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공공디자인개발 연구

Title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공공디자인개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ublic Design Application to Separating Garbage Collection : Focused on recycling facility of apartment house
Authors
최유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진
Abstract
코로나19 팬데믹과 1인가구의 증가로 사람들의 소비생활이 변화하면서 택배와 배달서비스가 늘어나 쓰레기가 폭증했다. 이로 인해 쓰레기 처리비용이 높아지고, 환경오염이 가속화되었다.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은 환경 파괴이자 자원의 낭비이다. 우리나라는 거의 모든 자원을 수입해야 하는 자원 부족 국가이기 때문에 쓰레기의 재활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은 쓰레기 처리비용을 절감 시키고 쓰레기가 또 다른 자원으로 재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환경보존과 녹색성장을 위해 새로운 시각의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 방안으로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사람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쓰레기 재활용 분리배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국내 및 해외 사례를 통해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재할용 쓰레기 분리배출 안내 시각정보디자인을 제안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진행한다. 첫째, 연구 배경 및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당위성에 대해 논한다. 둘째, 시각정보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 공공디자인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올바른 분리배출을 이해하고 현재 공동주택에서 사용하고 있는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뒤, 국내 및 해외의 쓰레기 분리배출 사례를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찾는다. 넷째, 분리배출함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시각정보디자인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요약하여 공공디자인 관점에서의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시각디자인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 시킨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인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재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기존의 재활용 분류 체계는 불합리성이 존재하고 있어서 배출자는 재활용 쓰레기와 기타쓰레기를 명확히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올바른 분리배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올바른 분리배출 안내는 배출자에게 적확한 쓰레기 분리배출을 유도해 고부가가치의 재활용 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본 연구의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재 디자인 개발 방향이다. 이를 반영하여 공동주택의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디자인을 시각정보디자인의 관점에서 제안한다. 쓰레기 분리배출에 관련된 정보와 주의사항, 행동지침을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분리배출 픽토그램’과 ‘쓰레기 분리배출 QR코드’를 개발한다. 또한, 분리배출에 필요한 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해 안내 받을 수 있도록 QR코드와 온라인 상세페이지를 연동하여 사람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적확한 시각정보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첫째, 새로운 분리배출함의 시각정보를 통한 사용자의 올바른 분리배출 인식 및 편의 개선. 둘째,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고부가가치 재활용 비율 증가. 셋째, 분리수거 처리 비용 감소. 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순환경제의 실천으로 녹색성장 가능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리배출함의 시각정보디자인이 사용자들에게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리라 믿는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우리 사회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배출 체계의 구축과 환경 보전 역할을 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ncreased one-person households, people life patten has been changed, and home delivery services usage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garbage amount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garbage disposal cost has increased,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s accelerated. If the garbage is not managed effectively, the environment will be destroyed quickly, and resources will be wasted. South Korea needs to import a lot of resources from abroad, therefore the garbage recycling is essential. Well-designed garbage separation system for recycling can reduce garbage disposal cost and increase reusability as another resour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parating garbage collection through demanding of new public design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green growth. To induce people's voluntary cooperation, we identified current problems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To deliver the correct waste recycling informa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o find an improvement plan. In conclusion, we propose a visual information design that guides the separation of recyclable waste which people can intuitively and easily understand. This study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e background,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the justification for this study is discussed. Second, to understand visual information design, we will look at public design. Third, after understanding the proper garbage separation,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s in apartment house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garbage separation to find solutions. Fourth, a survey is condu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garbage separate bins. Fifth,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sign direction is presented to develop a visual information design for the garbage separation bin. Finally, the study is summarized to remind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R&D on the visual design of garbage separation bins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 desig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ducing people to efficiently separate and dispose of garbage through the redesign of the garbage collection bin, which is a public facility. The existing recycling classification system is unreasonable, so it is difficult for the discharger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ecycled garbage and others. The design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should provide correct separation and discharge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ce of people. This is because correct segregation guideline induces people to properly separate garbage and produce high-value-added recycled materials. This is the direction of the re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in this study. Reflecting this, the design of the garbage collection bin for the apartment building is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We will develop a ‘Separation Disposal Pictogram’ and a ‘QR Code for garbage separation’ so that information, precautions, and action guidelines related to separate garbage can be easily and quick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QR code and the online detail page are linked so tha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garbage separation can be guided through mobile devices, and accurate visual information is proposed to induce people's voluntary cooperation. The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is first, the people awareness of correct separation and improvement of convenience through visual information of the new separation bin. Second, an increase in the high value-added recycling rate for plastic products. Third, the cost of separate garbage treatment is reduced. Fourth, green growth is possible through the practice of a sustainable material cycle society. We believe that the visual information design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inducing correct garbage separation to people. In any cas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garbage discharge system from our society and to play a rol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