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제임스 맥닐 휘슬러(1834-1903)의 나비 서명 연구

Title
제임스 맥닐 휘슬러(1834-1903)의 나비 서명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utterfly Signature of James McNeill Whistler (1834‒1903)
Authors
윤지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 제임스 맥닐 휘슬러(James McNeill Whistler, 1834-1903)의 나비 서명에 관한 연구이다. 휘슬러는 유럽에서 성공한 미국인 예술가이자 당대의 이슈메이커라는 이유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휘슬러의 나비 서명은 독특한 양태에도 불구하고 집중적으로 다뤄진 적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휘슬러의 작품과 예술가로서의 인생에서 나비 서명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려는 데에 그 목표를 두며, 이를 통해 휘슬러의 예술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양 미술사에서 서명은 작품의 내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려지거나 작가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의식적으로 강조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예술가의 서명이 개인적이고 고유한 기호임을 확인시켜준다. 그러나 예술가의 서명이 가지는 특수성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휘슬러의 서명은 더욱 특별해 보인다. 나비 서명은 형태를 변화시키며 휘슬러의 작품 속뿐 아니라 예술가로서의 일생 전반에 걸쳐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휘슬러가 거점을 두고 활동한 런던은 19세기 유럽의 자연 및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의 진원지였다. 산업화로 인해 촉발된 각종 도시 문제는 사회 각층에 자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진화론을 위시한 과학의 발달과 만국박람회는 곤충을 포함한 자연물에 대한 흥미를 증폭시켰다. 그 중에서도 나비는 문학과 예술 전반에서 자주 사용되는 모티브로 당대의 여성 패션에 적용될 만큼 대중적으로도 크게 유행하였다. 휘슬러는 이와 같은 환경에서 나비 이미지에 노출되었다. 그러나 휘슬러의 개인사를 정신분석학적인 시각을 통해 조명했을 때, 나비 이미지를 서명 양식으로 채택한 직접적인 이유는 그의 유년기 트라우마와 양성적 자아에서 비롯한 것으로 유추된다. 나비 서명은 휘슬러의 작품에서 화면 내 요소들과 동등하거나 때로는 그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등장 초기부터 나비 서명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자연물과의 접촉을 통해 화면 안의 회화적 개체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또한 휘슬러가 색채에 중점을 두고 화면을 구성하기 시작하자 화면의 균형을 완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하였으며, 서사가 도입된 작품에서는 화면 속 내용의 중심 요소가 되어 서사에 완결을 짓는 존재로 거듭나기까지 하였다. 서명이 보통 화면의 내용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인 요소로 간주되는 것과 비교하면 독특한 양상을 띤다. 또한 작품 밖에서 나비 서명은 휘슬러를 대표하는 이미지로써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의 핵심이다. 휘슬러는 서명을 발명한 초기에는 이미 판매된 작품의 액자를 교체하면서까지 나비 서명을 강조했다. 전시 개막일에 장식할 브로치를 나비로 디자인하거나 개인적인 메모와 편지에 나비 서명을 그려 넣으면서 자신의 이미지를 조금씩 나비로 대체해 나갔다. 휘슬러의 예술관을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행사나 소책자에 사용되고 미디어를 통해 나비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재생산되면서 나비 서명은 점차 휘슬러의 분신이 되었다. 휘슬러는 주요 고객을 상대로 한 배타적인 고급화 전략에도 나비 모티브를 사용하였으며, 나비 회사(Company of the Butterfly)를 설립함으로써 상업적 활용의 극치를 보여준다. 휘슬러의 나비 서명은 마치 나비가 진화하듯 형태를 바꾸고 자유롭게 작품 안과 밖을 넘나들었다. 휘슬러가 추구하는 작품의 완결성에 일조함으로써 화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예술가의 자아를 투영했으며, 화면 밖에서는 예술의 아우라를 입고 휘슬러의 상업적인 면을 은폐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되었다. 휘슬러의 나비 서명은 여느 서명들보다도 독특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작품을 작가에 귀속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계속해서 진화하여 화면 안팤에서 적극적으로 예술가의 자아를 실현했던 것이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tterfly signature of James McNeill Whistler, a painter who was mainly active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19th century. Whistler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an outrageous American artist who succeeded in Europe. However, his butterfly signature has rarely been the focus, despite its uniqueness.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role of the butterfly signature in Whistler’s works and life as an artist. In Western art history, signatures have been revealed in various ways, portray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ntent of the work or consciously emphasized to display the artist’s presence, which shows that an artist’s signature is a personal and unique sign. However, eve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an artist’s signature, Whistler’s seems more special, because the butterfly signature changes its form and appears not only in his works but also throughout his life as an artist. London, where Whistler was based, was the source of interest in nature and natural sciences in 19th-century Europe. Various urban problems triggered by industrialization kindled interest in nature among people of all social strata.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d by evolutionism intensified interest in natural objects, including insects. Butterflies in particular were a motif frequently used throughout literature and the arts, so popular that they were applied to women’s fashion at the time. Whistler was exposed to images of butterflies in such an environment. Howe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irect reason for Whistler's adoption of the butterfly image as his signature style stems from his childhood trauma and bisexual self, based on his personal history examined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butterfly signature plays a role equivalent to or sometime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elements of Whistler’s work. Since it first appeared, the signature blended in with natural objects in the painting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 pictorial entity on canvas. Moreover, as Whistler began to construct the canvas with a focus on colors, the butterfly signature served as a key element to complete the balance on the canvas. It even concluded the narrative of certain paintings as the central element of the contents. This is unique compared with other signatures in general, which are considered an independent elemen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tents on canvas. Furthermore, the butterfly signature, as an image that represents Whistler, is the key to an aggressive marketing strategy. When Whistler first invented the signature, he emphasized it by even replacing the frames of the works that had been already sold. He slowly replaced his image with the butterfly signature by designing decorative brooches for exhibition openings with butterflies or drawing the signature in personal notes and letters. As the butterfly image was used in official events or booklets of art museums in addition to his works and repeatedly reproduced on media, this iconic signature gradually became the artist’s alter ego. Whistler also used the butterfly motif in exclusive luxury marketing strategies for major clients and founded the Company of the Butterfly, which shows the extent to which the signature was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His butterfly signature constantly changed its form, like butterflies evolving, and freely moved in and out of the paintings. By contributing to the completeness of work pursued by Whistler, the signature reflected the artist’s ego that is actively involved in the canvas, while on the outside it was used strategically to hide Whistler’s commercial side under the aura of art. His signature performed a more unique and active role than any other signatures. Beyond just suggesting the artist’s presence and making the works just a part of the artist, the signature constantly evolved and actively fulfilled the artist’s ego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anv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