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0 Download: 0

Sing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Phonological Decoding in French Children with Dyslexia

Title
Sing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Phonological Decoding in French Children with Dyslexia
Other Titles
난독증을 가진 프랑스 어린이들의 음운 디코딩 향상을 위한 노래중재
Authors
Diouf Lewis, Jenny Anna Safiatou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난독증은 프랑스에서 가장 널리 퍼진 신경 발달 특정 학습 장애이다. 난독증을 가진 아이들은 지적장애가 없음에도불구하고, 특히 음운 해독 능력에서 읽기 어려움을 보여주며, 쓰여진 단어들을 그들의 소리와 올바르게 연관짓도록 균형을 깨뜨린다. 난독증을 가진 아이들의 독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사용되었지만, 현재의 관점은 읽기 과제 동안 단어의 발달 음운론적 표현에 필수적인 음운론적 및 시간적 처리 지향적 작업의 통합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난독증 아동의 음운 해독 능력을 겨냥한 치료적 중재 개발이 요구됐다. 비록 많은 연구들이 독서와 음악 사이의 관계를 증명했지만, 이러한 문제에 관한 문헌은 음악 치료 분야에서 제한적이다. 난독증 아동의 음운 디코딩(decoding)기술을 다루기 위해 음악 치료사에게 증거 기반 임상 자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독서의 이중 경로 모델의 음운론적 이론과 경험적 증거를 기반으로 난독증을 가진 프랑스 어린이들을 위한 독서의 음운론적 디코딩(decoding)과정을 목표로 하는 노래 중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개발된 노래 중재의 타당성은 그것의 시행 전에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사전 사후 변화, 세션 현상 기록 및 사회적 타당성에 관한 중재 효과 평가에 관한 난독증을 가진 프랑스 어린이의 음운론적 디코딩(decoding)기술에 대해 개발된 노래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노래중재는 프랑스와 한국에서 난독증을 앓고 있는 7명의 프랑스어 또는 프랑스어권아동과 함께 주5회 총 10회의 개별 세션으로 대면 및 비대면 세팅으로 진행되었다. 문자 음성 변환, 음운 인식, 단어 읽기 정확도 및 읽기 속도, 음악적 능력 등의 측정값이 수집되었다. 또한 세션 내 읽기 정확도와 쓰기 정확도 측정도 수집되었다. 중재가 끝나면 후속 조사를 통해 노래중재의 사회적 타당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는 난독증 아동의 음운 디코딩 능력이 1분 동안 올바르게 읽은 단어 수에서 문자-음성 인식(Z = -2.388, p = 0.017)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기 때문에 노래 중재를 받은 후 개선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읽기 정확도와 읽기 속도(Z= -2.366, p = 0.018) 및 음악 능력(Z = -2.393, p = 0.017)의 향상을 나타냅니다. 연구참여자들은 세션 내내 읽기 정확도와쓰기 정확도가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중재결과 아동들이독서에 대한 동기가 강화된 모습과 더불어 독서에 대한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다. 중재에 대한 사회적 타당성 평가는 음악치료 중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연구참여자와 그 부모가 지적함에 따라 대면과 비대면 노래중재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요약하면, 이번 연구 결과는 단어 디코딩의 음운학적 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노래중재가 난독증 아동의 음운학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음악치료 중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음악 치료 분야에서 난독증 아동의 독서 기술을 다루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서 의의가 있다. 단, 대면 또는 비대면으로 노래에 초점을 맞춘 개별화된 음악 치료 중재 모델의 추가 개발을 제안한다.;Dyslexia is the most widespread neurodevelopmental specific learning disorder in France. Despite the absence of intellectual deficit children with dyslexia shows reading difficulties, particularly in their phonological decoding skills, unbaling them to correctly associate written words to their sounds. Various approaches were used to address the reading difficulties of children with dyslexia, however current perspectives pointed out the lack of incorporation of phonological and temporal processing oriented tasks, that were demonstrated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words during the reading task. Thereby, there were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targeting the phonological decoding skills in children with dyslexia. Although numerous studies corrobo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nd music, the literature is limited in the music therapy field regarding these issues. There was the need to provide music therapists evidence-based clinical resource for addressing phonological decoding skills in children with dyslexia. Therefore,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nging intervention targeting the phonological decoding process of reading for French children with dyslexia based on the phonological theory of the dual route model of reading and empirical evidenc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inging intervention was evaluated prior to its implementation. The second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inging intervention on phonological decoding skills of French children with dyslexia in regarding to pre-post changes, recording of withing sessions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regarding its social validity. The singing intervention of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line and in person settings with 7 French or francophone children with dyslexia in France and in Korea for a total of 10 individual sessions 5 times a week. Measures in letter-sound conversion,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rate, and musical abilities were collected. Also, within session measurement of reading accuracy and writing accuracy were also collected.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social validity of the singing intervention was evaluated via a follow-up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honological decoding skills ofchildren with dyslexia could improve after receiving the singing intervention as they showed overall significant increase in letter-sound recognition (Z = -2.388, p = .017), in phonological awareness (Z = -2.530, p = .011) in the number of correctly read word in one minute (wpm) indicating improvement in the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rate (Z = -2.366, p = .018), and in musical abilities (Z = -2.393, p = .017). The participant showed gradual improvements of their reading accuracy and writing accuracy throughout the sessions. In addition, behavioral changes towards reading were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such as children showed more motivation regarding reading. The social validity evaluation of the intervention confirmed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he singing intervention online and in person as an overall satisfaction regarding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was indicated by the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sing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phonological process of word decoding can be an effective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improving phonological skills in children with dyslexia. As a newer approach addressing reading skills for this population in the music therapy field, the development of this intervention sets deeper understand of the needs of children with dyslexia but also proposes an evidence based therapeutic model of individualiz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cusing on singing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music therapists in clinical practice whether face-to-face or onli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