자성의 양상을 분석하여, 북한배경학습자를 위한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 내용 설계 방향을 탐색하였다. 북한배경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은 이들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국면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배경학습자라는 특수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관계 맺음과 소통 방식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통의 주체로서 힘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청자성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검토한 연구사에서 북한배경학습자를 위한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을 직접적으로 다룬 논의를 찾을 수 없어‘북한배경학습자의 국어교육, 화법 교육, 소통 문제, 소통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살폈다. 이들 논의에서 남한 정착을 돕기 위한 정책 차원의 논의, 이질화된 어휘 문제와 극복 방안, 심리적 어려움, 듣기 교육의 필요성, 체제 전환에 따른 정체성의 혼란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었으나 국어교육 차원에서 소통과 관계, 청자와 관련한 논의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에 관한 문제를 교육적 차원에서 인식하고 더 구체적으로 국어교육의 차원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북한배경학습자의 소통 정체성과 관계적 측면을 고려할 때 청자로서의 힘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청자성에 주목하고, 청자성 교육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 교육의 이론적 토대로‘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회복탄력성 기반의 청자성, 넥스팅 기반의 청자성’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결과 도출되는 관계지향적 소통의 특성을 살폈다.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은 청자가 소통 주체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어떠한 상황이나 형편을 대하는 방식을 유지하거나 변화시키는 힘과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두 사람 이상 삶을 나누는 과정에서 막히지 않고 잘 통하게 하는 관계지향적 소통의 핵심 개념이다. 회복탄력성 기반 청자성은 청자가 가진 적응 능력으로 스트레스나 역경을 성공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긍정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며 성장할 수 있게 하는 힘으로 자신에게 닥친 힘든 상황과 형편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이다음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김주환, 2011). 넥스팅 기반 청자성은 소통의 주체인 청자가 이다음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것으로서 지금 현실의 상황이 어떠하든지 이다음의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선택지를 마련하기 위한 소통 전략이다. 회복탄력성과 넥스팅 기반 청자성은 소통 전 과정에 작용하는 것으로써 연속적이고, 협력적인 의미구성 과정을 말한다.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의 특성은 회복탄력성과 넥스팅을 결합하여 살핀 것으로 내적 자기조절에 기반한 자기 존중, 외적 대인관계에 기반의 자기 존중, 세계의 긍정적 정서 교환에 기반한 상호 존중이다. 청자성의 특성으로 살핀 내용은‘Edu-RNL(Education - Resilience, Nexting, Listening)’으로 구조화하여 교수·학습 설계에서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배경학습자를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여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을 실천해 가는 학습자가 되도록 교육 설계를 하였다. 우선 북한에서의 학습 경험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관계지향적 소통에 나타나는 인식과 대응 양상 등을 살피기 위해 학습자를 분석하였다. 북한 문헌 분석 시 외부자의 시선으로 비판하는 것이 아닌, 북한이 제시한 이념과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그들의 시선으로 교육을 이해하는 내재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 국어교육의 근본이 되는《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중 정치사상교양의 네 가지 사상을 교과서 분석틀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김정은 시대 개편된 국어과 교육과정과 소학교 국어, 초급중학교 국어, 고급중학교 국어문학의 전 학년 교과서이다. 교과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먼저 정치사상교양이 북한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구성되어 학습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는지 교과서 전체 내용을 교과서 분석틀로 살폈다. 그 결과 정치사상교양의 전수를 위한 충실성, 계급투쟁, 집단주의, 사회주의애국주의 준법교양이 교과서 전체 내용에 구성되어 있어‘정치사상교양 전수’를 위한 교육을 드러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에서 듣기와 말하기 교육만을 추출하여 살폈다. 교육과정이라는 구성틀 안에서 구체화된 교과서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 주된 소통 방식이‘수도관 메타포식 소통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수직적 구조에 의해 구성된 교과서 내용을 읽거나 교사에게 전달받아 그 내용을 말하는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북한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듣기는 내용도 많지 않았고 청자성에 관한 탐구도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북한에서 출판된‘교제’이론서 <교제언어학>, <언어교제와 례절>을 추가로 살폈다. 이론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가장 큰 특징은‘설복 기교에 의한 수동적 청자’였다. 설복 기교는 화자 주도의 일방적 말하기 전략으로 소통의 상황에서 청자를 수동적 역할에 머물게 한다. 또한 설복 기교에 의하면 청자가 주체적으로 소통 행위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청자성에 의한 소통의 경험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 문헌 분석 결과 북한 국어교육의 학습을 위한 소통구조는 청자가 소통의 주체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역량을 발휘할 수 없었다.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을 위한 학습자 분석은 북한배경학습자가 북한 국어교육에 대한 기억, 이야기 등을 자연스럽게 소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일상생활 속에서 관계지향적 소통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적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하나원 사무관을 통해 시작하였고 이후 북한의 국어교육 현상을 잘 반영하고 있을 통일부 소속 하나원 내의 하나둘 학교 재학생과 국어 교사를 면담하였다. 이후에도 교사, 대학생, 행정가로 분류할 수 있는 연구 참여자를 만나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개방 코딩을 통해 범주화하고 주제를 구체화하였다. 분석은 파랑새 2.0을 활용하였다. 학습자 분석은 교수·학습 경험, 교수·학습 성찰, 교수·학습 요구로 주제화하였다. 먼저, 교수·학습 경험은‘배워주는 말하기 위주 수업, 설복 기교에 따른 수용적 듣기, 사상교육을 위한 듣고 말하기’로 문헌 분석의 결과와 같이 청자가 소통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없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것임이 분명해졌다. 다음, 교수·학습 성찰은‘청자로서 소통을 위한 듣기의 반추, 청자성을 위한 회복과 소통의 필요성’에 관한 것으로 그동안의 듣기경험을 짧은 순간 되돌아보고, 생각하면서 반성하거나 성찰하는 것과 관련되었다. 연구 참여자들 중 하나둘 학교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청자로서의 주체적 경험이 많지 않았기에 듣기에 관한 기억을 소환하는 일이 쉽지 않았지만 질문을 들었을 때 비로소 청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자각하고 성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청자로서 성찰의 계기가 마련되면 어떤 상황이나 형편을 대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힘과 능력이 발휘됨을 알 수 있었고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청자성을 위한 회복과 소통의 필요성’에 관한 면담에서는 북한배경학습자들의 상처에 대한 회복과 청자성이 매개된 관계 안에서의 소통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요구는‘소통 교육을 위한 준비와 지원’에 관한 것으로‘다르다’라는 것의 불편함을 극복하고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북한배경학습자를 위한 소통 교육의 준비와 지원이 필요함을 바라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바람을 통해 청자로서 관계지향적 소통을 함으로써 이질화된 문제를 극복하고 삶의 다양한 국면에서 청자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소통 교육이 마련되어야 했다. 이를 더 구체화하여 북한배경학습자를 위한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의 맞춤형 국어교육 설계가 필요하였다. 코딩 분석의 세 가지 주제에 따라 코딩지정개수와 코딩지정비율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행정가에서 코딩지정비율이 높았다. 이들은 북한배경학습자와 관련한 다양한 업무를 하면서 청자로서 보이는 양상을 경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잘 알고 있었다. 각 주제에 대한 코딩 분석 결과 교수·학습 경험에 관해서는 학습자(37.4%)가 코딩지정비율이 높았다. 자신의 학습 경험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하면서 관련 범주에 골고루 응답한 결과이다. 교수·학습 성찰은 행정가(52.9%)에서 코딩지정비율이 높았다. 평소 이들은 북한배경학습자에게 회복과 소통이 필요함을 업무 중이나 개인적 관계를 통해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요구에 관해서는 행정가(23.5%), 교사(22.5%)로 코딩지정비율이 비슷하였다. 이 범주 역시 관련 업무를 하면서 혹은 교수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북한배경학습자를 살핀 결과이다. 전체적으로 모두에게서 코딩지정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교수·학습 성찰에 따른‘청자성을 위한 회복과 소통의 필요성’이다. 교사(32.9%), 학생(33.5%), 행정가(35.3%)로 북한배경학습자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임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배경학습자의 경험으로부터 온 회복의 필요성은 회복탄력성으로, 소통의 구체적인 방법은 넥스팅으로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설계의 방향에서 교육 내용구성 근거를 위해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네 번째 항목인‘교육’에 중점을 두고 북한의 보고서(VNR)와 한국에서의 K-SDGs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국어교육(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Korean Education, KE-SDGs)으로 설정하여 전환학습 가능태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가능태는 의식의 변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끊임없는 재해석과 생애사적 의미의 변화를 학습 과정으로 보는 것이다. 체제 전환의 경험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북한배경학습자의 스키마(schema) 조절을 위한 것으로 그동안 당연하다고 인식해 온 준거틀을 성찰의 준거틀로 변환시키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북한배경학습자의 사회화 과정에서 일어났던 준거의 틀을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서 포괄적이고 개방적이며 수용 가능한 전환학습의 교육 내용으로 설계하고자 문헌과 학습자 분석을 토대로 정치사상교양의 네 가지 사상을‘상호주관적 관계, 화해와 평화, 수평적 연대, 생태언어’로 전환학습 가능태를 도출하였다. 회복탄력성과 넥스팅을 기반으로 관계지향적 소통의 청자성 교육을 위해 체제적 교수 설계 모형을 참고하여 체제적 교수·학습 설계를 하였다. 북한배경학습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였을 때 교수·학습 상황에서 점검·조정한 내용을 수시로 수정하여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개인, 소집단, 다수의 집단과 관계망을 형성하여 소통을 지원할 수 있는 설계의 가능성도 열려 있다. 이 과정을 종합하여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 교육의 목표, 원리, 내용을 구축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