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2 Download: 0

1950년대 수필에 나타난 자유의 알레고리 연구

Title
1950년대 수필에 나타난 자유의 알레고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llegory of Freedom in Essays in the 1950s : Focused on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Authors
김명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본 연구는 1950년대 수필이 당대 공론장에 통용되던 ‘자유’라는 기표와 다양한 시대적 표상을 알레고리 삼아 시대정신으로서 자유를 탐색하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 근대 문학 장 내에서 수필문학은‘무형식의 형식’이라는 형식적 요건과 여성 작가들에 의해 주로 창작된 문학이라는 문학적 젠더화 탓에 소외와 위계화를 지속해서 경험해왔다. 이는 연구의 절대적 부족으로 이어졌고, 특별히 1950년대 수필문학이 오랫동안 본격적인 연구의 장에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불어 1950년대 한국 수필문단의 대표격이었던 조경희와 전숙희, 두 수필가의 연구 또한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고는 1950년대 한국 수필문학을 대표하는 조경희, 전숙희 두 작가의 1950년대 수필의 문학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본고는 이들의 1950년대 수필을 알레고리의 방식으로 독해할 때, 당대 시대정신으로서 자유에 대한 추구가 명백히 드러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발터 벤야민은 서구의 근대 정신이 지향한 유기적이고 총체적인 상징 대신, 그것을 파편화하는 알레고리의 방식으로 문학과 세상을 사유할 것을 제안한다. 그에 의하면 인간 언어는 실낙원 이후 지속된 사물의 침묵과 멜랑콜리를 번역하기 위한 파편들이며, 그 파편들은 하나의 단일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대신 일종의 몽타주를 형성한다. 그러한 몽타주는 순간적인 성좌화의 순간을 통해 근대 물신주의의 환상, 즉 판타스마고리아로부터의 각성을 꾀한다. 1950년대 당시 남한은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구로부터 유입된 자유를 번역함으로써 국가 재건과 근대화를 이룩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 시기 수필문학을 통해 그러한 시도를 더듬어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이 시기 지식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실존주의 사상의 자유 이념과 남한이 국가의 기치로 내걸었던 자유주의의 자유, 그리고 국가 근대화의 일환으로서 대두된 여성의 자유를 각 장의 주제로 삼아 1950년대 조경희와 전숙희의 수필에서 이러한 여러 층위의 자유가 어떻게 추구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Ⅱ장에서는 작가들의 고백적 수사가 어떻게 실존적 자유에 대한 추구와 연동하고 있었는지를 본다. 장 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등으로 대표되는 무신론적 실존주의는 삶의 근본 조건으로서 부조리를 제시하였고, 그 부조리를 직면하고 인정하는 것이 진정한 자유임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실존주의는 한국전쟁 이후 폐허와도 같은 1950년대 남한의 현실과 공명하며 지식인들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허무주의와 비관주의를 유발한다는 비판 아래, 실존적 자유는 방종으로 폄하되거나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유’를 위해 극복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조경희와 전숙희의 1950년대 수필은 부조리를 긍정함으로써 얻게 되는 실존적 자유를 구현하고 있었다. 수필의 내용적 요건으로서 고백적 수사는 이들의 수필이 세계의 부조리와 그에 대한 자기 인식에 대한 말하기가 되게끔 하였다. 조경희와 전숙희의 1950년대 수필에서 부조리는 불가해한 삶의 진리로서 드러난다. 작가들이 그것의 존재를 긍정하면서도 그로부터의 구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사물의 침묵과 비애에 침잠하지만 끝없는 말하기를 통해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멜랑콜리커의 자세가 발견된다. Ⅲ장에서는 1950년대 당시 남한이 정의하고자 한 자유주의로서 ‘자유’라는 기표가 조경희와 전숙희의 수필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 당시 남한은 국가 재건과 근대화를 시대적 기치로 삼았다. 이 시기 조경희와 전숙희는 전시·전후의 지식인으로서 국가권력의 재건 담론에 동원되면서도, 동시에 그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단 하나의 재건이라는 환상을 파편화하였다. 즉 이들의 수필은 각각의 알레고리로서 1950년대 남한이라는 근대 국가의 풍경을 몽타주식으로 구성하였다. 그럼으로써 계몽적인 국가 재건의 움직임에 온전히 합치되기를 거부하며 근대 도시 ‘산책자’의 시선을 통해 이 시기 남한이 체화하고자 하였던 ‘자유주의’의 정체를 더듬었다. Ⅳ장에서는 1950년대 당시 남한의 젠더 규범이 어떻게 여성 자유의 판타스마고리아로 작동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은 일종의 파열로서 여성의 활발한 사회진출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가부장적 국가 재건의 과정에서 여성은 가정으로 귀환해야 할 존재로 상정되었다. 이 시기의 다양한 여성 표상과 함께 여성들에게 규범으로 제공되던 젠더화된 여성 교양은 여성의 존재 양태 자체가 1950년대 남한에서 근대화의 알레고리로 여겨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젠더 규범에 기초한 이 시기 남한의 판타스마고리아는 여성을 그들의 진정한 자유로부터 유리시키면서도 동시에 ‘자유’라는 기표를 통해 여성들이 그들 자신의 자유를 추구할 단초를 마련하였다. 조경희와 전숙희의 1950년대 수필에는 바로 그러한 점이 명확히 지적된다. 이처럼 조경희와 전숙희라는 두 대표 작가에 의해 창작된 1950년대 당시의 수필을 알레고리라는 방법론하에 살펴볼 때 발견되는 것은 여러 층위의 자유에 대한 인식과 추구이다. 이는 1950년대 수필이 시대정신을 함양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며, 이 시기 알레고리 문학의 일환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수필문단을 대표하는 수필가로 호명되면서도 젠더 등을 이유로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조경희, 전숙희 두 작가를 살펴봄으로써 본고는 문학 장 내에서의 위계화와 장르 내·외부의 젠더화로 인해 연구의 장에서 소외되어온 수필문학의 복권을 꾀하였다. 나아가 오랫동안 공백으로 간주되었던 1950년대 수필문학의 문학성을 규명하고, 1950년대 문학의 일환에서, 그리고 여성 문학의 일환에서 수필문학에 주목해야 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essays in the 1950s were exploring freedom as zeitgeist using the sign of 'freedom' and various representations of the times as allegories. Under the absolute lack of study in essay literature, essay literature in the 1950s did not enter the field of full-fledged study. Also, little study of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who represent the 1950s Korean essay literature, was done.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1950s essays by two writers,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at the pursuit of freedom as a zeitgeist was clearly revealed in their 1950s essays, when reading them allegorically. Walter Benjamin suggests thinking literature and the world as fragmented allegories, instead of thinking them in the organic and symbolic ways that the modern spirit of the West aimed for. According to Benjamin, human language is fragments for translating the silence and melancholy of things that have lasted since expulsion from Eden, and the fragments form a kind of montage instead of forming a single organic image. Such a montage attempts to awaken from the illusion of modern fetishism, that is, the Phantasmagoria, through the instant moment of constellation. In the 1950s, South Korea tried to achieve national reconstruction and modernization by translating and adapting the concept of freedom which is from the West,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various levels of freedom were pursued in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s essays in the 1950s, with the ideology of freedom of existentialism, freedom of liberalism proposed by South Korea as the national banner, and freedom of women as part of national modernization. Chapter Ⅱ examines how writers' confessional investigations were linked to the pursuit of existential freedom. The atheistic existentialism represented by Jean-Paul Sartre and Albert Camus presented absurdity as a fundamental condition of life, and emphasized that the true freedom is to face and acknowledge the absurdity. This existentialism resonated with the reality of South Korea in the 1950s, such as ruins after the Korean War, and becam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intellectuals. However, under criticism for causing excessive nihilism and pessimism, existential freedom was denigrated as self-indulgence or was considered to be overcome for 'freedom' in the true sense.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s essays in the 1950s embody the existential freedom gained by affirming absurdity. As a requirement for the content of the essay, the confessional figure of speech allowed their essays to talk about the absurdity of the world and their self-awareness.In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s 1950s essays, absurdity is revealed as an incomprehensible truth of life. In that writers affirm their existence but pursue salvation from it, a melancholic attitude is found to resolve it through the silence and sorrow of things by endless words. Chapter Ⅲ examines how the symbol of 'Freedom' as a liberalism that South Korea tried to define in the 1950s was revealed in the essays of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In the 1950s, South Korea used reconstruction and modernization as the slogan of the era.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were mobilized for the national reconstruction discourse as intellectuals during and after the war, but at the same time challenged it and fragmented the illusion of a single re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ir essays function as individual allegories, consisting of montage of the scenery of the modern country of South Korea in the 1950s. Their essays contain their experiences of walking not only in cities but also in rural areas and foreign countries, and various nuclear power plants in the past were recalled through quotations. Refusing to be fully in line with the movement of enlightening national reconstruction, they traced the identity of 'liberalism' that South Korea wanted to embody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gaze of the modern city 'flâneurs'. Chapter Ⅳ examines how South Korea's gender norms at the time of the 1950s worked as a phantasmagoria of women's freedom. The Korean War was a kind of rupture that led to women's active social advancement. However, in the process of patriarchal national reconstruction, women were assumed to be returning to their homes. The presence of gendered cultures such as 'Madam Freedom' and 'Aprés-girl', which were criticized as synonymous with luxury and self-indulgence during this period, shows that women's existence itself was considered an allergy to modernization in South Korea in the 1950s. In addition, the sign of 'Freedom' feminized in the public forum during this period proves that 'Freedom' provided and recommended by the nation to women was virtually gendered, a kind of falsehood and deception. During this period based on gender norms, South Korea's phantasmagoria gave women an advantage from their true freedom while at the same time laying the groundwork for women to pursue their own freedom through the sign of 'Freedom'. This is clearly pointed out in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s essays in the 1950s. In this way, what is found when looking at essays in the 1950s created by two representative artists,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is the perception and pursuit of freedom at various levels under the methodology of Allegory. This shows that essays in the 1950s were cultivating the spirit of the times, and can be considered as part of Allegory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By looking at the two writers,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who were excluded from the full-fledged study due to gender, although they were called as essayists representing the Korean essay literature, this paper sought to reinstate essay literature.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iterary nature of essay literature in the 1950s, which had long been regarded as a blank, and to provide a basis for paying attention to essay literature as part of literature in the 1950s and as part of women's liter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