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7 Download: 0

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현존재의 초월 개념에 관한 연구

Title
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현존재의 초월 개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of Dasein in Early Heidegger’s Philosophy : Focusing on ‘Being-in-the-World’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충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transcendence of Dasein’ within the structure of ‘being-in-the-world’ and to reveal the dynamic meaning of ‘transcendence’ as an ontological phenomenon. Heidegger articulates the meaning of transcendence in various ways within the existing structure of being-in-the-world(In-der-Welt-sein). The ontological basis on which Dasein can have a transcendent feature is through the temporality of being. Howev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Dasein is a transcendental being and at the same time, a transcending being.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Heidegger's phenomenological analysis centered on the being-in-the-world, interpreting the transcendence of Dasein as a verb meaning 'transcending'. The transcendence of Dasein is not a concept that aims to identify the absolute position or state of human being. This study rather argues that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is an ontological phenomenon. In order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of transcendenc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how Dasein transcends within its internal structure. ‘Transcendence’ includes a meaning of stepping beyond, which is in part, the main question of metaphysics, exploring beyond the visible phenomenon. Heidegger often develops his thoughts through deconstructing an inherited concept from Western philosophy and re-emphasizing in an ontological way. The concept ‘transcendence’ reflects the way Heidegger thinks. In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transcendence, it means to go beyond human limits, experience and presuppose another realm, which is clearly distinctive from humans, such as a god or an object. However, Heidegger defines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within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the human Dasein. Appropriating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which was considered a metaphysical question, Heidegger proposes the possibility of a new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term. The transcendent feature of being-in-the-world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grasped beyond the constraints of human experience and conditions. Rather, this is explained within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being-in-the-world. Heidegger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 ‘world’ that constitutes the transcendental structure of Dasein. He criticizes the idea that modern philosophy specifies human as a worldless “subject,” by separating humans and the world into subject and object. Heidegger defines the essential structure of human Dasein as being-in-the-world, emphasizing that humans and the world belong to each other and can never be separated. World constitutes Dasein, as a constituent already in this being-in-the-world, and the world is opened by Dasein’s projecting. Dasein, as being-in-the-world that constructs and opens the world in the world already given, consists of “disposedness(Befindlichkeit)” as throwness(Geworfenheit) and “understanding(Verstehen)” as projecting(Entwurf). Hence, the phenomenon of the transcendence of Dasein can be understood concretely in a dual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the world. Within this structure of being-in-the-world, Dasein transcends internally. This calls for an analysis on the various factors of the transcendence phenomenon. According to Heidegger’s ontological project, the transcendence of Dasein can be presented as ‘Dasein surpasses entities and heads toward the world.’ In the structure of transcendence, Dasein understand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entities as an “ontological difference,” and by engaging in the way entities exist, it gives fundamental grounds to the entities. Furthermore, 'toward the world' reveals that Dasein is ahead of itself, facing the world in which it is disposed and revealing the world by opening it up. Hence, ‘world,’ which constitutes the being-in-the-world, shows the ecstatic and unified character of the world. This analysis is based on Heidegger's method of explaining his definition of) ‘being-in-the-world’ as transcendence. Within this ontological structure, it is revealed that humans are not transcending outside of themselves but are transcending within the structure of Dasein. Thus, the work conducted here on analyzing Heidegger’s concept of transcendence can clearly reveal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Dasein,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referred to in traditional metaphysics. The transcendence of Dasein is understood as an ecstatic and unified phenomenon, analyzed within the structure of being-in-the-world. That is, the transcendence of Dasein means to exist. As long as human beings exist as Dasein, they should always be understood as dynamic beings that transcend ontologically.;본 연구는 하이데거 전기 사유에 나타난 초월 개념을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라는 현존재의 존재 구조 안에서 분석하고, 존재론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현존재의 초월이 갖는 역동성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구조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초월의 의미를 드러낸다.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의 초월론적 구조는 존재의 시간성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월론적 구조를 가진 현존재가 초월하는 현상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존재의 초월성을 ‘초월함’이라는 동사적 의미로 해석하면서, 세계-내-존재를 중심으로 하는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분석에 주목한다. 존재의 초월 개념은 인간의 절대적 위치나 상태를 규명하기 위한 개념이 아니다. 오히려 본 연구는 현존재의 초월을 존재론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현존재의 내적인 구조 안에서 어떻게 초월이 이루어지는지 분석할 것이다. 초월(超越, Transzendenz)은 무언가를 넘어선다는 의미로, 가시적 현상 너머를 탐구하고자 하는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s)에서 주로 탐구되는 개념이다. 하이데거는 철학사에서 전승된 개념을 존재론적으로 해체하고 재의미화하면서 사유를 전개한다. 초월 개념 또한 이러한 하이데거의 사유를 잘 보여준다. 기존의 형이상학에서 초월 개념은 인간의 한계나 경험을 넘어서 밖으로 향하고 있으며, 신 또는 객체와 같이 인간의 영역과 구분되는 다른 영역을 전제한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인간 현존재의 존재론적 구조 안에서 초월 개념을 규명한다.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 초월 개념을 존재론적으로 전유함으로써 철학적 언어 안에서 기존의 체계를 해체함과 동시에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도모한다. 현존재의 초월적 성격은 인간의 경험과 조건의 제약을 넘어서서 파악되는 것이 아니다. 현존재는 세계-내-존재로서 자기 안에서 초월한다. 먼저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초월론적 구조를 구성하는 ‘세계’ 개념에 주목한다. 그는 근대 인식론적 형이상학에서 인간과 세계를 각각 주체와 객체로 이원화하면서 인간을 무세계적 “주체”로 규정한 것을 비판한다. 그리고 그는 인간 현존재의 본질 구조를 세계-내-존재로 규정하면서 인간과 세계를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공속적인 관계라는 점을 강조한다. 세계-내-존재인 현존재는 그 자체로 세계성이라는 근거를 가지며 동시에 세계는 기투하는 현존재에 의해 개방된다. 주어진 세계 안에서 세계를 개방하는 세계-내-존재인 현존재의 성격은 ‘처해있음(Befindlichkeit)’의 피투성과 ‘이해(Verstehen)’의 기투성으로 구조화된다. 현존재의 초월적 성격은 ‘처해있는 이해’로 설명되는 인간과 세계의 이중적 관계 안에서 구체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세계-내-존재 구조 안에서 현존재는 내적으로 초월한다. 따라서 현존재의 초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계기들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기획에 따라 현존재의 초월은 ‘현존재가 존재자를 넘어서 세계를 향함’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초월의 구조 안에서 현존재는 존재와 존재자 사이의 존재론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재자의 존재 방식에 관여함으로써 존재자에 근원적인 근거를 부여하며 존재한다는 점이 드러난다. 더하여, ‘세계를 향한’다는 것은 현존재는 자기에 앞서 있으며, 자신이 처해있는 세계를 향해 있으며 세계를 열어 밝히는 존재라는 점이 드러난다. 즉 세계-내-존재의 세계성이라는 성격은 현존재에 앞서 있으면서 현존재가 향하고 있는 세계의 탈자적이며 통일된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은 ‘세계-내-존재를 곧 초월’이라고 규정하는 하이데거의 설명 방식에 근거한다. 이러한 존재론적 구조 안에서 인간은 자기 밖으로 “초월”하는 존재가 아니라 현존재의 존재 구조 안에서 초월하는 존재라는 점이 드러난다. 더하여, 현존재의 초월은 세계-내-존재 구조 안에서 분석되는 탈자적이며 통일적인 현상으로 이해된다. 현존재가 초월한다는 것은 곧 실존한다는 의미이다. 인간이 현존재로 실존하는 한 그는 언제나 존재론적으로 초월하고 있는 역동적 존재로 이해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