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2 Download: 0

한국인 학습자의 漢語拼音字母 인식

Title
한국인 학습자의 漢語拼音字母 인식
Other Titles
韓國學習者對漢語拼音字母的認識 ——以韻母爲中心
Authors
강운화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소희
Abstract
중국어 모어 화자는 지역별로 각자 방언이 있더라도 지역 방언과 표준어를 구분하여 구사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여전히 중국어 발음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이유는 중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漢語拼音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올바른 발음 개념이 세워지지 않아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국인 화자가 발화하고 있는 음절 중, 구체적으로 어느 음이 표준음인지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로써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결과까지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漢語拼音에 대한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漢語拼音方案 제정의 역사적 배경, 표준중국어와 漢語拼音字母 특징에 대해 토론하고, 韻母를 중심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漢語拼音字母 인식과 발음을 분석한다. 음향분석을 통해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漢語拼音을 발음기호로 잘못 인식하여 중국어를 올바르게 발음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을 살펴보고, 漢語拼音 인식을 개선하고자 효과적인 교수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오류분석,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인 학습자의 漢語拼音字母 인식과 발음을 분석한다.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가 漢語拼音을 발음기호가 아닌 한자를 보조하는 하나의 문자로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기 위함이다. 외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많이 혼동하는 韻母에 특정 聲母를 배합해 만들어진 음절이 곧 연구대상이며, 설문조사와 오류분석의 피실험자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비교분석의 피실험자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와 현지 중국인 화자로 구성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 漢語拼音의 표기법과 발음법에 혼동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표기와 발음이 전혀 매칭되지 않았다. 이 역시 漢語拼音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어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는 漢語拼音이 발음기호가 아닌 문자라는 것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인 학습자 발음 오류분석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설명한다. 單韻母의 경우 韻母 ‘i’와 ‘u’ 발음의 오답률은 모두 낮았다. 複韻母의 경우, 韻母 ‘o’와 ‘ui’ 그리고 ‘iu’의 발음 모두 높은 오답률을 기록했다. 마지막으로 鼻韻母의 경우 韻母 ‘un’과 ‘ing’ 발음의 오답률은 單韻母와 複韻母에 비해 모두 비교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피실험자가 실험지에 표기된 99개 음절을 낭독하는 과정에서 韻頭 혹은 韻腹 혹은 과도음을 생략한 현상은 이들이 漢語拼音을 발음기호로 오인하여 낳은 결과라 볼 수 있다. 셋째, 한중모어 화자 발음 비교분석에 대한 내용이다.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녹음자료에서 잘못 발음한 음절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해당 음절의 음길이와 중국인 화자의 음절 음길이를 비교 분석해 韻頭 혹은 韻腹 혹은 과도음 생략 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평균 음길이의 편차 측정을 통해, 陰聲, 陽聲, 上聲, 去聲 총 4가지 聲調 중 어느 聲調에서 그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는지, 한국인 화자가 음을 생략하는 현상을 수치 비교를 통해 논하였다. 또한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난 F1과 F2 선의 선형변화를 통해 음이 생략되었는지도 분석하였다. 비교분석에 사용되는 평균값은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해 최고값, 최저값을 제외했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인 피실험자의 음길이가 한국인 피실험자보다 확연한 차이로 길었다.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한국인 피실험자에게서 찾아볼 수 있었던 韻頭 혹은 韻腹 혹은 과도음을 생략하는 현상은 중국인 피실험자에게서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뚜렷한 발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길이 편차값을 대조한 결과, 去聲의 편차가 제일 심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去聲은 네 개의 성조 중 소리가 짧은 것에 해당하는데,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에 비해 중국인 화자의 음길이는 확연히 길었고, 去聲 자체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韻母와 韻腹 그리고 과도음을 생략하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피실험자는 漢語拼音을 발음기호와 구별하지 못했고, 漢語拼音에 대해 정확한 인식이 부족하여 음을 생략하거나 올바르게 발음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에게 漢語拼音이 발음기호가 아닌 한자를 보조하는 하나의 문자라는 올바른 인식을 제공하며, 漢語拼音의 실제 음가에 대해 학습가능한 교수방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발음기관 설명도, 혀의 위치, 턱의 위치 변화를 반영하는 발음과정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통해, 漢語拼音 특징상 자형에 나타나지 않은 실제 음가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추상적인 방법보다 시나 연극 등 구체적으로 발음을 익힐 수 있는 발도르프 교육법을 밑바탕으로, 주입식 학습법보다 직접 활동에 참여하는 학습법을 취하는 것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교수방안이라고 보았다. 발음교육 과정에서 漢語拼音 특징인 ‘文字尙形’을 강조하며, 漢語拼音을 전사하는 동시에 이에 해당하는 발음기호 전사 훈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漢語拼音이 발음기호가 아님을 인지하고, 漢語拼音에 대해 올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漢語拼音 자형에 나타나지 않은 실제 음가에 대해 인지 가능하며, 올바른 음으로 정확히 발음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漢語拼音의 올바른 인식을 세우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에 대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中國話者雖擁有各地的方言,但是他們能夠把地方方言和標准語分別開。與中國話者相比,學漢語的外國學習者在學漢語發音時仍然感到有困難。其原因是外國學習者對漢語拼音沒有樹立正確的概念和認識,以致於中國人講的音節中分開不出哪種音是標准音。從而,在溝通的環節中會發生一系列問題。本研究爲解決以上的問題,首先討論漢語拼音方案的曆史背景和漢語拼音字母的特征。接下來進行韻母爲中心的認識和發音分析。通過分析漢語拼音認識和發音來證明韓國被試驗者把漢語拼音誤認爲發音符號,沒有認識到漢語拼音是一種文字。並爲了改善韓國學習者對漢語拼音的認識觀本研究提供教授方案。本研究通過問卷調查、發音錯誤現象和中韓話者的發音對比分析,考察韓國學習者對漢語拼音的認識。把諸多外國學習者通常發音有誤的韻母和特定的聲母結合爲音節並安排爲研究對象。問卷調查和發音錯誤現象環節的被試驗者爲韓國學習者,考察音長和頻譜圖環節的被試驗者爲韓國學習者和中國話者。其分析結果如下。第一,問卷調查。從中發現漢語拼音標記法有混淆的現象,且拼寫和發音的搭配出現了問題。之所以出現此類問題是因爲對漢語拼音沒有正確的認識。本研究對漢語拼音的韓國和中國被試驗者認識觀進行對比分析,由此證明漢語拼音不是發音符號而是輔助漢字的一種文字。第二,韓國學習者的漢語拼音發音有誤現象。單韻母,韻母‘i’和‘u’發音的錯誤率普遍低。複韻母,韻母 ‘o’, ‘ui’和‘iu’ 發音的錯誤率皆位於前列。鼻韻母,韻母‘un’和‘ing’發音的錯誤率與單韻母和複韻母相比皆有巨大的差異且位於前列。總之,韓國被試驗者在實驗音節中把韻頭、韻腹和過渡音略掉的現象是由對漢語拼音的認識觀有誤而導致的。並且,由此證明他們沒有認識到漢語拼音不是發音符號而是文字。第三,中韓被試驗者的發音比較分析。從韓國被試驗者的錄音中發現有誤的一系列韻母看作研究對象,與中國被試驗者的音節音長做對比分析。通過韓國和中國被試驗者的平均音長,觀察省略韻頭、韻腹和過渡音的現象。接下來測定偏差後考察4個聲調中哪個聲調的偏差最大,其影響程度的大小。爲了減小誤差範圍,從總平均值除掉最高最低值後,算出的平均值看作研究對象。通過Praat程序發現表明,從20個音節中有11個音節的音長中國被試驗者明顯大於韓國被試驗者。通過頻譜圖發現,中國被試驗者和韓國被試驗者相反,沒有省掉韻頭、韻腹和過渡音,其發音反而更明顯。另外,通過偏差發現,各韻母當中去聲的偏差尤爲巨大。在四個聲調中,去聲屬於短暫的音長。與韓國漢語學習者相比,中國話者的音長明顯長,盡管去聲本身音短,中國話者沒有把韻頭、韻腹和過渡音省略掉。通過發音比較分析而知,中國被試驗者和韓國被試驗者不同,韓國被試驗者沒有正確地認識到漢語拼音,並沒有認識到韻頭、韻腹和過渡音的存在。通過以上的分析證明,韓國學習者是因爲把漢語拼音誤認爲發音符號之所以發生一系列的有誤現象。 總之,本研究提供能夠樹立正確的漢語拼音認識觀念的教授方案。通過說明發音器官,舌位圖,下顎位置變化的直觀材料,學習漢語拼音字形上沒有顯示出來的實際音值。另外,通過Waldorf教育方法,如詩歌,表演等不是抽象的而是具體的方式來學習漢語拼音。比其他一系列死記硬背的學習方法,學習者的活動參與更能夠提高學習效率。在指導漢語發音時,強調漢語拼音的‘文字尚形’特征。拼寫漢語拼音的同時練習拼寫發音符號的話,能夠正確地認識漢語拼音不是發音符號,並且認識到字形上沒有顯示的韻頭、韻腹和過渡音的存在,最終能夠按實際音值發音出來。本硏究的意義在於使韓國學習者能夠正確地認識到漢語拼音和發音。期待本研究爲今後的漢語拼音研究能夠提供客觀有利的參考。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