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1 Download: 0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을 통해 본 현대사회 속 의미 생성의 방식

Title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을 통해 본 현대사회 속 의미 생성의 방식
Other Titles
The Structure of Generating Meaning in Contemporary Society Seen Through the Works by Jeff Koons
Authors
유민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the works by Jeff Koons (1955-) focusing on examining the structures of generating meaning in today’s society. Since starting his career as an artist in the late 1970s, Koons has made his art with a variety of subjects and forms. Although his works have had various appearances over 40 years, they can be summarized as a successor to the ready-made concept presented by Marcel Duchamp in the 1910s and to Pop Art which implied structures of consumer society in their pieces. However, as Koons’s works exist in a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background from the previous art tendencies, his works allowed to discover the new structural aspects of contemporary society. The works especially let us see the structures of economic, psychological and aesthetic meaning of today’s society, and these have been expressed in the ways the pieces were made. Koons borrowed the images of show window displays and commercial advertisements, which enabled viewers to see how economic profits are generated in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The works that imitated show windows show the form of Minimalism artworks, and the advertisement-like pieces are based on those of Pop artists. Koons’s works, which mimicked the production structures of economic value while containing the meaning of art history, allowed us to look at the product sales strategies and promotion methods conducted by companies these days. Also, Koons visualized the structures of capitalism that commercialize even human nature by making them look like pornography or enlarging children’s products to a size of a monument. By creating hyper-realistic kitsch art that expresses codes of pornography through his own body, the artist raised awareness of the mechanisms of the sex industry in contemporary society. In addition, Koons’s monumental works, which used Claes Oldenburg’s sculptural methods as the ready-made, placed children’s products into the realm of art, making them neither commercially available nor usable in their original functions. These monumental sculptures allowed viewers to think about the reality of capitalist society, in which even children’s innocence is being used commercially. Finally, by parodying previous masterpieces, Koons conveyed new aesthetic meanings. Through a collage of existing works, the artist made viewers look into the mythical structures in the art world and meanings related to art history. For instance, Koons’s works that show cartoon characters’ images, techniques in repetition or Benday dots remind us of the previous art tendency, Pop Art. While Pop artists had used them to reveal the structure of consumer society, Koons used them as a way to recall the previous trend. Besides, Koons has constantly reinterpreted and expanded the ready-made concept by defining an object that can be reborn as a work of art, as any element that questions the boundary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 rather than simply limiting it to a physical ready-made product. Through the analysis of his works,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Koons’s artwork shows how the inherent structures, especially those of economic values or aesthetic judgments, are generated and how these meanings can be delivered to viewers. This thesis’ significance is in that it examined Koons’s works of all period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society and analyzed the internal structures of generating meaning in today’s society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 history.;본 논문은 제프 쿤스(Jeff Koons, 1955-)의 작품을 통하여 현대사회에 내재한 의미 생성의 방식을 분석한 연구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미술가로서 활동을 시작한 이래 쿤스는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지닌 미술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40여 년이라는 세월과 함께 다채로운 양상을 보이는 그의 작업이지만 마르셀 뒤샹이 제시한 레디메이드 개념과 사회적 구조를 작품에 담아낸 팝 아트와 직접 맞닿아 있는 작업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 미술 경향과는 또 다른 시공간적 배경 속에서 존재하는 만큼 쿤스의 작품은 현대사회 내의 새로운 의미 생성의 구조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작품 분석에 대한 배경적인 이해를 쌓고자 경제와 문화 전반, 미술로 분야를 나누어 현대사회 안에서 특정한 의미가 생성되는 방식에 관해 알아보았다. 오늘날 어떠한 의미나 가치는 사회의 흐름과 같은 거대 구조의 영향과 더불어 장 보드리야르가 이야기한 기호학적 질서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미술사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해온 미적 코드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일상적 면모나 기존 작품의 이미지 등을 지니는 쿤스의 작업이 미술 작품으로서 의미를 획득하게 된 방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쿤스의 작품을 통해 현대사회 속의 경제적, 심리적, 미학적 측면의 의미 생성의 구조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들이 작가의 작업 방식으로 표출되었다고 보았다. 쿤스는 매장의 쇼윈도 디스플레이와 매스 미디어 속의 상업 광고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현대 소비사회에서 경제적인 이윤이 창출되는 방식을 알아보도록 했다. 쇼윈도 디스플레이를 모방한 작품은 미니멀리즘에서의 형식을 보여주며, 광고를 차용한 작품은 특히 앞선 세대의 팝 아티스트들의 작업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미술사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한편 현대 소비사회의 경제적 가치의 생산 구조를 모방한 쿤스의 작품은 오늘날의 상품 판매의 전략과 광고의 홍보 방식을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쿤스는 작품에서 포르노그래피처럼 연출하거나 아동용 제품을 모뉴먼트의 크기로 거대화하는 작업 방식을 통해 인간 본연의 가치, 심리까지도 상업화하는 현대의 자본주의적 구조를 시각화했다. 작가는 포르노그래피에서의 코드를 본인의 신체를 매개로 표현한 하이퍼 키치 예술을 만들었는데 이러한 작품은 성 산업에서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클래스 올덴버그의 작업을 레디메이드 삼은 쿤스의 모뉴먼트화 작업은 어린이용 제품을 상업적으로나 본래 기능대로 이용할 수 없는, 예술의 영역에 놓인 존재로 변환시켜 관람자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아이의 순수함에 대해 떠올려보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쿤스는 과거의 미술 작품을 패러디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의미가 통하도록 했다. 작가는 기존의 명작 이미지를 콜라주하는 방식으로 미술계 내부에 존재하는 신화적 구조와 미술사 관련 의미를 살펴보게 하였고, 전통적인 레디메이드 개념을 재해석해 평범한 대상이 예술로서 승화될 수 있는 지점을 다양하게 보여주었다. 레디메이드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는 존재를 단순히 물리적인 기성품에 한정하지 않고 일상과 미술의 경계에 관해 물을 수 있는 모든 요소로 규정하여 레디메이드의 개념을 끊임없이 재해석하고 확장해온 것이 쿤스의 레디메이드 작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은 쿤스의 작업에 대해, 현대사회 속에서 특히 경제적 가치나 미적 판단을 내리는 방식이 어떻게 생성되고 그로써 어떻게 의미가 도출될 수 있는지를 표현하고 있는 작업이며 작품을 통하여 이러한 의미 생성의 방식을 관람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쿤스의 모든 시기의 작품을 현대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오늘날 사회에 내재한 의미 생성의 방식을 미술사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에 본 논문은 의의를 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