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5 Download: 0

자기 구성 서사로서의 안회남 소설 연구

Title
자기 구성 서사로서의 안회남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hn, Hoe-Nam’s novel as ‘self-construction’narrative
Authors
김태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첫째는, 안회남의 소설을 근대적 의식은 선취했으나 그러한 의식을 적용할 현실 공간을 갖지 못한 자아가 발현된 시작점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둘째는, 안회남의 소설을 신변소설 혹은 리얼리즘 소설로 분리해서 바라봤던 기존의 시각과는 조금 다른 시각에서 그의 소설을 바라보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안회남의 소설을 시기에 따라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기존의 평면적인 관점에서 탈피하여, 그의 작품세계 전반에서 나타나는 자기의 서사를 ‘자기 구성’의 차원에서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것이다. 이때의 ‘자기 구성’은 푸코의 ‘자기 배려’ 개념에 기반한 것이다. 즉, 안회남 소설 속에서 나타난 ‘자기 구성’이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라는 국가적으로 혼란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항상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던 개인이 부단한 성찰과 ‘진실 말하기’의 방식을 통해 자기에게 몰두하고, 자기를 돌보며,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안회남 소설은 이처럼 개인주의가 옹호될 수 없었던 한국의 근대 소설사에서 공백화된 개인의 서사를 조명한다. 그의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인물들은 개인을 억압하는 현실 속에서 자신이 진실이라고 믿는 바를 말하거나, 혹은 타인이 말하는 진실된 말을 받아들임으로써, 끊임없이 주체를 길들이려고 하는 현실태에 저항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안회남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자기 구성’의 양상을 ‘자기 보존’,‘ 자기 현현’, ‘자기 확대’, 이렇게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안회남의 초기 신변소설 속에서 나타난 개인이 가족과 사랑이라는 관계 속에서 어떻게 자신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러한 ‘자기 보존’으로서의 자기 구성이 어떻게 사회적 맥락 속에서 속물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확장될 수 있는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다. 한국의 근대 소설사에서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한 ‘자기의 서사’는 정치·사회적 서사에 밀려 주변부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자기의 서사는 해방이라는 대업을 방해하는 사소한 문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족과 사랑이라는 일상적 소재를 다룬 안회남의 초기 신변소설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곤 했다. 하지만, 이러한 소재에 대한 심리적인 접근은 개인주의가 당당히 자리하기 어려웠던 식민지 시대에 개인이 자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방식이었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들이 혼란한 상황 속에서 자기 보존을 하려고 했던 노력으로 연결된다. 안회남 소설 속 인물들은 일견, 개인주의가 자리 잡을 수 없었던 시대 상황에 좌절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그럼에도 진정한 생활의 주체로서 자기를 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가족과 연인을 비롯한 타인과의 관계가 그 중심에 있다. 그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직접 감각하고, 자신이 진실이라고 믿게 된 것을 자신의 삶과 일치시키려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실천은 속물적인 자본의 논리가 깃든 사회 속에서 저항으로서의 의미를 확보하게 된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징용소설 속에서 나타난 개인들이 징용 체험을 통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실감으로서의 개인과 그들을 기록하는 기록자의 ‘자기 현현’으로서의 자기 구성이 어떻게 사회적 맥락 속에서 대문자 역사에 대한 보충으로 확장될 수 있는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다. 해방 직전의 징용 체험으로 인해 안회남은 ‘징용문인’이라는 독특한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그의 징용소설 연작들은 그저 관찰한 것들을 보고 전달한 것에 그쳤다는 이유로, 초기 신변소설과 다를 바 없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의 징용소설이 해방에 대한 역사적 혹은 사회적 의미보다는 개인의 정서를 묘사하는 데 집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면, 거대한 역사의 뒤에 가려진 실감으로서의 개인의 모습을 조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주체적으로 이루어진 완전한 해방이 아니라는 혼돈의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상황들에 대한 기록인 것이다. 역사는 해방 전·후로 갈리지만, 그 속의 개인의 서사는 어느 한순간 끊겼다가 반전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연속된 이야기라는 것이 그의 작품 속에서 낱낱이 드러난다. 이러한 사적 정념에 대한 기록은 공적 역사의 뒷면에 숨겨져 있던 진실을 고발한다는 점에서 대문자 역사에 대한 보충으로서의 의미를 확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불복하는 개인이 실천의 용기로 어떻게 자기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기 확대’로서의 자기 구성이 어떻게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다. 징용소설에 대한 비판 이후, 안회남은 민중과 농민에 대한 이야기를 쓰면서 이전보다 분명한 역사적 의식을 보여준다. 이때를 기점으로 그는 ‘리얼리즘’으로의 도약이라는 평을 받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국가와 개인이라는 근대적 변증법의 문제를 제기하며 개인의 문제를 놓지 않는다. 식민통치와 식민통치의 잔재에 저항하는 개인, 그리고 미군정 하에서 경제적 자립을 이루지 못하고 최소한의 인권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 저항하는 개인은 근대적 국가의 이면에 숨은 개인의 문제를 보여준다. 당시의 조선은 국가적 차원에서 표면적인 해방은 이루었으나, 개인의 차원에서는 식민 주체가 일본에서 미국으로 바뀌었을 뿐 여전히 식민통치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안회남 소설 속 개인들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실천의 용기로 자기를 구성하며 각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아래로부터의 투쟁을 통해 식민주의에 저항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푸코의 ‘자기 배려’ 이론으로 안회남 소설 전반을 분석하며, 안회남의 소설을 다소 평면적으로 바라보았던, 그리고 제대로 된 방법론이 부재했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안회남의 소설은 ‘직각’과 ‘직감’을 통해 파악한 ‘자기의 삶’ 그 자체를 문학으로 풀어내며 부단히 주체의 문제에 몰두했다. 그의 작품은 근대적 개인의 태동(胎動)으로부터 시작해, 대문자 역사의 뒤편에 자리했었던 개인의 정념을 경유하여, 부조리한 현실의 권력에 맞서 싸우는 개인의 투쟁에 도달한다. 그의 작품 속 주체는 식민통치라는 혼란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양상은 조금씩 달라졌을지언정, 끊임없이 솔직하고 용감한 ‘진실 말하기’의 방식으로 자기를 구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개인주의가 한걸음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던 한국의 근대 소설사에서 안회남이 써 내려간 개인의 서사는 한 단계 낮은 급의 소설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그의 서사는 사회, 역사, 그리고 국가의 공백화된 지점에 대한 보충이자 비판으로서 유의미하다. 언제나 세계와 불화할 수밖에 없었던 개인의 문제에 천착했던 그의 소설은 우리가 그저 놓치고 있었던 지점들을 객관적 세계의 건너편에서 상기시킨다. 거대한 ‘리얼리즘적 전망’을 지닌 소설들이 사회의 부조리함에 전면적으로 맞서 싸웠다면, 안회남의 소설은 주체의 끊임없는 ‘자기 구성’과 ‘진실 말하기’라는 보다 미시적인 관점에 기반한 국지전을 선택함으로써 나름의 가치를 확보했던 것이다. ;Conception of this research began with critical introspection on our prevailing viewpoint to Ahn Hoe-Ham’s creations. As a corollary, this research made following attempts. Firstly, it looked at Ahn’s novel as starting point of a self, who already acquired sense of modernity while deprived of physical breathing space for the sense to take flight. Secondly, as a subtle departure from established categorisation of his novel, bisecting those as either personal or realism novel. Therefore, aim of this research came to be deviating from traditional flat viewpoint that sees Ahn Hoe-nam’s bibliography rather dichotomously by time of publication, by opting for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on his own personal narrative, theme of which appears overarchingly on his creations, in terms of ‘self-construction’. Here, ‘self-construction’ is laid on the foundation of Michel Paul Foucault’s concept of ‘care of the self’. Therefore, ‘self-construction’ in Ahn’s novels, is sovereignly ‘constructed’ by an individual, who had to lurch in the shadow of national turmoil Japanese colonial rule and post-war transition era created, through being self-immersive and self-caring through relentless introspection using ‘truth-telling’ methodology. As such, novels of Ahn shed light on individual narratives, which had remained void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 which isn’t so amicable to individualism. Characters appear on his novels make resistive attempts against their circumstantial reality defined by incessantly coercive taming, by outspeaking truth they believe in or accepting truth enunciated by others, against stifling social ambiance. This paper analysed aspects of ‘self-construction’ in Ahn’s novels by delaminating those into 3 layers: ‘self-preservation’, ‘self-manifestation’ and ‘self-expansion’. First, in Chapter II, this research analysed how individuals appearing in nascent personal novels of Ahn construct themselves being perched inside matrices of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ies and loved ones, and how those self-construction as ‘self-preservation’ can be expanded into defiance against churlish materialism.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s, in pursuance of socio-political narratives, ‘personal narrative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were discouraged and pushed out to the fringes, as they were considered as inconsequential matters serving as impediments for a grand path toward national independence. Therefore, liminal personal novels of Ahn were often excoriated for their indulgence on diurnal, personal matters of family and love. However, phycological approach to these matters was an important means for colonial-era intellectuals to reaffirm their existence in a time when individualism couldn’t have enough breathing space.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ir effort for self-preservation within turbulent socio-political backdrop of those days. Although, at a glance, characters in Ahn’s novels seem thwarted by their era of stifled individuality, they still strive to constitute themselves as true protagonists of their lives. Lives, of which fulcrum being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lovers, and others. They feel withi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trive to align their lives with what they came to believe as truth, of which embodiment gains connotation of resistance against the society, where rule of pecuniary capital is pervasive. Chapter III took a look at how individuals portrayed in compulsory draft novel is being constructed through their experience of forced drafting, and how tactilely sensed individuals and their chronicler’s self-construction as ‘self-manifestation’ expanded into supplement for capital-letter history. Being drafted in the final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Ahn gained distinctive status as ‘drafted literati’. However, his series of compulsory draft novel was lacerated for not being disparate from his nascent personal novel, mere direct conveyances of observations, since his compulsory draft novel concentrated more on delineating personal psyche, rather than historic or societal significance of liberation. On the flip side, however, it can be construed as highlighting individuality of a real human being, which always was hidden in the shadow of gravitas of history. Thus, it serves as chronicles of shambolic situations that appear in the turbulent transitional period, of a country still lingering in greyness of just partial independence. His literature flagrantly exposes that, while a page of history was turned over at the point of Japanese defeat, narratives of individuals dwelling in those pages of history never did immediately cease and capsize because of single historic event. Rather, they are continuous, monolithic story formed of gradual changes. These proceedings of private sentimentality secure their significance as supplements to capital-letter history, as they divulge realities hidden beneath authenticated history. Lastly, Chapter IV delved into how defiant individuals are constructing themselves with valiant implementation of their will and analysed how self-construction as ‘self-expansion’ can be extended to strife against colonialism within social context. After his compulsory draft novels met excoriating critics, Ahn started to show clearer historical consciousness by portraying lives of farmers and the people. This move was accoladed as giant leap forward toward ‘realism’, but still, he never loosed his grip on personal matters, demonstrating his vitriol to modern dialectic formed of contrast between national state and individuals. Individuals fighting against not only colonial rule and its relics, but also perdition under U.S. military government, where individuals bereft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even minimum level of human rights, shows scourges individuals had to face in the blindside of modern national state. Joseon of the time, while obtained ostensible independence, for individuals, it was still languishing in the vestige of colonial rule of which only the ruler is replaced. Inside mire of this social decay, each individual awakes themselves by constructing themselves with unabashed valour to act, and show staunch will to strenuously fight against colonialism, pursuing change from the bottom. Through reappraisal of Ahn’s creative world based on Foucault’s theory of ‘care of the self’ this research strived to overcome predating research’s parochialism and methodological amiss. By unravelling his own life through literature, perceived using ‘intuition’ and ‘instinct’, Ahn Hoe-nam’s novel strived to focus on conundrums surrounding individuality. Endeavour of his creations starts from genesis of modernistic individual, pierces through private sentiment of individuals submerged beneath the surface of capital-letter history, eventually reaching individual’s strife against scourge of realpolitik. Protagonists in his creations, although slightly metamorphic in the face of turbulent colonial era, adamantly and courageously constructing themselves through candid ‘truth-telling’. In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s where individualism was largely overlooked, Ahn’s personal narratives were derided as lesser grade creations. Notwithstanding, his narrative holds its value as supplement and criticism to where society, history, and the state left as a void. His novels, which delved deep into problem of individuals, who always, irrevocably had to stand at loggerheads with the world, reminds us of the agenda slipped through our grasp, from the eyes of the universe outside of this objectified world. While novels with exalted ‘realistic prospect’ raged an all-out war against depravity of society, Ahn’s novels established their own, by opting instead for localised warfare on the ground of rather microscopic viewpoint of individual’s relentless ‘self-construction’ and ‘truth-tel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