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2 Download: 0

Unraveling “knotty feelings” in Zadie Smith’s White Teeth

Title
Unraveling “knotty feelings” in Zadie Smith’s White Teeth
Other Titles
제이디 스미스의 『하얀 이빨』 속 “엉킨 감정” 풀기
Authors
Kim, A Young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정
Abstract
Zadie Smith’s novel, White Teeth (2000) captures the different levels of belonging within postcolonial Britain. While Britain appears to have rebranded itself as an accepting multicultural nation upon the dissolution of its empire, the novel exhibits an awareness of different tiers of inclusion and exclusion within the society. Following how affects create the boundaries between bodies, this thesis attends to how dominant national affects contribute to formations of biopower. I draw from Sara Ahmed’s concept of “affect aliens” which is to “be out of line with the public mood” to examine how affect can be a form of resistance against biopolitical exclusion. Therefore, this thesis explores the subversive potential of attending to something as transient as feelings or affects in generating solidarity against the national mood that seeks to recover Britain’s imperial glory.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thesis, drawing from Foucault’s theorization of biopolitics and theories of affect. Biopower takes “life itself” as the object of power and operates by making certain lives live at the cost of others. Particularly within multi-ethnic countries like Britain, race has become the privileged standard by which this difference has been upheld. On the other hand, affect is “the aleatory dynamics of lived experience,” which has generated work that is attentive to how new ways of living are constantly taking shap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the characters in demographics that have been granted different degrees of belonging: those with unrestrained assimilation to Britain, first generation immigrants, and second-generation racial minorities. As Britain faces the inability to mourn the changes following the end of empire, past histories can be felt in the present as national love is invoked an aching loss. This constructs the racial others as the cause of injury, drawing the affective boundaries that inhibit their belonging to the nation. Furthermore, I also center Smith’s depiction of the affective experience of bare life, showing how precarity is felt and transmitted through generations of immigrants, compounding their biopolitical exclusion. The final chapter explores how the marginalized characters in Smith’s novel become “affect aliens,” by detaching themselves from social scripts of happiness. Furthermore, it shows how “alien affects” in the novel can come together in alternative modes of solidarity on account of their deviations from the norm. In coming together in models that are not exclusive, Smith suggests the ways in which kinship could be reimagined not as a form belonging but as loose points of connection. By attending to the emergent capabilities of affect to bring about new ways of living, these “affect alien” characters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fusing the biopolitical divide” that fosters certain lives at the cost of others. ;제이디 스미스 (Zadie Smith)의 『하얀 이빨(White Teeth)』(2000)은 식민지 시대 이후 영국 내의 다양한 수준의 소속감을 묘사하고 있다. 대영제국이 해체되자마자 스스로를 수용하는 다문화 국가로 재명명한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이 소설은 다문화적 국가로 변모하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사회 내 다양한 층위의 소속과 소외가 존재함을 밝히며, 계층의 포용과 배제에 대한 인식을 보인다. 본 논문은 정동(affect, emotion)이 여러 신체와 사물을 순환하며 표현 혹은 경계를 만들고 사람을 사회적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탐구하고, 이가 생명권력(biopower) 미치는 영향을 살핀다. 본 논문은 감정과 같이 일시적인 현상이 영국을 지배하는 제국주의적 정서에 대항할 수 있는 전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첫 장에서는 푸코(Michel Foucault)의 생명정치(biopolitics)를 적용하여 소설에서 드러나는 인종 기반의 생명 계층화 문제를 개괄한다. 또한 정동/감정(affect)이 생명정치에 대항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생명권력이 어떻게 살아있는 몸을 통해서 실현되는지를 논의하기 위해 인종적 체현(racial embodiment)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 하여 타자화된 사회적 각본을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사라 아메드(Sara Ahmed)의 “정동 외부인”(affect alien) 개념을 제시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소설에 등장하는 영국의 주 수혜집단, 이민자 집단, 유색인종 2세대 이민자 집단 등 영국 안팎의 다양한 집단들이 소속감의 정도에 따라 경험하는 정동을 분석한다. 이는 영국이 탈제국주의 국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현재 국가에 대한 사랑을 상실의 감정으로 경험하게 됨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국가가 인종 소수자를 가해자로 지목하여 그들을 타자로 재생산해버린다. 또한, 인종 소수자들은 불균등하게 부정적인 감정을 배제하고는 스스로를 이해하기 어렵게 배치한다. 더군다나 인종 소수자들이 아감벤(Giorgio Agamben)의 “벌거벗은 인간”(bare life)을 내면화 하게되는 경험을 그려낸다. 마지막 장에서는, 소설 속 인물들이 사회 각본에서 스스로를 분리하여 “정동 외부인”이 되는 과정을 살핀다. 그들은 주류 사회에 속하거나 동일한 성격의 집단을 재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 않으며, 표준에서 벗어남을 연대의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 형태의 사회를 통해 사회 집단을 재정의하고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소설에 드러난 대안적 사회 집단을 통해 가족의 형태가 배타적인 소속이 아닌 느슨한 연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정동 외부인”들이 만드는 대안적 문 화가 생명정치의 배제적 성격을 재구성하는 의의를 남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