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5 Download: 0

한국어 ‘V-어 V’ 상적 보조동사 구성과 중국어 대응 표현의 대조 연구

Title
한국어 ‘V-어 V’ 상적 보조동사 구성과 중국어 대응 표현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uxiliary Verb Composition of ‘V- V 어 ’ Construction in Korean and th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Authors
WANG, KEXI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 연구는 한·중 두 언어의 문법상 측면에서 출발하여 한국어 ‘V-어 V’ 보조동사 구조에서 상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V-어 V’ 구성에서 진행 의미 기능을 지닌 보조동사 ‘-어 가다’와 ‘-어 오다’, 지속 의미 기능을 지닌 보조동사 ‘-어 두다’, ‘-어 놓다’와 ‘-어 있다’, 종결 의미 기능을 지닌 보조동사 ‘-어 내다’, ‘-어 버리다’와 ‘-어 치우다’, 반복 의미 기능을 지닌 보조동사 ‘-어 대다’와 ‘-어 쌓다’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중국어 상 표현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고 선행 상황 유형과 공기할 경우 중국어 상 표현과의 대응 규칙을 고찰하여 중국어 상표현과의 대조 연구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는 보조동사와 중국어의 대응표현이 상 표지나 보어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본고는 이 점을 보완할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달리 단순히 보조동사에 대해 상적 연구가 아니라 문장 차원으로 출발하여 동유형 상적 보조동사 구성과 대응된 중국어 표현 내지 의미 변화 요인까지 밝혀내고 선행 상황 유형과의 결합에 따라 대응 규칙을 찾아낼 것이다. 특히 동유형 상적 보조동사들은 본동사의 영향을 받아 상적 의미를 지니면서 대응된 중국어 상표현은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도 밝힐 목적이다. 또한, 비슷한 특징을 지니는 한국어 보조동사들은 상적 의미가 유사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런 보조동사를 사용할 때 혼란을 느끼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해서 한·중 두 언어의 문법상 대응 관계를 명확하여 도움이 되는 데에 대조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매우 의의가 있다. 제I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하며, 한국어 문법상 표현, 즉 보조동사와 중국어 상에 관한 연구, 그리고 한국어 상적 보조동사와 중국어 대응 표현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고 연구방법 및 연구구성을 제시한다. 제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 즉 보조동사의 개념, 상적 특징을 설명하고 선행 연구에서 보조동사 의미에 따른 보조동사의 하위분류를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 상의 개념과 분류를 통해 보고의 연구대상인 상적 보조동사의 하위분류 및 중국어 상 표지와 동보구조를 명확하게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보조동사와 상황 유형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동사의 상적 특징과 상황 유형을 다루었다. 제Ⅲ장에서는 한국어 상적 보조동사를 분류하고 이 보조동사들의 상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논의를 하였다. 또한, 동유형 보조동사들이 상황 유형과의 결합 양상을 살펴본 동시에 문장에서 부사나 다른 첨가어로 인해 상황 유형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요인까지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한국어 상적 보조동사와 항상 대응 표현으로 나타내는 중국어 문법적 상표지 ‘(正)在,著,了’와 상을 나타내는 동보구조의 상적 의미와 특징, 상황 유형과의 결합 양상을 위주로 다루었다. 제V장에서는 3장과 4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V-어 V’ 보조동사 구성과 중국어 상적 대응표현을 분석하여 중국어 상 표현과의 대응 유형을 분류하고 대응 규칙, 즉 동유형 보조동사 구성이 중국어와의 대응표현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찾아냈다. 또한, 한국어 상적 보조동사 구성이 중국어 상 표지와 상을 나타내는 동보구조, 그리고 상 표현과 대응되지 않는 경우로 나눠서 연구를 진행한 후에 두 언어 상표지의 대조 연구를 통해 대응될 수 없는 이유나 의미 변화 요인까지를 알아냈다. 제Ⅵ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정리하고 도출된 결론을 제시하며 본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starting with the grammatical aspect of both Korean and Chinese and aims to study the Korean auxiliary verb of the construction ‘V-어 V' and the Chinese aspect expressions’s contrast. In the composition of ‘V-어 V’ in Korean, this study concentrated on progressive Aspect markers ‘-어 가다’ and ‘-어 오다’,Durative aspect markers ‘-어 두다’, ‘-어 놓다’ and ‘-어 있다’, perfective aspect markers ‘-어 내다’, ‘-어 버리다’and ‘-어 치우다’, iterative aspect markers ‘-어 대다’and ‘-어 쌓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tuation type of Chinese expressions, consider the preceding situation types and the corresponding rules of Chinese aspect markers in case of consider a contrast study with Chinese aspect markers.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6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mainly about prior research. In addition, organized the research on Korean commercial auxiliary verbs and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Chinese, and presented th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mposition . In the second chapter, the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have been introduced based on viewpoint of linguistics, as well as the system of tense and aspect of Korean and the system of aspect of Chinese. Finally, in order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Korean auxiliary verbs with the situation type, this study dealt with the commerci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types of the verbs.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d Sub-classification of the auxiliary verbs in the Korean.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combination of the same type auxiliary verbs with the situation type. At the same time, we looked at the factors that change the meaning of the situation type due to adverbs or other additional condition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combination of the Korean commercial auxiliary verb with the Chinese grammatical aspect markers ‘(正)在,著,了’, which are always expressed as corresponding expressions, and the commercial meaning,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type of the broadcast structure. The fifth chapter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s 3 and 4, the Korean 'V-어 V' auxiliary verb composition were analyzed to classify the correspondence type with the Chinese expression,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with th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add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composition of Korean commercial auxiliary verbs into Chinese aspect markers, distribution the verb- complement construction, and cases that do not correspond to aspect expressions, and found the reason or meaning change factors . The last chapter conclud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also admitted the limitation to be solv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