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0 Download: 0

1920-30년대 기독교 여성농촌운동

Title
1920-30년대 기독교 여성농촌운동
Other Titles
Christian women led agricultural movements that took place in 1920-1930 focused on three leaders: - Kim Hwal-ran, Choi Yongshin and Park Induk -
Authors
김축복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현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20-30년대 기독교 여성농촌운동을 전개한 김활란, 최용신, 박인덕을 중심으로 전개한 기독교 여성농촌운동의 활동과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종래 남성 중심으로 진행된 기독교 농촌운동의 연구범위를 넓히고 성적 편향성을 보완하고자 한다. 김활란은 당대 최고의 여성지식인으로서 조선의 농촌문제 해결에 관한 이론을 정초하였다. 이러한 이론작업을 기반으로하여 YWCA는 실질적인 농촌여성지도자 육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김활란은 여성농촌운동의 주된 목적을 ‘농촌계몽’과 ‘문맹퇴치’로 세웠다. 이를 통하여 조선의 농촌여성을 농촌 변혁의 주체로 세우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후 여성 고등교육에 전념함으로써 여성농촌운동의 실천은 미미했다고 할 수 있다. 박인덕은 미국 유학 후 귀국하여 조선 농촌운동의 이론을 정립하고 실질적인 농촌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조선에서의 농촌운동을 해외원조에 전적으로 의지 함으로써 다른 운동에 비해 운동의 자생적 재생산이 불가능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들에 비해 최용신은 이론작업은 없었으나 농민을 계몽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농촌에서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농촌운동가였다. 그는 학문적인 지식을 연마한 당대의 지식인이었으나 시혜적인 태도로 그들을 지도한 것이 아니라 지역민을 운동의 주체로 세워 농촌운동을 전개하였다. 최용신은 농촌운동을 통해 기독교인의 신앙과 삶과 역사적 과제에 대한 봉사가 일치되는 삼위일체적인 삶을 살았다. 이들은 각자 자신에게 주어진 다른 장에서 다른 방식으로 활동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신앙을 개인구원의 문제로만 한정하지 않고 당시 피폐화된 농촌과 사회의 문제에 응답하려 했다. 또한 기독교 신앙을 통해 민족 공동체의 역사적 과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려는 사회적 실천이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1920-30년대 기독교 여성농촌운동은 일제 치하에서 고통받는 민족과 여성의 아픔에 공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높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women led agricultural movements that took place in 1920-1930 focused on three leaders: Kim Hwal-ran, Choi Yongshin and Park Induk.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upplements previous research which primarily focused on agricultural movements led by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YMCA), the Presbyterian church, and the Methodist church. Kim Hwal-ran was a prominent female scholar whose established theory on Chosun YWCA’s agricultural movement was highly influenced by her agricultural education from the United States. Kim’s agricultural movement focused on farmer’s enlightenment and illiteracy eradication. Her movement shifted from encouraging agricultural women to play a key role in agricultural reform to pursuing higher education. Park Induk built a theory on agricultural movement after studying abroad from the United States. However, her work relied heavily on foreign support which made her movement unsustainable in the long run. Choi Yongshin, unlike other two, did not establish theory nor focus on the enlightenment of farmers. Instead, she led the agricultural reform by becoming a member of the farming community. Not only focusing on the salvational aspect of Christianity, she tried to solve societal issues. Beyond past research mainly focused on men’s work, christian women agricultural leaders’work ought to be reevaluated for their sympathy towards suppressed people under Japanese colon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