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19 ~ 20세기 초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연구

Title
19 ~ 20세기 초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Haehakbandodo : Paintings of Sea, Cranes and Peaches during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Authors
김지예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19 ~ 20세기 초 조선에서 유행한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를 대상으로 도상의 연원과 발전상, 소용 양상과 조형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아직 시론 단계에만 머물러 있는 해학반도도에 관한 논의를 구체화하고, 해학반도도의 회화사적 위상과 의의를 가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학반도도는 바다와 학, 복숭아를 제재로 삼아 선경을 형상화한 그림이다. 해학반도도에 묘사된 선경은 삼천 년에 한 번 열매를 맺고 이를 먹은 사람은 장생불사한다는 반도가 자라난 신선 세계를 의미하며, 그 관념은 고대 중국의 서왕모 관련 신화와 소설에서 유래되었다. 이 가운데 魏晉南北朝(220-589) 시대의 지괴소설 『한무고사』와 『한무제내전』의 내용은 불로장생의 선과에 대한 관념이 형성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해학반도 이미지는 해학반도도의 출현에 앞서 유선시와 같은 문학 작품을 통해 향유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신(李紳, 772-846), 여암(呂巖, 796-?), 위응물(韋應物, 737-791)을 위시한 唐代(618-907) 시인들은 바다와 학, 복숭아 등의 제재를 통해 선경을 묘사한 시문을 창작하였으며, 이는 해학반도 도상이 형성되는 중요한 단초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학반도도는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모두에서 공유되던 회화 주제이다. 해학반도도의 제작은 중국 明代(1368-1644)에 본격화된 것으로 간주되며, 明代의 여기(呂紀, 1477-?), 淸代(1616-1912)의 심남빈(沈南蘋, 1682-1760?), 추일계(鄒一桂, 1686-1772)의 작례가 대표적이다. 여기가 정립한 해학반도 도상은 이후 淸代는 물론 조선과 일본에 널리 확산되었다. 중국 明·淸代 해학반도도는 주로 화축의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구성에 있어서는 주제를 이루는 핵심 도상을 크게 부각하여 나타내거나 백학도와 같이 군학을 중심으로 묘사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본에서 해학반도도는 江戶時代(1603-1868) 한화계 화가 사이에서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되며, 구로카와 기교쿠(黑川龜玉, 1732-1756), 다니 분초(谷文晁, 1763-1840), 가노 오사노부(狩野養信, 1796-1848), 다키 카테이(瀧和亭, 1830-1901) 등의 작례가 전한다. 범본이 되는 여기와 심남빈의 작품이 적극적으로 임모되어 도상에 큰 변화 없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확인된다. 19 ~ 20세기 초 조선에서 해학반도도가 성행하게 된 배경은 크게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는 중국에서 기원한 서왕모 신화가 우리 문화 속에 일찍부터 자리 잡고 있었고, 唐代 문학의 영향으로 조선에서도 바다와 학, 복숭아를 제재로 삼은 시문이 시대를 통관하여 향유되었다는 점. 둘째는 조선 후기 이후 가속화된 사회·문화적 변화를 계기로 해학반도도와 밀접한 주제의 그림들이 활발하게 제작되고, 이에 더해 해학반도도의 핵심을 이루는 반도 도상이 회화, 공예 등 미술품의 소재로 급격하게 부상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아울러 학을 주제로 한 회화가 조선 후기 이후 다양한 양태로 발전한 것 역시 해학반도도가 유행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조선에서 해학반도도는 17세기 말 ~ 18세기 초 무렵 출현하기 시작해 19 ~ 20세기 초 왕실, 문인, 지방 관료, 서민 등 광범위한 계층 사이에서 유행한 것이 확인된다. 기본적으로는 화제가 지닌 길상적 성격에 걸맞게 소장자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한 그림으로 제작·사용되었으며, 회갑을 축하하기 위한 선물용 그림으로도 제작되었다. 궁중 양식의 해학반도도 병풍은 정 ~ 순조 연간의 왕실에서 정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초전(蕉田) 오순(吳珣) 등 전직 화원에 의해 민간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9세기 중후반에 이르면 해학반도도는 서민들의 집 안팎을 장식하는 생활 치레물으로 활용되었다. 당시 해학반도도는 화축, 병풍, 장지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전세되는 작품의 형식과도 상통한다. 조선 왕실에서 해학반도도 병풍은 궁궐의 처소를 장식하고 왕실의 행사를 장엄하며, 이를 기념하기 위한 계병으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왕실 기록에서는 해학반도도 병풍 이외에 학이 그려지지 않은 도화장지(桃花障子), 해반도도(海蟠桃圖) 장지 및 병풍에 관한 기록 또한 전한다. 이는 현재 해반도도 외 일월반도도(日月蟠桃圖), 파상도도(波上桃圖) 등의 이름으로 전하는 작품을 일컫는다. 해반도도는 해학반도도와는 달리 학이 생략되어 있으나, 반도가 자라난 선경을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 해학반도도의 계보에 속하는 화제로 이해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21점의 해학반도도, 7점의 해반도도를 대상으로 유형과 양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해외 소장작 및 개인 소장작을 염두에 둔다면 해학반도도와 해반도도는 앞으로도 새롭게 소개·발굴될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겠다. 현전하는 해학반도도와 해반도도는 대부분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단폭으로 제작된 작품과 민간 양식의 작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궁중 양식의 연폭 병풍으로 제작되었다. 해학반도도는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반도비학(蟠桃飛鶴)” 유형으로 정의한 해학반도도는 바다를 향해 가지를 뻗고 있는 복숭아 나무와, 날고 있는 학이 화면의 주축을 이루는 작품이다. 본 유형은 明代 해학반도 도상의 원형이 그대로 계승된 것으로 보아 도상이 유입되던 시기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선경백학(仙境百鶴)” 유형으로 정의한 해학반도도는 복숭아 나무가 자라나고 수많은 학이 노니는 선경을 모습을 거대한 병풍의 형식에 시각화한 작례이다. 해학반도도의 주제는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본 유형은 조선 화원의 회화적 자원을 토대로 제재와 구성을 적절히 변용하고 발전시킨 한국적 고유성이 돋보이는 유형이라 할 수 있다. “해중도학(海中桃鶴)” 유형으로 정의한 작품은 바다 가운데 위치한 복숭아와 학을 강조하여 묘사한 해학반도도 병풍을 칭한다. 본 유형은 구도와 구성상의 특이점 이외에도 병풍의 대형화, 금박의 활용 등 전형적인 궁중 양식의 해학반도도 병풍과 비교하여 괄목할 만한 변화가 나타나 가장 늦은 시기의 유형으로 파악된다. 해반도도는 다음 2가지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먼저 “약수반도(弱水蟠桃)” 유형으로 정의한 해반도도는 만 길의 약수를 배경으로 복숭아 나무가 자라난 선경의 모습을 화면 가까이 포착한 작품이다. 본 유형은 진채 화풍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장지의 형식으로 제작된 점이 특징적이다. “일월반도(日月蟠桃)” 유형으로 정의한 해반도도는 복숭아 나무와 함께 해와 달의 모티브가 강조되어 일월오봉병을 연상시키는 작품이다. 본 유형은 대칭을 이루는 병풍 두 좌가 한 쌍을 이루며, 극도로 단순화되고 장식화된 구성을 보이는 점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의 마지막 장에서는 문헌 기록과 현전 유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해학반도도의 특징과 의의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해학반도도는 19 ~ 20세기 초 궁중 회화가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 발전되어 온 궤적을 보여준다. 동시기의 요지연도, 십장생도와 관계가 깊으며, 구도와 구성, 도상 면에서의 친연성이 두드러진다. 뿐만 아니라 20세기 초 해학반도도는 외래적 요소가 응용된 금병풍이라는 새로운 시각 문화의 주제로 채택되었다. 이는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을 인식한 대한제국 황실이 자국의 건재함과 근대성을 알리기 위한 시도로서, 20세기 초 한국 근대 회화사의 또 다른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이와 동시에 해학반도도는 일반 서민들을 위한 그림으로도 널리 확산되었다. 이때 해학반도도는 일정한 전형을 갖고 있던 궁중 양식의 병풍과는 달리 민간 화가들의 자유로운 발상이 엿보이는 그림으로 제작되어 시각 문화가 저변화 되어가는 모습을 함께 보여준다. 이상의 내용과 같이 본 연구는 조선 19 ~ 20세기 초 성행한 해학반도도에 주목하여 도상의 연원, 제작 및 소용 양상, 양식적 특징 등 전체적인 발전상을 확립하기 위해 의도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에 논의되지 않았던 문헌 자료와 작품을 발굴·검토하고, 현전 유물과 적극적으로 결합하여 살펴봄으로써 해학반도도라는 화제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origin, development, use pattern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ideology on the subject of Haehakbandodo(Paintings of Sea, Cranes and Peaches) which was popular in Joseon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o this end, it aims to specifically discuss Haehakbandodo, which is still in the contemporary opinion stages, and to assess the art historical status and significance of Haehakbandodo. Haehakbandodo is paintings of sea, cranes and peaches as its main theme, and it is imagery of a fairyland where peaches of immortality bear once every three thousand years and those who eat them will live forever. The notion of a fairyland and objects depicted in Haehakbandodo originated from the myths and novels related to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in China. In particular, 『Hanmugosa』 and 『Hanmujenaejeon』 served as literary sources where the notion of peaches of immortality was forme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image of Haehakbando was enjoyed first through literary works such as Yuseon Poetry prior to the advent of Haehakbandodo. Haehakbandodo is the theme of paintings shared not only in Joseon but also in China and Japan. The creation of Haehakbandodo was found to start in earnest in the Ming Dynasty(1368-1644) of China, and it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paintings of Lu Ji(呂紀, 1477-?) in the Ming Dynasty and Shen Nanpin(沈南蘋, 1682-1760?) in the Qing Dynasty(1616-1912). The Haehakbando ideology established by Lu Ji spread widely in the Qing Dynasty and i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of China, Haehakbandodo was mainly created in the form of hwachuk. In terms of composition, it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 case where the key ideology that makes up a theme is greatly emphasized, or a case where the crane, such as Baekhakdo, are depicted. In Japan, Haehakbandodo is regarded to have been created by Hanwha painters in the Edo period(1603-1868). Lu Ji and Shen Nanpin's works serving as the sanskrit version were so actively imitated that it tended to appear repeatedly without major changes in the ideology. With regard to the background of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Haehakbandodo in Joseon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is study can consider two aspects. First, the myth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originating in China, was established in our culture from an early age, and the poetry and prose of sea, cranes, and peaches were also enjoyed in Joseon throughout the ages under the influence of literature in the Tang Dynasty. Second, with accelerate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paintings on the theme closely related to Haehakbandodo began to be actively created, and furthermore Bando(Peaches of Immortality) ideology, which forms the core of Haehakbandodo, rapidly spread as a material for works of art including paintings and crafts. In addition, crane-themed painting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are also presum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Haehakbandodo. According to documentary records, Haehakbandodo appeared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in Joseon and became popular among a wide range of classes including the royal family, writers, local bureaucrats, and the common people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t was basically produced and used as a painting to pray for the longevity of a collector as befitted the auspicious character of the theme, and it was also created as a gift painting to celebrate the 60th birthday. The court-style Haehakbandodo folding screen seems to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King Sun-jo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rapidly spread to the public without a large time lag by former painters such as Chojeong(蕉田) O Sun(吳珣). By the mid-to-late 19th century, Haehakbandodo was used as an ornament for decorateing ordinary people's houses inside and out. At that time, Haehakbandodo was created in various forms such as paintings, folding screens, and sliding doors, which also coincided with the trend of chartered works. In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Haehakbandodo folding screens were actively made as a commemorative painting screen to decorate the residence and to commemorate various events. In addition to Haehakbandodo folding screens, the royal records also show Dohwajangji(Sliding Doors with Paintings of Peaches) and Haebandodo(Paintings of Sea and Peaches) sliding doors and folding screens without cranes on them. Currently, this refers to the works under the names of Ilwolbandodo(Paintings of the Sun, Moon and Peaches) and Pasangdodo(Paintings of Sea and Peaches) besides Haebandodo. Unlike Haehakbandodo, Haebandodo omits cranes but it can be understood as a theme belonging to the genealogy of Haehakbandodo in that it embodied a fairyland where Peaches of Immortality grew.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ypes and styles of Haehakbandodo based on the extant relics. Here, Haebandodo, regarded as a painting that deals with the same theme as Haehakbandodo, was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21 pieces of Haehakbandodo and 7 pieces of Haebandodo of the Joseon Dynasty are known to date both at home and abroad. Most of them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and they were created in the form of court-style hinge-connected panel screens except single-panel works and commercial use. For in-depth analysis, this study divided Haehakbandodo into 3 types and Haebandodo into 2 typ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a painting, the composition of subject matter, and the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colors and a style of painting.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intensivel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aehakbandodo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records and extant remains. First, Haehakbandodo shows the trace of court painting that was influenced and mutually developed in an organic relationship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t is closely related to Yojiyeondo(Paintings of the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at the Turquoise Pond) and Sipjangsaengdo(Paintings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of the same period, and it has a close affinity with composition, structure, and ideology. In addi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ehakbandodo was adopted as the theme of a new visual culture 'Gold-decorated Folding Screen' to which foreign elements were applie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another aspect of Korean painting hist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n attempt to publicize the prosperity and modernity of the Korean Empire that recognized the rapidly changing current of the times. At the same time, Haehakbandodo became widespread as a painting for the common people. Unlike the court-style folding screen, which had a certain style, Haehakbandodo was created as a painting showing not only the free ideas of folk painters, but also how the visual culture was forming the basis.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ideology, such as the origin, creation and use patterns,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focusing on Haehakbandodo which was popular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of the Joseon Dynasty. To this end,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looked into the subject of Haehakbandodo from various angles by discovering and examining literature materials and works that haven't been discussed previously and actively combining them with extant rel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