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7 Download: 0

비대면 음악 중재 내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사의 활용 전략 및 인식

Title
비대면 음악 중재 내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사의 활용 전략 및 인식
Other Titles
A survey on the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therapeutic strategies to promote interaction in untact music intervention
Authors
김효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interaction with clients in untact music therapy interv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music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 in untact intervention. Strategy for interaction with cli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ing. A total of 10 questions were asked,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in music activity progression strategy which received 50 responses, “sequenced participation structure” (n=12, 24%)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responses. For singing and performing strategies, a total of 46 responses were collected, indicating "minimizing accompaniment" (n=7, 15.22%) and "using recording sound sources" (n=7, 15.22%)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Music selection strategies varied depending on clients’ diagnosis. In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which received 30 responses,“high arousal level”(n=13, 43.44%) was crucial, while in cognitive rehabilitation group which received 18 responses “cognitive clarity” (n=10, 55.55%) showed the most response. In verbal strategies where a total of 46 responses were collected,“calls for attention” (n=16, 34.78%) was the most answered. In nonverbal strategies where a total of 60 responses were collected,“hand gestures for expression” (n=31, 51.66%) was the most answered. In order to investigate awareness for musical, verbal, non-verbal strategies, 18 questions were presented on the Likert 6-point scal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of total score for each classification, the score for the non-verbal strategy was the highest at 4.833 poi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wareness for non-verbal strategy was higher than other strategies. This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ists have already developed strategies suitable for untact music intervention. As it is a transitional period when untact intervention expa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musical and non-music strategies for untact interaction.;본 연구는 비대면 음악 중재 내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음악치료사가 활용한 전략을 확인하고, 비대면 상호작용을 위한 음악적,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의 필요성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음악중재전문가(KCMT) 및 인턴 과정을 수료한 음악치료학 석사생이다. 연구자는 참여자 모집을 위해 음악치료사 네이버 블로그 등을 포함한 소셜 플랫폼에 연구 목적 및 연구 절차 기재와 함께 온라인 조사 링크를 게시하였다.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동의를 받은 후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58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불충분한 8부를 제외하고 50부의 응답지가 분석되었다. 음악치료사가 활용한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총 10가지 문항을 개방형 질문으로 제시하였다. 각 문항당 3개까지의 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중복응답을 포함하여 내용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적 상호작용을 위한 음악 활동 진행 전략은 총 50개의 응답이 수집되었으며‘순서화된 참여구조’(n=12, 24%)가 가장 많은 응답수를 차지하였다. 가창 및 연주 전략은 총 46개의 응답이 수집되었으며,‘반주 최소화’(n=7, 15.22%), ‘녹음 음원 활용’(n=7, 15.22%)이 가장 많은 응답수를 보였다. 총 46개의 응답이 수집된 언어적 전략 에서는‘주의 유도를 위한 촉구’(n=16, 34.78%)가 가장 많았으며, 총 60개의 응답이 수집된 비언어적 전략에서는‘의사 표현을 위한 손 제스쳐’(n=31, 51.66%)가 가장 많았다. 음악 선곡 전략의 경우 진단군 별로 발달장애, 정신장애, 인지재활, 신체재활, 일반대상군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는데 각각 강조되는 전략이 달랐으며, 대표적으로 발달장애군의 경우 총 30개의 응답 중‘높은 각성’(n=13, 43.44%)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반면, 인지재활군의 경우 총 18개의 응답 중‘인지적 명확성’(n=10, 55.55%)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음악치료사가 인식한 음악적,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리커트 6점 척도로 18개 문항을 제시하였으며, 각 문항의 점수를 기술 통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이 중간값 이상인 4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분류별 전체 문항의 점수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비언어적 전략에 대한 점수가 4.83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전략들보다 필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치료사들이 이미 비대면 중재에 적합한 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비대면 중재가 확대되는 과도기적인 시기인 만큼 비대면 내 상호작용을 위한 더 많은 음악적, 비음악적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