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Living on the Dark Side of the Moon”

Title
“Living on the Dark Side of the Moon”
Other Titles
“달의 그림자에서 살아가겠다” : 카릴 필립스의 『머나먼 해안』을 통해 보는 트라우마와 정동 소외자 연대
Authors
김혜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정
Abstract
본 논문은 카릴 필립스의『머나먼 해안』속 등장인물들인 아프리카 흑인 난민 솔로몬과 백인 영국인 여성 도로시의 인종간 문화간 연대를 설명하기 위해 기억과 정동 (감정, 감각, 느낌)의 정치적 잠재력을 탐구하고자 한다. 영국으로 망명 온 전쟁 난민 솔로몬과 영국 내 은둔자인 도로시는 소통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찰나의 연결을 빚어낸다. 그 연결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트라우마, 멜랑콜리아, 국가적 기억을 비롯한 기억 이론과 정동 이론에 천착하여 솔로몬과 도로시가 배타적 영국 사회의 영향을 벗어나 서로 결속하게 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본 논문의 첫 장은 카릴 필립스와『머나먼 해안』에 대한 기존 문헌을 검토한 뒤, 기억 이론과 정동 이론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기억 이론에 있어서는 트라우마 서사와 프로이트의 멜랑콜리아에 주안점을 두는데, 먼저 캐시 카루스를 위시한 트라우마 서사 학자들이 제안한 재현 불가능성을 설명한다. 상실과 트라우마에 대한 무의식의 접근 불가능성을 표현한 트라우마 서사를 살핀 후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멜랑콜리아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 섹션에서는 정동이라는 개념을 둘러싼 학자들의 다원화된 입장과 그 계보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논문은 특히 사라 아메드의 정동 소외자 개념에 주목한다. 정동 소외자는 지배적 공동체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감정적/감각적 구조에서 벗어난 감정 및 감각을 느끼는 이들을 일컫는다. 본 논문의 두번째 장에서는 기억의 여러 층위를 다뤄 솔로몬과 도로시의 무의식적 연결을 탐구한다. 첫번째 섹션은 필립스가 차용하는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의 분절을 트라우마 서사의 기법으로 설명한 뒤 1인칭 자아가 발화할 수 없는 억압된 트라우마가 3인칭 시점에 다시금 귀환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트라우마는 자아의 ‘잉여’로 규정된다. 두번째 섹션에서는 이 잉여가 무의식 속에 내재 되어있다는 사실에 포착해 도로시와 솔로몬의 멜랑콜리아 분석에 집중한다. 도로시와 솔로몬은 소설에서 상실한 대상의 자리에 서로를 대체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본 논문은 이가 어떻게 그들의 내면적 연결로 이어지는지 탐구한다. 나아가 세번째 섹션에서는 폴 길로이의 탈제국 멜랑콜리아 개념을 들어 도로시와 솔로몬의 개인적 멜랑콜리아가 국가의 지배 서사에 대항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세번째 장에서는 소외자 정동과 정동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여 도로시가 그의 사회화된 국가적 정동에서 벗어나 솔로몬과 연대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첫번째 섹션에서는 아메드의 정동 소외자 개념을 들어 도로시와 솔로몬이 그들의 놓아버릴 수 없는 기억으로 인해 국가의 지배적인 정동에서 벗어나게 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두번째 섹션에서는 정동이 개인의 연대 방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도로시는 솔로몬의 몸과 그의 정동을 마주한 뒤 그녀가 내재한 국가의 지배적 정동 – 유색인종 이민자에 대한 반감 – 을 철회하고 솔로몬과 연대 표시를 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그 일상성으로 인해 정치적 담론에서 배척된 기억과 정동을 도구로 삼아 사회적으로 분절된 인종간 국가간 분열이 메워지는 양상을 추적한다. 본 논문은 영국의 국가적 주체인 도로시가‘태양이 지지 않는 나라’인 대영제국의 후예들을 등지고 유색인종 난민 솔로몬과“달에서 살아가겠다” 라고 확언하는 변화의 동력을 추적하는 데에 그 의의를 지닌다. ;This thesis explores the political potential lying in trauma and affect to account for the intersectional solidarity of Solomon and Dorothy in Caryl Phillips’s A Distant Shore. Solomon, the black African refugee and Dorothy, the white English woman, who are ostracized from the national community of Britain form a fleeting connection through their memories and feelings despite the lack of their overt communication. Hence, this thesis explores how something seemingly mundane and impotent as memories and feelings can be a cohesive force to build an alternative solidarity against the rigidly exclusive social script of the British nation.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provides a summary of scholarly reception of Caryl Phillips and A Distant Shore, as well as a theoretical overview of trauma and affect theory. In describing trauma theories and memory studies, I give an overview of trauma narrative theories that focus on irrepresentability of trauma. Following is an explication of Freud’s concept of melancholia. Furthermore, this chapter engages with the scholarly discussion of affect by identifying a concise genealogy of affect theory as well as elucidating various definitions of affect held by different scholars. Central to this thesis is Ahmed’s concept of affect aliens that accounts for the subjects whose feelings do not align with the dominant mood of the community or a nation.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explores Solomon and Dorothy’s unspoken connection through dealing with the issues of memory and trauma. The first section tracks how Phillips’s narrative tactic of dividing Solomon and Dorothy’s narrative into first-person and third-person narrative manifests the persistent residue of trauma that cannot be fully repressed nor erased from one’s interiority. Furthermore, in the second section, I explore Solomon and Dorothy’s unspoken connection through employing the psychic structure of melancholia. The particular argument that I put forward in this section is that Dorothy and Solomon replace each other as love-objects of melancholia in place of their family members. Moreover, I also delve into the resistant implication that Dorothy and Solomon’s trauma holds against the national narrative of the UK, desisting against the amnesiac imperative of the nation to let go of the memories containing Britain’s shameful imperial, racist and sexist past.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Dorothy and Solomon’s affect engendered by their trauma. In the first section, I shed light into the role that their alien affect plays in detaching protagonists’ attachment to the British state and its national ideals. Because of the memories that Dorothy and Solomon cannot let go of, they cannot align themselves to the dominant mood of the nation. Furthermore, in the following section, I deal with the social function of affect in leading Dorothy to side with Solomon, escaping the grasp of xenophobic and racist national mood that compels socialization. I argue that it is their affective encounter that renders Dorothy to resolve to side with Solomon, the racial Other expelled from the garden of Weston and Britain by extension. This thesis endeavors to elucidate the counter-intuitively transformative potential of trauma and affect that leads one to side with the outsiders “living on the dark side of the moon,” shunned away from the descendants of the empire on which the sun never sets (ADS 52).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