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7 Download: 0

노마디즘 개념으로 본 마리나 아브라모비치(Marina Abramović)의조형적 태도

Title
노마디즘 개념으로 본 마리나 아브라모비치(Marina Abramović)의조형적 태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ve Attitude of Marina Abramović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ism
Authors
손민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유목문화와 연결된 ‘노마디즘(nomadism)’ 개념을 중심으로 예술가 마리나 아브라모비치(Marina Abramović, 1946-)의 작품과 예술관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노마디즘은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와 펠릭스 가타리(Pierre-Félix Guattari, 1930-1992)의 공동 집필 저서인 『천의 고원(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에서 다뤄진 철학 개념이다. 유목민의 생존 원리에 기반을 두어 정립된 노마디즘은 교통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성이 증가하게 된 사회에서 물리적인 한계를 벗어나 용이해진 인류의 이동과 유동적이고 탈국가적인 문화 현상을 아우르며 현재는 철학적 용어를 뛰어넘어 그 관점과 의미가 다각화되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태생지인 유고슬라비아를 떠나 노마드와 같은 삶의 방식을 지향하며 세계 곳곳을 옮겨 다닌 아브라모비치의 여정은 노마디즘적 범주에 속한다. 아브라모비치는 수십여 개 도시에서의 유랑 생활을 통해 지역의 문화적인 특수성이나 사회적인 흐름을 포착하며 당대의 전 지구적인 요소를 흡수했다. 본 연구는 작가의 노마드 생활 이후 제작된 작품에서 나타난 변화에 주목했고 이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아브라모비치가 이동했던 체류 지역은 연차적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만큼 산발적인 것을 고려해 공통으로 읽어낼 수 있는 노마디즘적 특성에 따라 크게 네 갈래로 분류하고 연구의 본문에서는 여덟 개의 지역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아브라모비치는 1980년대 초 유럽을 벗어나 호주 사막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노마드 생활을 이어갔다. 아브라모비치는 호주 원주민이나 인도의 불교 승려 등 토착적인 성격의 띤 공동체와 생활하며 이들에게서 체화한 생존 방식이나 종교적인 관행을 퍼포먼스 작품의 표현 방식으로 활용했다. 한편, 아브라모비치의 이동 지역 가운데 중국과 브라질은 시기와 의미에 있어 연계적인 요소를 갖는다. 아브라모비치는 중국 만리장성에서 긴 시간 동안 협업을 함께 했던 동료 예술가 울라이(Ulay, Frank Uwe Laysiepen, 1943-2020)와의 마지막 퍼포먼스를 마치며 홀로서기를 맞이했고 브라질 체류 시기 이후에는 자연적 재료인 광물로 설치 오브제를 제작하게 된다. 아브라모비치는 수행적인 여정에서 마주했던 자연의 순환 원리에 대해 순응하며 저물고 새롭게 구축하는 모든 관계에 대해 재고할 수 있었다. 유고슬라비아와 라오스에서는 크고 작은 내전이 터졌고 전쟁의 여파가 이어졌다. 아브라모비치는 국가의 영위 속에서 민족 간의 분열이나 정치적인 이념에 따라 개인의 무분별한 희생이 당연시되는 모습을 목격했다. 두 국가의 상황을 담은 작품들의 제작 시기는 상이하지만 해당 국가에서 전쟁을 직간접적으로 겪어야 했던 아이들과의 협업을 통해 수평적인 관계를 강조하며 공생주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아브라모비치는 일본 지역의 트리엔날레에 출품하는 작품 설치를 위해 지역 사회와 협력하며 집으로 기능하는 장소 특정적인 작품을 통해 관람객에게 유랑의 경험을 안겨주었다. 미국에서는 두 차례의 전시가 이루어졌는데 한 번은 어느 곳이든 본인의 집이 되는 노마드처럼 전시장을 예술가의 집으로 만들었고 다른 한 번 의 전시에서는 관객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정서적인 교감과 소통을 이루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아브라모비치의 방대한 여정 이후의 작품에 반영된 사회, 종교, 문화 등의 영역을 살펴보며 이를 노마디즘 개념과 결부해 해석했다. 본고는 작품 분석을 통해 아브라모비치의 끊임없는 이동에서 비롯된 노마디즘적 태도를 확인하며 작업의 이력에서 예술가가 점진적으로 관객과의 연결을 시도하고 예술의 경계를 확장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예술가의 이동 경험에 주목해 작업을 관통하는 노마디즘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아브라모비치의 작품을 더 넓은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This thesis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works and art views of the artist Marina Abramović(1946-), focusing on the concept of ‘nomadism’ connected to nomadic culture. First of all, nomadism is a philosophical concept discussed in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a co-written book by French philosophers Gilles Deleuze and Felix Gattari. Nomadism, established based on the principle of survival of nomads, has diversified its perspective and meaning beyond philosophical terms, encompassing human migration and fluid and cross-border cultural phenomena beyond physical limitations in a society where mobility has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bramović's journey, which has left Yugoslavia since the mid-1970s and moved around the world to pursue a nomad-like lifestyle, is also in the category of nomadism. Through wandering life in dozens of cities, Abramović captured the cultural and social trends of the region and absorbed the global elem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works produced after the artist's nomad life, and used this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Since Abramović's residence area is difficult to classify sequentially, it i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nomadic characteristics that can be read in common in consideration of sporadic, and eight regions were focused on the text of the study. First of all, Abramović left Europe in the early 1980s and continued her full-fledged nomadic life starting with the Australian desert. Abramović lived with indigenous communities such as Aboriginal Australians and Buddhist monks in India and used the survival and religious practices embodied in them as expressions for performance works. On the other hand, among Abramović's moving areas, China and Brazil have a linked element in terms of timing and meaning. Abramović finished her relationship between fellow artist Ulay, who collaborated for a long time thorough her last performance on the Great Wall of China. During her stay in Brazil, she tried to create a work of art unlike anything she had before then She produce ‘Transitory Objects’ project out of natural materials like crystals. Abramović was able to reconsider all the relationships she had built at night, complying with the principles of nature's circulation that she faced on her performance journey. In Yugoslavia and Laos, civil wars broke out large and small, and the aftermath of the war continued. Abramović witnessed the indiscriminate sacrifice of individuals in the course of the state due to ethnic divisions or political ideology. Although the production times of artworks containing the situation of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they emphasized horizontal relationships through collaboration with children who had to go through the war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country and expressed a symbiotic view. Abramović collaborated with the local community to install works submitted to the Triennial in Japan, giving visitors a nomadic experience through a Site-specific artwork that functions as a home. In the United States, there were two exhibitions, and once the exhibition hall was made into an artist's house like Nomad, who became her home anywhere, and the other exhibition attracted direct participation from the audience and communicated emotionally.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areas of society, religion, and culture reflected in the works produced by the artist after the vast journey, and tried to interpret them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nomad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this paper confirmed Abramović's nomadic attitude stemming from her constant movement, and looked at the process of gradually trying to connect with the audience and expanding the boundaries of art in the work histo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rt history in that it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Abramović's work from a broader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nomadic characteristics that penetrate the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 artist's moving experience, which was not illuminated in previous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